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 인도 경쟁력 갖춘 도시 순위
- 투자진출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2-23
- 출처 : KOTRA
-
2009 인도 경쟁력 갖춘 도시 순위
- 마하라쉬트라 주 1위로 선정 -
- 주 정부들의 활발한 투자유치 활동 -
보고일자: 2009.2.23
뉴델리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인도, 경쟁력 갖춘 지역 순위 발표
○ 인도 경제 전문 잡지인 비지니스 월드(Business World)는 최신 2월호에서 인도 27개 주(state)를 대상으로 경쟁력을 갖춘 지역 순위를 발표함.
- 동 조사는 비지니스 환경 조성을 위해 필요한 요소(천연 및 인적 자원, 자본, 인프라, 행정구조 등), 수요(현지 고객의 수입과 소비), 지원(제도, 공급품의 원활), 전략(비지니스의 다양성)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짐.
인도, 경쟁력 갖춘 지역 순위
(단위:루피,천명)
순위
지역
실질GDP
인구
1
Maharashtra
48,171
104,160
Goa
79,387
15,864
2
Tamil Nadu
39,315
65,435
Delhi
66,431
1,562
3
Gujarat
45,882
55,475
4
Punjab
45,731
26,983
5
Karnataka
31,271
55,592
6
Andhra Pradesh
32,533
81,219
7
Haryana
53,661
23,569
8
Himachal Pradesh
41,973
67,420
9
Uttar Pradesh
16,880
185,330
10
Kerala
37,635
33,763
[자료원 : business world]
주: Delhi와 Goa는 최근 연방직할시(union territories)에서 주(state)로 승격되어 순위에 포함시키지 않음.
□ 비즈니스 경쟁력 1위, 마하라쉬트라(Maharashtra) 주
○ 마하라쉬트라 주는 인도의 중서부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인도에서 세 번째로 넓은 면적과 두 번째로 많은 인구를 소유하고 있음.
- 주도는 인도 서해안 최대 경제 중심지인 뭄바이(Mumbai)로 주로 마라티, 힌디, 구자라티, 영어를 사용하며 문해율(literacy rate)은 77%에 달함.
- 뭄바이를 중심으로 서해안에서 배후의 데칸고원 중부까지 펼쳐져 있으며, 지형적으로는 대부분 데칸고원이 있고 서고츠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어 아라비아 해안과의 사이에 좁고 긴 해안평야가 발달함. 열대 몬순 기후를 이루나, 연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임.
- 주민의 약 70%는 농업에 종사하며, 데칸고원에서는 목화·잡곡을 중심으로 밀·사탕수수 등을 재배하고, 콩칸평야에서는 쌀, 망고, 캐슈너트, 코코넛 등 산출
- 주 면적의 20%를 차지하는 삼림에서는 티크재(材)가, 광산에서는 망간 생산
마하라쉬트라 주와 주요 도시
○ 주요 비즈니스 환경 조건
- 인도 제1의 목화공업지대로 그 생산설비는 인도 전체의 약 1/3을 차지하고 그 밖에 기계, 화학공업, 농산가공, 제지 산업등이 성하며, 뭄바이, 푸네(Pune), 나그푸르(Nagpur), 숄라푸르(Sholapur) 등지에 집중되어 있음.
- 인도 대표적인 자동차 업체인 타타모터스(Tata Motors)와 바자즈 오토(Bajaj Auto)는 푸네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업체인 폭스바겐(Volkswagen)도 올해 3억 달러 규모의 생산 공장을 이전할 계획임.
- 인도 Top 500 소프트웨어 회사들 중 약 25%에 해당하는 업체들과 인도 제약 산업 규모의 11%, 총 매출액의 40%를 담당하고 있는 제약업체들이 분포하고 있음.
- 타 지역에 비해 정비된 사회적 기반시설, 숙련된 노동자, 교육시설, 주택사정 등의 조건을 갖춤.
- 공항은 뭄바이 국제공항, 5개의 국내공항이 있으며 항구는 JNPT, Nava Sheva 등 주요항구를 비롯한 50개를 보유함. 현재 공항확장산업과 국제여객화물터미널 건설 추진 중으로 물류 환경과 기반이 잘 구축되어 있음.
- 주정부는 8개의 경제특구(SEZs) 및 5개의 첨단산업단지, 15개의 IT파크 및 BT파크 등의 설립을 계획하고 활발한 투자유치를 펼치고 있음.
- 반면, 주요 도시의 물가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고 행정여건과 혁신에 관련하여서는 낮은 점수를 받음.
□ 비즈니스 경쟁력 2위, 타밀나두(Tamil Nadu) 주
○ 타밀나두 주는 인도 반도 남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한반도 크기의 60%에 해당하는 면적을 소유하고 있음.
- 주도는 첸나이(Chennai)로 언어는 타밀어를 사용함.
- 동부 해안을 따라 펼쳐진 평원지방, 북쪽과 서쪽의 산악지대와 코베리 강 등 유리한 자연조건을 갖춤.
