-
中, 13억 과자시장을 잡아라
- 트렌드
- 중국
- 우한무역관
- 2009-03-31
- 출처 : KOTRA
-
中, 13억 과자시장을 잡아라
- 식품 안전문제 대두 이후 수입브랜드가 중국시장 주도 -
□ 다른 국가의 소비량에 크게 못 미쳐, 소비 잠재력 大
○ 중국의 과자시장은 선진국 및 홍콩, 대만 등의 지속적인 대규모 투자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중국의 연간 과자소비량은 1인당 1000g 정도로, 서방 선진국의 1인당 2.5~3㎏, 개발도상국 평균 1.2~1.8㎏에 비해 아직 적은 편임. 따라서 중국 과자시장의 잠재력은 아직 크다고 판단됨.
○ 한편, 중국에서 식품안전사고가 끊이지 않아 최근 중국정부에서는 '식품안전법'을 제정해 2009년 6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음. 중국에 비해 철저한 안전검사를 거치는 수입식품에 대한 관심도 급증
□ 수입브랜드가 시장주도, 진출 성공 가능성 높아
○ 프랑스 다농(Danone)社, 미국 나비스코(Nabisco)社, 영국 키블러(Keebler)社, 대만 캉스푸(Master Kang)社 등 세계적인 식품회사들이 이미 현지화를 통해 중국시장에 진출했음.
○ 중국내 과자시장에서 고급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40% 정도임. 고급제품의 경우 대부분 외자기업의 제품이며, 중국기업이 생산하는 일부 고급제품도 품질이나 포장에서 수입브랜드와 많은 격차가 존재함. 따라서 중국에서 과자시장은 외자기업이 주도하고 있음.
○ 판매제품에 있어서 대도시와 농촌지역의 뚜렷한 차이가 보이는데, 대도시 등 경제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는 유명 수입브랜드 제품의 판매량이 80% 이상을 차지하며, 이들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 및 반응도 좋은 편임.
- 현지 수입상에 의하면 무한 및 호북지역에서는 대만산 제품 및 중국내 외자기업들의 브랜드 제품이 보편화돼 있고, 소비자 반응도 좋은 편임. 기타 서유럽 국가 및 일본, 한국 등 국가의 직수입 제품은 유통망이 갖춰져 있지 않아 유통량이 적은 편임.
□ 멜라닌 파동으로 인해 안전한 수입 제품에 관심
○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멜라닌 파동으로 인해, 관련업계가 상당한 타격을 입었음.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멜라닌 파동 후, 수입 과자류의 수요가 크게 증가해 중국에 과자류를 수출하기에 최적기라고 판단됨. 소비자들 또한 중국산보다 20% 정도 높은 가격이라면 수입 브랜드를 선택하겠다는 반응이 다수임.
□ 현지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제품 차별화가 포인트
○ 수입브랜드 제품은 월등한 포장 및 품질을 바탕으로 아동을 비롯한 일반소비계층을 타깃으로 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고 있음. 일부 중국 업체의 고급제품은 대부분 저당(底糖), 무당(無糖)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건강식품을 표방하고 있음. 때문에 노년층 등 특정계층의 소비가 많은 편이며 가격도 경쟁력 있음.
○ 제품의 차별화를 통해 소비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현재 중국의 과자시장 추세에 따르면 특정 영양성분을 강화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을 강조하는 제품이 많음. 따라서 한국 제품이 진출할 경우 각 연령층 및 소비층의 특성과 소비성향, 요구사항을 분석해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임.
○ 무한지역 최대 유통업체 관계자에 의하면, 현지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과자류는 샌드류 및 초코렛이 첨가된 제품임. 제품의 맛은 물론, 외관 및 포장도 매우 중요한 구매결정요소 중 하나임. 포장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어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박스형태의 포장 등 견고한 형태의 포장이 인기가 많음.
□ 현지 유통망 확보 및 판로개척 필요
○ 수입식품의 일반적인 유통방법은 3가지가 존재함. 첫째, 식품대리상을 통한 공급. 둘째, 유통기업(대형마트) 등을 통해 직접 소매시장에 공급. 셋째, 수입식품 전문매장을 통해 판매. 또한 일반적인 유통경로에서 벗어나 노래방, 주점, 호텔 등으로 유통망의 다원화해 나갈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수입식품망, 현지 대리상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13억 과자시장을 잡아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간식시장 동향
중국 2021-09-30
-
2
中 수입과자 인기 급부상
중국 2015-07-15
-
3
日 과자업계 시장 동향
일본 2020-12-28
-
4
대만 왕왕그룹, 중국에 쌀과자 팔아 대만 최고부호 등극
대만 2012-06-06
-
5
수입산 과자에 맛들이는 중국인들, 한국 과자는?
중국 2012-11-09
-
6
중국 과자류(비스킷, 스낵) 시장동향
중국 2018-11-30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