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아동용 장난감, 안정성 높은 제품 수요 확대
  • 트렌드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구본경
  • 2009-03-27
  • 출처 : KOTRA

 

美 아동용 장난감, 자녀에 대한 관심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

- 안전성이 최우선, 교육 등 특수목적의 장난감 수요도 증가 -

 

 

 

유망사유 : 핵가족화에 따라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관심과 지출이 늘어나고 있음. 또한 최근 납 등 유해물질이 함유된 장난감의 판매가 금지되면서 안전성 높은 장난감에 대한 수요가 확대. 특히, 현재 수입금액의 90%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한국제품이 안전적인 고품질로 인식되고 있음. 아울러, 인형류, 보드게임 등 전통적인 형태의 장난감뿐만 아니라 교육용, 전자 상호작용 놀이용품 등 특수목적을 지닌 장난감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음.

 

1. 시장동향

 

□ 시장 규모

 

 ○ 이 보고서에서 장난감 시장은 비디오 게임, 유아․미취학용 완구, 야외 및 스포츠 놀이기구, 인형류, 미술 및 수공예품, 게임 및 퍼즐, 바퀴달린 장난감, 플러시(벨벳과 비슷한 비단 및 무명 옷감 제품), 기타 장난감류, 아동용 액세서리, 어린이용 가전제품, 빌딩세트 등을 포함

 

2008년 미국 장난감 및 게임시장 현황

자료원 : IBISWorld Inc.

 

 ○ 2008년 미국 장난감 시장규모는 2007년에 비해 약 0.8% 성장한 43억749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 2009년에는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2.1%가량 소폭 하락한 42억834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되나 2010년 이후 다시 점진적인 소폭 성장할 것으로 예측

 

미국 장난감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수익

성장률

2008

4,374.9

0.8

2009

4,283.4

-2.1

2010

4,302.4

0.4

2011

4,354.0

1.2

2012

4,410.6

1.3

2013

4,476.8

1.5

2014

4,552.9

1.7

2015

4,616.6

1.4

자료원 : IBISWorld Inc.

 

 ○ 2008년 미국 장난감 시장의 총 생산규모는 금액기준 21억8240만 달러를 기록. 2009년에는 -1.9% 가량 소폭 하락해 약 21억4000만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이나, 2011년부터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미국 장난감 시장 총생산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총생산

성장률

2008

2,182.4

1.1

2009

2,140.0

-1.9

2010

2,129.3

-0.5

2011

2,144.2

0.7

2012

2,163.5

0.9

2013

2,185.1

1.0

2014

2,213.5

1.3

2015

2,237.9

1.1

자료원 : IBISWorld Inc.

 

□ 수요 특징

 

 ○ 2009년 2월 납 등 유해물질이 함유된 장난감의 판매가 금지되면서 안전성에 대한 기준과 소비자의 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있음.

 

 ○ 이 시장은 어린 나이지만 DVD 플레이어나 PC와 같이 어른스럽다고 여겨지는 장난감을 원하거나, 반대로 어른이나 아동용 장난감을 여전히 구매하는 등 이른바 ‘나이 압축(age compression)’ 현상이 심화되면서 단순히 연령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은 점차 무의미해지고 있음. 이에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점차 짧아지고, 특정 연령대에 대한 제품보다 전자 및 상호작용 제품에 대한 수요와 생산이 급증하고 있음.

 

2. 경쟁 및 수입 동향

 

□ 현지 생산

 

 ○ 매텔 (Mattel)과 하스브로(Hasbro)와 같은 현지 주요 제조사들이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으나, 점차 소규모 기업제품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

 

□ 경쟁동향

 

 ○ 기업별 시장 점유율은 매텔 40%, 하스브로 30%, 리프프로그 (LeapFrog Enterprises) 4% 순

 

 ○ 매텔은 1945년 설립된 이래 바비, 디즈니 클래식, 픽셀 칙스(Pixel Chix), 핫휠스(Hot Wheels), 피셔-프라이스(Fisher-Price), 도라 더 익스플로러(Dora the Explorer) 등의 브랜드를 출시하고 있는 미국 최대의 장난감 제조 및 유통업체

 

 ○ 하스브로는 1923년 설립된 이래 현재 장난감 제조 및 도매 미국 2위 기업으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플레이스쿨(Playskool), 트랜스포머(Transformers), 마이 리틀 포니(My Little Pony) 등의 브랜드를 출시하고 있음. 제품 생산은 대체로 중국 공장에서 이루어짐.

 

 ○ 리프프로그는 교육용 완구에 주력하고 있는 회사로 1995년 설립된 이래 미국을 포함한전 세계 온-오프라인 교육 관련 기관을 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 설립 역사도 아직 짧고, 규모도 크지 않으나 2000년 이래 꾸준히 성장세를 시현

 

2009년 미국 장난감 및 게임 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현황

자료원 : IBISWorld Inc.

 

□ 수입동향

 

 ○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이 89.26%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멕시코 1.98%, 덴마크 1.7% 순

 

주요 수입대상국 및 수입금액 (HS : 9503)

(단위 : 달러, %)

순위

국가명

2007

2008

2009

점유율

09/08

증감률

1

중국

607,851,362

611,677,368

587,684,330

89.26

-3.92

2

멕시코

18,033,066

18,090,683

13,004,126

1.98

-28.12

3

덴마크

11,195,642

8,483,623

11,165,831

1.7

31.62

4

대만

9,711,695

13,526,474

9,066,390

1.38

-32.97

5

인도네시아

5,035,750

4,920,921

6,166,195

0.94

25.31

6

홍콩

9,459,151

6,171,844

5,458,380

0.83

-11.56

7

말레이시아

2,955,565

3,805,846

3,788,914

0.58

-0.44

8

베트남

2,436,399

2,469,252

3,717,384

0.57

50.55

9

태국

7,718,198

5,934,181

3,385,088

0.51

-42.96

10

캐나다

4,632,657

4,815,633

2,909,472

0.44

-39.58

11

독일

2,613,754

2,351,006

2,109,433

0.32

-10.28

12

일본

2,565,501

2,354,422

1,988,032

0.3

-15.56

13

이태리

2,293,786

1,789,213

1,525,684

0.23

-14.73

14

한국

1,527,984

793,976

1,493,823

0.23

88.14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한국산 제품에 대한 평가

 

 ○ 중국산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한국산 제품이 상대적으로 안전성 높은 고품질 제품으로 인식됨.

 

3. 진출방안 및 관세·비관세 장벽

 

□ 진출방안

 

 ○ 현재 중국산 장난감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매우 높아진 만큼 납 함유 등 유해물질에서 안전한 한국산 제품을 소개할 수 있는 적기로 보임.

 

 ○ 이 시장의 실소비자는 아동층이나 실구매자는 부모이므로, 부모의 소득이나 성향이 실제 구매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 장난감을 구매할 때 아이의 건강 및 교육까지 함께 생각하는 부모의 특성을 제품 및 마케팅 전략에 적극 활용해야 함.

 

□ 관세·비관세 장벽

 

 ○ 수입관세율 0%, 판매세는 각 주별 과세. 자발적인 장난감 안전기준 ASTMF-963-03은 납 함유량을 규제하고 있으며,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CPSC)의 납 함유량 및 안전에 관한 기준을 통과해야 함. 이와 함께 연방 유해물질 관련법령, 아동용 제품 및 장난감 안전 법령이 시행되고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아동용 장난감, 안정성 높은 제품 수요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