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과자류(비스킷, 스낵)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톈진무역관
  • 2018-11-30
  • 출처 : KOTRA

- 소비 수준 향상 및 여가활동 증가로 중국 과자류 시장 전망 밝아 -

- 다양해지고 있는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제품으로 시장 공략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ㅇ HS Code 190531, 190410


HS Code

품명

1905.31

- 스위트 비스킷

1904.10

- 곡물이나 곡물가공품을 팽창하거나 볶아서 얻은 조제 식료품(이하 곡물 조제 스낵)

  

선정 사유

 

  ㅇ 소비 수준 향상, 여가활동 증가 등으로 전체 시장 성장세 양호

 

  ㅇ 신규 브랜드 제품 소싱 수요 문의 증가로 관련 중소기업 수출 기회 제공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중국 비스킷 시장(HS Code 190531)은 중국의 소득 증가, 소비 여력 상승, 여가활동 증가 등의 이유로 2000년대 초반 약 10%의 성장세를 보였고, 2015년 이후 최근 3년간에는 평균 2.6% 성장 중

      · 2018년 올해 5406090만 위안을 달성, 2022년에는 6239180만 위안을 달성할 전망임.

      

중국 비스킷(스낵바 포함) 및 과일 스낵 시장규모

(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 곡물 조제 스낵 시장(HS Code 190410)은 아침식사 대용으로 시리얼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고, 시리얼이 건강식이라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최근 3년간 약 10%의 높은 성장세를 보임.

      · 2018년 올해 73억7490만 위안을 달성, 2022년에는 99억9530만 위안을 달성할 전망임.

   

중국 곡물 조제 스낵 시장규모(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ㅇ 시장동향

    - 중국 비스킷 시장은 전통적 비스킷, 과일 스낵, 스낵바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음. 비스킷(59%), 과일 스낵(40.5%) 시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스낵바(0.5%) 시장규모는 미미한 수준임.

    -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 및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과일류 스낵 시장의 성장률은 최근 3년간 5% 이상을 유지하고 있고 2018년 올해 또한 5.5%의 성장이 예상됨.


중국 비스킷 시장별 분포(단위:%)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최근 3년간 수입규모

    - 중국 비스킷(HS Code 190531) 수입규모는 2000년 초반부터 20~70%의 고성장세를 유지했으나, 점차 성장세가 둔화됐고 2017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

    - 20181분기에만 비스킷 수입규모는 6000만 달러 규모에 달하면서 전년동기대비 15.7% 성장해, 2017년은 일시적인 마이너스 성장으로 분석되고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전망임.

 

최근 3년간 중국 비스킷 수입규모(HS Code 190531)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금액

증감률

2017

287

-11.8

2016

326

6.8

2015

305

26.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 수입규모는 1998년도부터 8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일 만큼 초고속 성장세를 유지함.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또한 지속 성장하고 있어 시장 전망이 밝음.

    - 2018년도 1분기 역시 3700만 달러 규모에 달하는 곡물 조제 스낵을 수입하면서 전년동기대비 37.3% 성장함.

    -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일반 비스킷(HS Code 190531)보다 견고한 성장률을 보일 전망임.

 

최근 3년간 중국 곡물 조제 스낵 수입규모(HS Code 190410)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금액

증감률

2017

168

16.6

2016

144

32.3

2015

109

52.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ㅇ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비스킷(HS Code 190531)산업의 성장이 계속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nabati, TAYS BAKERS 등의 브랜드가 중국 내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편임. 인도네시아에서 생산 및 수출하고 있는 danisa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로 인도네시아가 중국 비스킷 수입국 1위를 차지함.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들의 수입규모 순위는 큰 변화가 없지만 2017년의 경우 주요 수입국 수입규모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가운데, 네덜란드는 282% 수출 증가율을 보임.


