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호주, 건설프로젝트 증가로 건설장비 수출 유망
  • 트렌드
  • 호주
  • 멜버른무역관 강신학
  • 2009-03-27
  • 출처 : KOTRA

 

호주, 건설프로젝트 증가로 건설장비 수출 유망

- 호주시장 진출, 마케팅과 A/S 능력을 겸비한 에이젼트 발굴이 중요 -

 

 

 

유망사유 : 호주는 국토면적이 한국의 약 80배에 달하나 철도, 항만, 도로 등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해 현재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호주정부는 경기 진작책의 일환으로 2009년 상반기 중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으로 향후 건설 장비 및 부분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기대됨.

 

□ 시장동향

 

 ○ 2008년 기준, 호주의 건설장비 시장규모는 15억 미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됨.

 

호주 건설장비 시장규모

             (단위 : US$ 백만)

 

2006년

2007년

2008 년

시장규모

1,059

1,362

1,536

자료원 : 호주 통계청

 

 ○ 호주는 제조 기반이 취약해 건설장비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지에서는 일부 건설장비 부분품을 제조하고 있는 정도임.

 

 ○ The Construction Forecasting Council에 따르면, 호주 건설 경기가 2009년 일시적으로 위축된 상태이나 2008년 9월 이후 2009년 2월까지 호주 기준이자율이 4%포인트 하락한 상태로 건설업체와 소비자의 금융부담이 다소 해소됨에 따라 2010년 부터는 건설 경기가 되살아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호주 건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와 함께 2009년 상반기 중 호주 정부의 경기진작책에 따른 대형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발표될 예정으로 향후 건설장비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현지 건설장비 전문가들이 꼽은 수요증가 예상 건설장비는 아래와 같음.

  - Soil compactors

  - Concrete pumps and mixers

  - Work platforms

  - Bulldozers and Angledozers

  - Self-propelled scrapers

  - Self-propelled tamping machines and road rollers

  - Mechanical shovels

  - Off-highway dumpers

 

□ 호주 건설프로젝트 발주 계획

 

 ○ 호주 정부의 경기진작정책의 일환으로 2009년 상반기중 구체적인 건설 프로젝트를 확정해 발표 예정인데, 개략적인 부문별 예산규모는 아래와 같음.

  - 초등학교 건물 신축 및 증축, 중고교 과학 및 어학 센터 신축 : 147억 호주달러

  - 저소득층을 위한 정부 임대주택 약 2만 가구의 개보수 : 60억 호주달러

  - 지방 도로 개보수 : 15억 호주달러

  - 시청, 도서관, 문화센터, 스포츠센터 등 각종 문화시설 건설 : 5억 호주달러

 

 ○ 현재 계획중이거나 입찰진행중 또는 착공예정인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음.

 

호주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리스트

             (단위 : US$ 천)

프로젝트명

지역

예산규모

예정 착수일

Sydney Metro Rail System

NSW

11,500,000

2010년

Pluto LNG Project

WA

10,100,000

2010년 중반

Pilbara Gas to Liquids Plant

WA

 9,200,000

2010년 7월

Expansion Olympic Dam Copper/Uranium Mine

SA

 5,700,000

2009년

Wonthaggi Desalination Plant

VIC

 2,800,000

2009년 6월

Kimberley to Perth Water Supply

WA

 2,700,000

2009년 9월

Goodna Road Bypass

QLD

 2,100,000

2009년 1월

Silverton Wind Farm

NSW

 1,800,000

2009년 11월

Monash Energy Gas to Liquids Project

VIC

 1,800,000

2009년 7월

Port Stanvac Desalination Plant

SA

 1,100,000

2009년 12월

Ridley Project Magnetite Resource Project

WA

 1,100,000

2009년 9월

Wakefield Waters Marina Project

SA

920,000

2009년 1월

Queensland Gas to Liquids Plant

QLD

920,000

2009년 7월

Sydney Harbour Rail Tunnel

NSW

920,000

2010년 2월

Narrabri Gas Fired Power Station

NSW

828,000

2009년 3월

Mount Bold Reservoir Expansion

SA

754,000

2009년 9월

Port Phillip Bay Channel Deepening

VIC

702,000

2009년 6월

Fremantle Ports Outer Harbour Container Terminal

WA

552,000

2009년 1월

Moranbah Power Station

QLD

368,000

2009년 6월

Ensham Underground Mine Project

QLD

368,000

2010년 10월

Parramatta Road Redesign, Sydney

NSW

368,000

2010년 8월

AGL Gas Fired Power Station

QLD

322,000

2009년 3월

Port Kembla Steelworks No. 5 Blast Furnace

NSW

304,000

2009년 6월

Gunnedah Basin Gas Pipeline Project

NSW

276,000

2009년 6월

Traveston Crossing Dam

QLD

184,000

2009년 6월

Murtoa Ethanol Plant

VIC

110,000

2009년 12월

자료원 : The Construction Forecasting Council (CFC)- www.cfc.acif.com.au

 

□ 경쟁 및 수입동향

 

 ○ 호주의 건설장비 시장규모는 약 15억 호주달러로 추정되는데, 이중 95% 이상이 수입되고 현지 생산규모는 5% 미만인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음.

