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자동차 부품업체 수출∙내수 모두 '빨간등'
- 경제·무역
- 중국
- 다롄무역관
- 2008-12-28
- 출처 : KOTRA
-
中, 자동차 부품업체 수출∙내수 모두 빨간등
- 세계 경기침체의 타격 그대로 받아 –
- 중국 자동차 부품업계의 구조조정 계기될 듯 -
보고일자 : 2008.12.28.
다롄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중국 자동차 부품업체 비상사태
○ 최근 자동차 판매량이 하반기 연속적으로 하락하면서, 경영난을 호소하는 부품업체들이 증가하고 있음. 미국 3대 자동차 회사의 정부 구제요청, 도요타의 적자발표 등 국제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불황에 빠진 가운데 중국시장 역시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2009년도 자동차 부품시장의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임.
-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 8월 2006년 이래로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 추세를 보이고, 9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2.74% 감소함.
- 중국의 자동차 부품 수출이 급격히 줄어들고 중국 내 자동차 제조기업 역시 휴업, 반휴업 상태에 빠지면서 자동차 부품 수요가 급감함.
- 많은 자동차 부품기업들은 완성차 제조기업의 휴업에 맞춰 동시 휴업을 진행하는 등 인원감축, 생산량 조절 등 원가절감에 나서고 있음.
-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대다수 부품 기업의 주문량은 절반 이상 감소했으며, 생산량이 전체 생산 가능량의 10%~20% 이하에 머물고 있다고 함.
- 특히 소규모 자동차 부품업체 밀집지역인 저장성 일대에는 대규모 휴업, 폐업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2009년 중국 자동차 부품 시장은 더욱 어두울 것으로 전망됨.
- 중국 내 완성차 기업이 올해부터 휴업, 감원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매출량 감소 및 재고의 영향은 내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2009년은 자동차 부품 경기 저점에 처할 것임.
- 중국 정부가 4조 위앤 규모의 내수 부양정책을 발표했지만, 일부 기초 건설용 상용차를 제외하고는 자동차 산업에 큰 효과를 주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 중국 자동차 부품업체의 주요 문제점
○ 자동차 산업의 호황으로 중국 내 영세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난립함.
-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06년 중국의 자동차 부품업체는 이미 1만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남. 2007년 이후 중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속도에 비추어 보면 현재 자동차 부품업체 수는 이보다 훨씬 많아진 것으로 예상됨.
- 이 가운데 생산규모가 500만 위앤 정도인 기업이 전체 기업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연 생산액이 1억 위앤을 넘는 기업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음.
○ 저부가가치 제품 생산 및 기술력 부족으로 인한 가격경쟁이 치열함.
- 중국 자동차 부품기업은 대부분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저가 제품을 납품하였음. 이윤이 낮은 저가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기술개발 및 위기 대응에 취약함.
- 그 외에도 고객 관리, 장기적인 계획과 전략, 기술 낙후 등은 중국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주요 문제점임.
- 이러한 문제점들이 지금까지 자동차 산업의 호황으로 인해 드러나지 않고 있다가 경제위기를 계기로 한꺼번에 나타나고 있음.
□ 그래도 희망은 중국 내수시장
○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많은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여전히 중국 시장의 매출량이 가장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따라서 수출 위주의 중국 자동차 부품업체들 역시 중국 내수로 전향하기 위한 마케팅 등 준비활동을 펼치고 있음.
○ 그러나 최근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경기 침체로 인해 세계 유수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중국시장 진출을 가속하고 있어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됨.
- 미국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보그워너(BorgWarner)는 지난 10월 23일 중국 상하이에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함. 이는 보그워너가 설립한 가장 큰 연구개발센터이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 대한 회사의 높은 관심을 알 수 있음.
- 캐나다 최대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마그나(Magna) 그룹의 코사마 인터네셔널(Cosma International) 역시 지난 10월 17일 상하이의 신 공장을 정식 개업했음.
○ 업계 관련 인사는 “최근 미국 시장의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미의 자동차 부품업체는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으며, 중국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성장가능성이 높은 시장이기 때문에 중국 시장 진출은 당연한 것”이라고 밝힘.
□ 시사점
○ 이번 경기 침체가 중국 자동차 부품 업계의 산업 구조조정 계기 될 것으로 예상됨.
- 경쟁력을 갖지 못한 영세업체들의 도산 또는 중견기업들에 의한 인수합병이 진행될 것임. 이미 중국의 많은 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인수합병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경쟁상대를 제압하고 시장점유율을 높인 후 소규모 기업을 압박하는 상황이 발생함.
○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업계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음.
-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의 중국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세계적인 자동차 산업의 침체가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기업에도 수출량 감소 등 위기로 다가오고 있음.
한국 자동차 부품 중국 수출 증가율
주 : 2008년은 10월 말 기준
자료원 : 무역협회
- 그러나 중국의 자동차 부품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잘 이용해 적극적으로 중국시장 진출 및 세계시장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한다면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판단됨.
- 앞으로 중국 자동차 부품업계에서 경쟁력이 없는 기업의 퇴출이 진행되고, 외국기업의 중국 진출로 인한 중국 자동차 부품산업의 기술력 및 경쟁력 상승이 이뤄진다면 중국 자동차 부품기업은 우리에게 더욱 큰 위협이 될 것임.
자료원 : 제일재경일보, 중국전동망 등 현지 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자동차 부품업체 수출∙내수 모두 '빨간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자동차 빅3, 현지화 강화로 중국시장 진출 공격적 추진
일본 2015-05-13
-
2
아르헨티나 기술적 디폴트 위기 가능성 다시 높아져
아르헨티나 2013-05-04
-
3
미얀마, 물류 인프라 구축으로 발전 가능성 높여
미얀마 2010-11-26
-
4
산자이(모조품) 3.0세대에 접어든 중국
홍콩 2011-08-30
-
5
파키스탄 2007/08 회계연도 예산(안) 확정 발표
파키스탄 2007-06-27
-
6
루마니아, IMF에 추가 구제금융 신청할 듯
루마니아 2010-09-24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