중국 비스킷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190531)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인도네시아

92

36.7

88

-4.1

74

-15.3

2

덴마크

53

25.2

57

8.7

50

-12.1

3

말레이시아

34

29.6

40

18.8

39

-2.9

4

한국

26

36.8

27

3

16

-42.7

5

일본

15

79.2

19

26.2

18

-7.4

6

프랑스

5

-10.9

9

107.09

12

26

7

대만

8

3.2

7

-6.2

10

42.9

8

이탈리아

8

14.8

9

12.2

7

-26.3

9

스페인

8

47.3

7

-16.2

5

-21.8

10

벨기에

7

-12.7

6

-10.4

6

-0.6

11

영국

7

-11.9

6

-15.2

5

-13.9

12

독일

5

21.4

6

18.3

4

-29.7

12

홍콩

2

88

6

166

7

14.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의 경우 미국이 압도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수입규모 또한 2위에 위치하고 있음. 대만의 경우 미국 브랜드 QUAKER의 OEM 생산물량과 자체 브랜드 수출량이 더해지면서 수출량 1위 기록

    - 일본의 경우 말린 과일 및 기타 다양한 곡물을 넣은 다양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 수입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

 

중국 곡물 조제 스낵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190410)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5

2016

2017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대만

20

270.5

20

0.5

17

-14

2

미국

19

1.2

20

2.3

17

-11.2

3

인도네시아

8

213.3

13

63.2

15

15

4

태국

11

20.6

10

-5.7

14

42.8

5

한국

12

52.1

13

11.6

9

-33.2

6

일본

5

78.6

8

80.6

20

142.8

7

호주

3

47.6

10

199.6

19

96.1

8

독일

8

19.6

11

32.9

8

-31.3

9

말레이시아

8

58.7

8

9.1

10

24.4

10

영국

5

40.9

8

62.6

8

6.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대한국 수입규모 및 동향

 

  ㅇ 비스킷(HS Code 190531)

    - 한국은 대기업의 제품군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해 왔으나 2017년 한·중 통상갈등 영향으로 43% 감소했음. 20181분기에는 전년동기대비 -50.2%를 기록하면서 회복세로 돌아서지 못하고 있음. 이는 비스킷 시장의 매우 치열한 경쟁 상황과 중국 주요 수입국들의 중국 시장진출 가속화와 겹친 결과로 해석됨.

 

중국 비스킷 대한국 수입규모(HS Code 190531)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금액

증감률

2017

16

-42.7

2016

27

4

2015

26

36.8

2014

19

25.6

2013

15

2.8

2012

15

76

2011

7

57.2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ㅇ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

    - 한국 곡물 조제 스낵의 경우 다양한 맛, 저칼로리, 건강 이미지 제품들의 수요 상승으로 꾸준히 성장해 왔으나 201733% 감소


중국 곡물 조제 스낵 대한국 수입규모(HS Code 190410)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금액

증감률

2017

9

-33.2

2016

13

11.6

2015

12

52.1

2014

8

36.7

2013

6

34.8

2012

4

50.4

2011

3

37.7

자료원: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 브랜드


  ㅇ 주요 경쟁 브랜드

    - 중국 비스킷(HS Code 190531) 시장 주요 브랜드는 Oreo, danisa Garden 외에 복수의 로컬 브랜드임.

    - 중국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 시장 주요 제품은 시리얼로 미국의 QUAKER과 중국의 西麦SEAMILD가 주요 브랜드임.

 

중국 비스킷 시장 주요 브랜드

브랜드

국가

세부사항

EMB00001754bf51

Oreo奥利奥

미국

- 1912년 미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제과기업

- 중국 시장점유율 1

EMB00001754bf52

徐福记

대만(스위스)

- 1976년 대만에서 설립됐고 Nestle2011년 인수함.

- 비스킷, 캔디, 케이크류, 초콜릿 등 다양한 식품을 취급하고 있음.

- 과자, 젤리류, 펑리수 등의 제품이 인기임.

EMB00001754bf53

好吃点

중국

- 福建达利食品集团有限公司의 브랜드

- 과자와 견과류를 결합해 영양이 풍부한 과자를 만드는 식품 브랜드

EMB00001754bf54

Danisa皇冠

덴마크

- 세계적으로 유명한 덴마크의 쿠키 브랜드

- 제품의 품질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

- 주 생산지는 인도네시아임.