 

 ○ 건설장비 수입시장에서는 2007년 기준, 미국산이 시장점유율 33%로 수위를 차지하고 이어 일본(23%), 독일(7%), 한국(5%) 순임.

 

 ○ 호주 건설장비시장에서는 다국적기업의 시장점유율이 90% 이상이며, 현지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기업들은 아래와 같음.

  - 미국 : Caterpillar, Case New Holland, John Deere

  - 일본 : Komatsu, Hitachi, Kawasaki, Kubota, Kato

  - 독일 : Liebherr, Demag, Bomag

  - 한국 : Samsung, Doosan, Daewoo, Hyundai

  - 스웨덴 : Atlas Copco, Volvo, Dynapac, Sandvik

  - 프랑스 : Manitou, Haulotte

  - 영국 : JCB, MF industrial, RMD Kwikform

 

□ 진출방안

 

 ○ 호주 바이어는 중장비 구매 고려시 전통적으로 가격, 품질, A/S를 중시여기는데, 특히 최근 호주화의 가치하락으로 인해 가격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음. 호주 건설중장비 시장 점유율 1위인 미국의 달러화와 2위인 일본의 엔화가 최근 호주화 대비 30% 이상 상승한데 반해 한국의 원화 가치는 호주화 가치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어 한국업체에서 경쟁적인 가격을 제시한다면 이 기회에 호주시장 점유율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현지 바이어들은 건설장비 구매결정시 품질보증 및 사후 서비스에 대한 확신을 받고자 하는 바, 현지 에이젼트 발굴시 우리 제품의 홍보 및 마케팅 뿐만 아니라 A/S 서비스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호주 대형 건설업체들은 주로 건설장비를 직접 구매하며 소규모 건설업체는 건설장비를 리스하는 경우가 많음. 호주 주요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건설업체는 아래과 같으며 호주 최대의 건설장비 리스업체는 Coates (www.coates.com.au)임.

 

주요 건설업체별 2007년도 분야별 프로젝트 수주규모

               (단위 : A$ 백만)

회사명

상업

산업

사회

도시 (Civil)

주거

광산

전체

Leighton Group

www.leighton.com.au

422

1

513

7,684

 

2,409

11,030

Abigroup Pty Ltd

www.abigroup.com.au

321

48

476

3,734

 

 

4,579

BGC Construction

Pty Ltd

www.bgc.com.au

431

76

1

29

 

2,028

2,566

Bovis Lend Lease

www.lendlease.com.au

1,373

283

312

 

 

81

2,050

Baulderstone

Hornibrook Pty Ltd

www.baulderstone.com.au

 113

 

180

1,570

48

 

1,910

Saipem Australia

www.saipem.it

 

 

 

 

 

1,800

1,800

United Group Ltd

www.unitedgroupltd.com

190

 

1,166

 

 

220

1,576

McMahon Contractors

www.macmahon.com.au

 

500

 

256

 

800

1,556

McDonnell Dowell

Corporation Ltd

www.macdow.com.au

 

 

 

1,285

 

185

1,470

Laing O’Rourke Australia

www.laingorourke.com.au

232

 

84

283

71

775

1,444

Downer EDI

www.downeredi.com.au

 

1

 

41

 

1,253

1,295

Alstom Power Ltd

www.au.alstom.com/

 

400

 

500

 

$8

908

Watpac Australia

www.watpac.com.au

291

15

494

 

60

 

859

Salta Constructions Pty Ltd

www.salta.com.au

573

94

120

 

15

 

802

Hansen Yuncken Pty Ltd

www.hansenyuncken.com.au

202

59

292

48

158

 

759

LU Simon Pty Ltd

www.lusimon.com.au

310

 

49

 

360

 

718

NRW Pty Ltd

www.nrw.com.au

 

 

 

 

 

678

678

Mirvac Projects Pty Ltd

www.mirvac.com

113

 

400

 

157

 

670

Westfield Design & Construction Pty Ltd

www.westfield.com.au  

647

 

 

 

 

 

647

자료원 : Housing Industry Association, Australian Industry Group, Reed Construction Data

 

 

정보원 : 호주 연방정부, 호주 통계청, Housing Industry Association,  Australian Industry Group, KBC 자체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호주, 건설프로젝트 증가로 건설장비 수출 유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