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콜롬비아, 디지털 TV 디코더 수요 증가 전망
  • 트렌드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2-24
  • 출처 : KOTRA

 

콜롬비아, 디지털 TV 디코더(Set-Top-Box) 수요 늘어날 전망

-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디지털 방송시대 열려 -

- 콜롬비아 일반 시청자는 당분간 디코더 장착해 디지털방송 이용할 듯 -

 

 

 

유망사유 : 지난 2008년 8월 콜롬비아CNTV(Comision Nacional de Televesion : 콜롬비아 방송 위원회)는 차세대 디지털 TV 방식으로 유럽식 DVB-T을 채택했음. 향후 10년간 디지털 및 아날로그 혼용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해 아직 아날로그 TV 사용비율이 높은 점 및 디코더(일명 Set-Top Box, 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중 수직해상도 720선 이상의 것, HSK : 8528.71.20.10)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점 등, 관련 우리 기업의 신규시장 개척에 호기로 작용할 전망

 

1. 시장동향

 

□ 시장 규모

 

  콜롬비아 정부는 2009년부터 디지털 방송을 정식 개시할 것을 밝혔으며, 향후 10년간 아날로그 및 디지털 TV 혼용기간을 가질 것을 발표함에 따라 디지털 TV용 디코더(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중 수직해상도 720선 이상의 것, HSK : 8528712010) 시장이 앞으로 크게 확산될 전망. CNTV 발표에 따르면 현재 2009년 하반기에 일부 공공방송이 디지털 방송을 시작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확인됨.

 

  아직 콜롬비아 관세율 표에 디지털 TV 디코더에 구체적인 HS Code가 할당되지 않아 디지털 TV 디코더에 한정된 수입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디지털 방송이 2009년 하반기에 정식으로 시작되는 바, 아직 디지털 TV용 디코더에 대한 수요가 구체적으로 집계된 바가 없음.

 

□ 수요특징

 

  차세대 디지털 TV 방식 발표 직후 일반 콜롬비아 시청자들은 디코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려면 디지털 TV를 새로 사야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측면이 강했으나, 각 언론사 및 정부 관련 기관의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콜롬비아 일반 시청자들 사이에서 디코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CNTV가 차세대 디지털 TV 방식 확정 후 지난 2008년 9월 콜롬비아 전국 58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앙케이트 조사에 따르면 TV 송신 방식 변경에 따른 TV 구매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26% 였으며, 31%가 디코더를 설치해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겠다고 밝혔음.

 

TV 송신 방식 변화에 따른 콜롬비아 시청자들의 대응

자료원 : CNTV

 

  한편 전체 콜롬비아 일반 시청자 중 불과 2%만 디지털 TV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나머지 대부분 시청자들은 아날로그 방식 컬러 TV를 보유하고 있음. 이는 단기적으로 콜롬비아 일반시청자의 98%가 보유한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디지털 방송 디코더를 장착하는 것이 시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통계임.

 

  향후 10년간 디코더를 장착한 아날로그 TV를 이용해 디지털 방송을 이용할 수 있는 점, 디지털 TV가격이 최저 75만 콜롬비아페소(미화 약 300달러)인 점, 최근 세계 금융위기로 인한 콜롬비아 경기 위축으로 얼어붙은 구매심리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새로운 디지털 TV 구매보다 디코더를 장착해 디지털 방송을 이용할 것으로 보임.

 

  아날로그-디지털 텔레비전이 혼용 사용이 종료되는 10년 후에는 디지털 텔레비전만 사용 가능하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디코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임.

 

2. 경쟁 및 수입동향

 

□ 현지생산

 

  콜롬비아 내에 Challenger와 같은 TV 조립 공장은 있으나 디지털 TV 디코더를 생산하는 업체나 공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됨.

 

□ 수입동향

 

  현재 콜롬비아는 디지털 TV 디코더(수직해상도 720선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것, HSK : 8528.71.20.10)에 대해 단독 HS Code를 할당하지 않고 있어 디코더에 한정한 구체적인 수출입 통계는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임.

 

□ 한국산제품 현지평가

 

  아직 디지털 TV 디코더 수입이 활성화 되지 않은 바, 해당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수치가 없어 Set-Top Box에 국한된 한국산 제품 평가 및 콜롬비아의 전체 Set-Top Box 수입 통계를 알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한국산 가전 및 통신 품목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

 

2007~08년 한국의 대콜롬비아 디지털 TV 디코더 수출량

                                                                                                                            (단위 : US $)

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중 기타의 것 (HSK : 8528.71.20.90)

국가명

2007년

2008년

콜롬비아

48,150

42,126

자료원 : KOTIS

 

  2008년 한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디코더(HSK : 8528.71.20.10, 수직해상도 720도 이상 수신 가능한 것)의 전체 수출량은 전년대비 45% 감소한 수출량을 보였으나, 이는 금융위기 여파로 인한 전체적인 수출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해당 품목에 국한된 문제는 아님.

 

  콜롬비아에 대한 수출량 집계 수치는 없지만 2007년도 수출량이 없던 브라질에 2008년 들어 126만5000달러의 수출세를 보인 것은 한국산 디지털 TV 디코더(HSK : 8528.71.20.10)가 중남미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됨.

 

2007~08년 한국의 디지털 TV 디코더 수출량

                                                                                                                     (단위 : US 1,000$)

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중 수직해상도 720선 이상 수신 가능한 것(HSK : 8528.71.20.10)

연번

국가명

2007년

2008년

1

UAE

28,265

17,455

2

미국

1,274

4,877

3

브라질

0

1,265

4

체코

607

1,257

5

독일

2,773

1,023

6

슬로바키아

57

826

7

스위스

28

775

8

스와질란드

495

765

9

이스라엘

461

765

합계

60,064

32,767

자료원 : KOTIS

 

3. 진출방안 및 관세·비관세 장벽

 

□ 진출방안

 

  단기적으로는 디지털 방송 디코더(HSK : 8528.71.20.10) 수요가 디지털 TV 수요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디코더 수요 증가에 대비한 수출 전략이 필요. 또한 10년간 아날로그, 디지털 TV 혼용기간이 종료된 후부터 디지털 TV로만 디지털 방송 이용이 가능해지므로 장기적으로 디지털 TV 에 대한 수요 증가도 대비해야 함.

 

  가전 및 통신 분야에 있어 한국기업의 인지도가 높고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높이 작용하는 점을 이용할 필요가 있음.

 

□ 관세·비관세 장벽

 

  디지털 TV  디코더에 대한 단독 HS Code가 아직 없는 바, 현지 관세청(DIAN)에 문의한 결과  콜롬비아 관세율표 상 8528.71.00.00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한국기업이 콜롬비아에 디지털 TV  디코더를 직수출할 경우 20%의 관세, 16%의 부가가치세(IVA)를 부과해야 하며, 디지털 TV에 대해서도 20%의 관세 및 16%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해야 함.

 

  콜롬비아가 차세대 디지털 TV 방식으로 채택한 DVB-T 방식은 유럽 표준 방식과도 조금 차이가 있음. 유럽 대다수 국가에서 표준으로 채택한 DVB-T 방식은 MPEG-2인데 비해 콜롬비아가 채택한 DVB-T 방식은 MPEG-4 방식임.

 

  이에 따라 콜롬비아에 디코더 및 디지털 TV 를 수출할 경우 상기 기술적인 측면을 적용해야 함.

 

 

자료원 : CNTV(콜롬비아 방송위원회), DIAN(콜롬비아 관세청), KOTIS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디지털 TV 디코더 수요 증가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