EMB00001754bf55

嘉士利

중국

- 산하에 广东嘉士利食品集团有限公司, 邢台嘉士利食品有限公司, 广东康力食品有限公司和江苏嘉士利食品有限公司 등 6개의 자회사 보유

- 비스킷, 사탕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는 유명 과자 제조기업

EMB00001754bf56

三只松鼠(Three Squirrels)

중국

- 三只松鼠股份有限公司의 브랜드

- 온라인을 기반(온라인 판매량 多)으로 견과류, 찻잎, 레저 간식 등 생산·판매

EMB00001754bf57

Garden嘉顿

홍콩

- 嘉顿食品贸易(中国)有限公司의 브랜드

- 1926년에 설립돼 국제적 수준의 생산기술 보유

- , 케익류 등 다양한 제품 판매

EMB00001754bf58

旺旺WantWant

중국

- 上海旺旺食品集团有限公司의 브랜드

- 1992년에 설립돼 중국 유명 쌀과자 비스킷, 사탕류 등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고 있는 브랜드

EMB00001754bf59

良品铺子(BESTORE)

중국

- 良品铺子股份有限公司의 브랜드

- 2006년 설립돼 연구개발, 가공, 유통 서비스를 통합해 운영 중

EMB00001754bf5a

江中猴姑

중국

- 江西江中制药(集团)有限责任公司의 브랜드

- 노루궁뎅이 버섯을 원료로 한 과자가 인기를 끌면서 건강 과자 이미지로 성장

EMB00001754bf5b

QUAKER桂格

미국

- 1877년 미국에서 설립돼 2001년 펩시회사가 인수

- 주로 시리얼 생산·판매

EMB00001754bf5c

西麦SEAMILD

중국

- 1994년에 설립돼 오트밀 식품 개발과 생산을 위주로 하는 기업

- 주로 시리얼 및 곡물 스낵 생산·판매

자료원: Euromonitor, 바이두,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ㅇ 경쟁동향

    - 중국 비스킷 시장(HS Code 190531) 점유율 1위 브랜드는 Oreo지만, 복수의 중국 로컬 브랜드가 시장점유율 상위권에 자리하고 있음.

    -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 Oreo의 점유율이 6.1%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며 브랜드 간 시장점유율의 격차가 크지 않음. 또한 68%의 기타 브랜드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중국 비스킷 시장 경쟁은 매우 치열함.


중국 비스킷 브랜드별 시장점유율(단위:%)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 중국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 시장은 QUAKER(미국, 18.1%) 西麦SEAMILD(중국, 15.1%) 두 브랜드가 곡물 조제 스낵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기타 Nestle, Kellogg’s, HANNRAE 등 글로벌 브랜드가 2%대의 점유율로 뒤를 잇고 있음.

    - QUAKER(미국, 18.1%) 西麦SEAMILD(중국, 15.1%) 외에 브랜드들은 3% 미만의 점유율을 보임. 약 51%의 기타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이 올라가고 있어 곡물 조제 스낵 시장 경쟁은 점차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

 

유통구조

 

  ㅇ 주요 유통구조

    - 중국 비스킷 시장(HS Code 190531) 및 중국 곡물 조제 스낵 시장(HS Code 190410)의 유통구조는 크게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소규모 마트, 온라인 유통 4가지의 채널로 구성돼 있음.

    - 슈퍼마켓과 하이퍼마켓의 유통 비중이 높아 해당 채널을 집중 공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최근 상승하고 있는 온라인 유통채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중국 비스킷 주요 유통채널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소규모 마트

온라인

42.4%

24.6%

9.1%

11.8%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중국 곡물 조제 스낵 주요 유통채널

슈퍼마켓

하이퍼마켓

소규모 마트

온라인

50.5

19.6%

6.5%

17.9%

자료원: Euromonitor, KOTRA 톈진 무역관 재정리


관세율

 

  ㅇ HS Code 190531

    - 기본세율: 80%

    - 최혜국(MFN)세율: 10%

    - FTA 협정세율: 11%,

      · 20151220일 발효, 매년 1%씩 인하되고 있고 2029년 완전 폐지

    - APTA 아태협정세율: 8.2%

    - 한국 기업은 2020년까지 APTA 아태협정세율을 활용, 2021년부터는 FTA 협정세율(8%)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