- 시골 인구의 약 3/4은 농업으로 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며 쌀, 땅콩, 목화, 커피, 차, 사탕수수 등이 주요 작물임.
- 또한 항구시설 개선과 효과적인 전력자원 이용으로 가장 산업화된 곳으로 꼽힘.
타밀나두 주와 주요 도시
○ 주요 비즈니스 환경 조건
- 주정부는 IT 파크, 섬유파크, 바이오파크 등을 개발하여 산업을 육성하고 인프라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어 현대자동차, 포드(Ford), 르노(Renault)-니산(Nissan)-마힌드라(Mahandra), 아쇽 레일랜드(Ashok Leyland) 등 여러 자동차업체들의 생산 공장이 위치하고 있음.
- 첸나이 외곽에 위치한 쓰리페참부두르(Sriperambudur)에 조성된 2억 8,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진 Telecom파크에는 항구와 공항이 도시와 근접해 있어 노키아(Nokia), 삼성전자 (제2공장)를 비롯하여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음.
- 또한 정부는 통관단일창구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출입 절차를 간소화하고 기업들의 거래 비용 절감의 이익을 가져다줌.
- 정치적 안정성과 풍부한 기술 노동력
- 타 지역에 비해 저렴한 물가와 임대료
- 풍부한 기술 노동력
- 반면, 타밀어가 주 언어로 사용되다보니 의사소통 구축망이 미약하고 문해율이 73%에 달하나 월소득 약 9만원의 임금자가 80%에 달하여 소득분배 불균형이 경제성장의 저해 요소로 작용함.
□ 비즈니스 경쟁력 3위, 구자라트(Gujarat) 주
○ 구자라트 주는 인도 서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한반도 면적의 약 89%에 해당하는 크기임.
- 주도는 아메다바드(Ahmedabad)로 언어는 구자라티, 힌디, 영어, 마라띠 사용
- 주민의 2/3 가량이 농업에 종사하며 밀, 기장, 쌀, 목화, 담배, 땅콩, 유료종자 재배
- 인도 5대 공업지역 중 하나로 형석 매장량이 많고 소다회 생산은 전국 생산량의 거의 95%에 이름.
- 주요 산업분야는 시멘트, 석유화학, 유제품, 전자, 석유, 제약, 소금, 설탕, 직물 등으로 인도 총 공업생산량의 20%를 차지함.
- 약 5,600㎞ 길이의 철도와 43,453㎞ 길이의 도로가 정비되어 있으며 국제항구인 칸들라(Kandla)를 포함한 45개의 항구와 13개의 공항이 있음.
구자라트 주와 주요도시
○ 주요 비즈니스 환경 조건
- 2년마다 열리는 행사인 글로벌 투자 정상회담(Vibrant Gujarat Global Investor`s Summit)을 통하여 지금까지 1,860억 달러 규모의 체결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지난 1월에 열렸던 회담에서는 총 2,43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발표와 MoU체결이 이루어져 구자라트에 대한 관심과 투자열기가 높아짐.
- 상대적으로 양호한 인프라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조선사업 단지 및 200억 규모의 인프라 프로젝트가 수행중임.
- 주정부의 행정적 효율성, 세제상 혜택 및 각종 행정 지원으로 외국인과 국내 민간부문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음.
- 다양한 산업분야와 경쟁산업 밀집도, 노사안정
- 지난 5년간 주 GDP가 매년 10.62%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경제성장 활발
- 반면, 연속적인 폭탄 폭발 등 테러의 위험과 주 언어로 구자라띠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통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시사점 및 향후전망
○ 인도 27개 주 중 투자하기에 좋은 경쟁력을 갖춘 3대 주로 마하라쉬트라, 타밀나두, 구자라트 주가 선정됨.
○ 이 지역들은 SEZ, 산업 단지 등의 설립을 추진하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외국인 투자 유치에 적극적임.
- 고속도로 및 공항, 항만건설사업 등 인프라시설 확충에 대한 투자를 활발히 추진하고 행정상 간소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투자환경을 개선시키고 있음.
○ 인도 주정부들의 투자 유치를 위한 경쟁은 활발할 것으로 보다 나은 투자환경 정책 및 제도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은 주(state)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정책 및 제도를 면밀히 살펴보고 각종 혜택 및 인센티브 등도 비교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자료원 : 비지니스월드 및 현지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09 인도 경쟁력 갖춘 도시 순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자원정보] 리비아, 가스 생산 적극 추진
리비아 2009-01-25
-
2
中 다롄시, 20인 이상 정리해고 사전 신고제 실시
중국 2009-01-14
-
3
러시아, 금속 원자재 수출세 폐지
러시아연방 2009-01-26
-
4
中 에너지, 금융쓰나미 속의 위기와 기회
중국 2009-02-16
-
5
중국 윤활유 유통기업, 어떻게 성공했나?
중국 2009-01-25
-
6
[금융위기] 프랑스 기업들, 미래형 성장산업으로 선회
프랑스 2008-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