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伊 철도 운송기기 기업, 아시아지역 진출 적극 추진
  • 경제·무역
  • 밀라노무역관 정윤서
  • 2008-12-16
  • 출처 : KOTRA

이탈리아 철도 운송기기 기업, 아시아 지역 진출 적극 추진

- 최근 터키에서 대규모 사업 수주 -

-한국, 중국 등으로 시장진출 확대 추진 중 -

 

보고일자 : 2008.12.16.

밀라노 코리아비즈니스센터

Claudio Pellegatta·정윤서 jys0916@kotra.it

 

 

□ Ansaldo STS, 1억7500만 유로 규모의 터키 지하철 신호시스템 사업 수주

 ○ Ansaldo STS사는 터키 수도 앙카라 지하철에 이용된 신호시스템을 공급하는 1억700만 유로 규모의 계약을 수주했음. 계약은 앙카라에서 이뤄졌으며, 계약 체결식에는 앙카라 시장과 이탈리아 상무관이 참가했음.

 

 ○ 부대공사와 함께 총 계약규모는 1억7500만 유로가 될 것이며, 이는 최근 이탈리아 기업이 수주한 공사 중 최대규모에 속하는 것임. Ansaldo STS는 이번 입찰을 터키 현지기업과 컨소시엄으로 했음. Ansaldo STS는 이번 입찰로 앙카라시 지하철 4개 노선에 신호시스템에 대한 설계, 제작, 공급, 테스트까지 하게 됐음.

 

□ Ansaldo STS 개요

 

 ○ Ansaldo STS SpA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철도 및 지하철 장비생산 기업임. 이 회사는 Finmeccanica의 계열사이기도 함. 현재 Finmeccanica가 지분의 40%를 보유하고 있음. Finmeccanica는 항공기, 헬리콥터 등 7개 사업군으로 구성돼 있는데 수송기기 사업군에는 현재 2개 계열사가 있음.

 

 ○ 2개 계열사는 AnsaldoBreda, Ansaldo STS임. 한편 Ansaldo STS에는 네덜란드에 위치하고 있는 지하철 및 철도 시그널 시스템 생산기업인 Ansaldo Signal N.V와 이탈리아에 위치하고 있고, 지하철 및 철도 운영 관련 IT 시스템을 턴키 방식으로 제작해 납품하는 Ansaldo Trasporti-Sistemi Ferroviari SpA가 있음.

 

 ○ Ansaldo STS는 전 세계에 11개 사업장을 운영 중이며 고속철, 일반철, 지하철 관련 시그널 시스템 전반을 생산하고 있음. 또한 이 회사는 1853년에 설립됐으며, 이탈리아 제노바에 본사를 두고 있음. 참고로 Finmeccanica 수송기기 사업군의 2007년 매출은 1억4000만 유로, 고용은 6700명 수준이었음.

 

Finmeccanica 그룹 수송기기 사업군 사업현황

        (단위 : 백만 유로, 명)

 

2007년

2008년 상반기

매출액

1,356

813

신규수주

1,786

564

R &D 규모

47

26

고용

6,669

6,793

자료원 : Finmeccanica 그룹 재무보고서

 

□ Ansaldo STS의 아시아 진출 현황

 

 ○ 터키는 지리적으로 이탈리아와 가깝고 시장 성장성이 좋기 때문에 Ansaldo STS에 유망한 시장이 되고 있음. 이번 사업 수주를 계기로 터키 시장 진출을 추진할 예정임. 또한 이와 같은 큰 해외사업 수주는 향후 프랑스, 중국 등에서도 유사 사업을 수주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이번 수주는 Finmeccanica 수송기기 사업군의 매출을 올 상반기 8억1000만 유로에서 10억 유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됐음.

 

 ○ 이 회사에 있어 여전히 가장 주요한 사업지역은 유럽임. 시장 자체도 크고 여전히 철도 수송 관련 기술력도 가장 높아, 시장 확보 측면이나 기술벤치마킹 측면에서도 유럽이 가장 중요함. 하지만 시장 성장측면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가장 월등함. 인구 증가에 따라 철도 및 대중교통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 특히 최근 들어 아시아 지역과 중부유럽에 경쟁력 있는 철도 운송장비 생산 업체가 등장하고 전통적으로 일본 역시 철도 운송 기술이 발달해, 아시아지역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함. 하지만 시장 성장측면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가장 월등함. 인구 증가에 따라 철도 및 대중교통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 향후 아시아지역 철도장비 시장은 철도차량보다는 시그널 시스템 등, 운영관련 시스템 위주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음.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자체를 신규로 구축하는 데는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시스템을 향상시켜 운영 효율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임.

 

 ○ 아시아지역 시그널 시스템 사업 관련 2007년에는 선양 지하철 1호선 사업·한국 고속철도 사업에 참가하는 것이 결정됐으며, 2008년 상반기에는 상해 지하철 연장 사업 등이 있었음.

 

□ 시사점

 

 ○ 이탈리아 철도장비 그룹은 최근 터키를 비롯, 중국 등 신흥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음. 이는 아시아지역이 시장측면에서 성장성이 유망하기 때문임. 중국에는 지하철사업은 물론 고속철도 사업에도 진출했음.

 

 ○ 우리나라는 세계 4번째로 독자적으로 고속철을 개발할 만큼 기술력을 갖추고 있음. 이에 우리나라도 중국, 브라질 등 우리나라 철도 장비 시장 진출이 유망한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해나가야 할 것임.

 

 

자료원 : Finmeccanica 재무보고서, 현지 언론 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伊 철도 운송기기 기업, 아시아지역 진출 적극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