 

  ㅇ HS Code 190410

    - 기본세율: 80%

    - 최혜국(MFN)세율: 10%

    - FTA 협정세율: 20%

      · 매년 1.2~1.3%씩 인하되고 있고 2034년 완전 폐지

    - 한국 기업은 2026년까지 최혜국세율을 활용, 2027년부터는 FTA 협정세율(8.7%)을 활용해 수출하는 것이 유리

 

인증 및 수입규제

 

  ㅇ 인증 및 규정

    - 요구 증서 혹은 재료 합격 증명서 미비, 라벨 불합격, 검역 허가 미획득, 포장 불합격 등의 통관 거부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아래 규정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

      · 포장식품 표시 기준

      · 식품검사규칙

      · 중국의 검역제도(2013년 개정판)

      · 중국 201212월, 2013년 자동 수입허가 관리 화물 목록(농수산식품류)

      · 중국 20125월 수입식품 수출입상 등록관리규정

      · 중국의 20124월 수입식품 신표준 집행

      · 중국의 20128월 식품안전국가표준 예포장식품 영양라벨통칙

      · 중국의 식품안전국가표준 포장식품 영양표첨통칙(포장식품 영양라벨통칙)

      · 중국의 라벨링 규정 개정시행 종합

      · 중국의 라벨링제도(2013년 개정판)

      · 중국의 201251일부터 수입식품 해외 생산기업 등록관리규정 공포 시행

    - TBT 통보문

      · 품질 감독, 검사, 검역 관련 일반 운영에 관한 고시

      · 수입 및 수출식품의 상품표시에 관한 '새로운 식품에 대한 관리법' 새로운 식품에 대한 용어정의, 안전평가, 응용 및 승인

      · '식품영향라벨링에 대한 행정법령' 식품영양라벨링의 정의와 적용범위 영양표시 등을 규정

      · 상품에 대한 과도한 포장을 제한하는 법령, 과도한 포장을 방지하기 위해 상품의 포장

      · 식품 및 화장품의 과도 포장 제한 요건

      · 건강식품의 우수제조관리기준 (19페이지, 중국어)

      · 특정 식이요법을 위한 선포장 식품의 라벨링에 관한 국립식품안전표준

 

  ㅇ 기타 수입규제

    -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20188월부터 미국산 비스킷(HS Code 190531)25%, 곡물 조제 스낵(HS Code 190410)에는 20%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

 

시사점

 

  ㅇ 중국 과자류 시장 지속성장 가능성

    - 중국 비스킷 시장(HS Code 190531)의 성장세가 최근 3년간 다소 둔화됐으나 2018년 이후 회복되면서 다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곡물 조제 스낵 시장(HS Code 190410)은 최근 3년간 약 10%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대중국 수출 증가 국가 사례 참고 필요

    -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어 기존 비스킷 수출 상위국들에서 수입량이 감소했음. 반면 대만, 네덜란드, 프랑스 등의 비스킷 수입량이 증가했음.

    - 일본의 경우 곡물 조제 스낵 시장에서 과일 및 기타 다양한 곡물을 넣은 다양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일례로 일본 CALBEE 브랜드의 과일 혼합 곡물 시리얼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반응이 좋음.

    -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 증가, 다양해지는 중국 비스킷 및 곡물 조제 스낵 시장 수요를 파악해 맞춤형 제품 출시 필요

 

  ㅇ 중국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

    - 중국 과자류 취급 기업, 유통상 등 현재 중국 시장 내 유통 중인 제품 외 신규 브랜드 제품 소싱 수요 문의 증가하고 있음.

    - 복수의 톈진 소재 바이어들은 중국 과자류 시장의 성장률은 과거에 비해 다소 더디지만, 소비자들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어 기존 제품 외 새로운 제품을 발굴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천연 조미료 사용 제품, 식사 대체용 제품 등 건강을 강조한 제품에 미각적인 부분을 갖출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이다.”라고 언급함.

 

 

자료원: Euromonitor, 한국무역협회(KITA), Trade NAVI, 한국 관세청, 중국해관, 바이두, 현지 언론, 바이어 인터뷰,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과자류(비스킷, 스낵)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