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랜트정보] 사우디 전력청, 3개 독립발전소 추진
- 투자진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08-11-30
- 출처 : KOTRA
-
사우디 전력청, 총 85억 달러 상당의 3개의 IPP 추진
- Rabigh, Riyadh, Al Qurayya 순으로 -
- 세계 금융위기 여파에도 예정대로 추진될 듯 -
보고일자 : 2008.11.30.
리야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사우디 전력청(SEC), 2015년까지 3개의 독립발전소(IPPs) 건설 추진
○ Rabigh·Riyadh·Al Qurayya 등 3개 지역에 차례로 건설될 3개 IPPs는 모두 BOO조건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Developer가 60%의 지분을, SEC는 10~20%, 나머지 20~30%는 제3의 컨소시엄으로 구성될 예정
○ 총 프로젝트 규모가 85억 달러 상당에 이르는 이번 IPPs는 SEC가 유일한 Off-take agreement 주체로 생산된 발전 전량을 구매하며, 그 밖에 사업자에게 장기임차조건으로 토지를 제공하고, 발전용 연료(오일)를 공급하며, 관련 transmission line도 건설 공급해 줌.
□ 3대 IPPs 추진 현황
○ Rabigh IPP
- 성격 : BOO조건의 오일 연료사용 독립발전소 건설 운영을 위한 Developer 선정 프로젝트. 3개 IPPs 중 가장 우선 순위로 추진
- 발주금액 : 25억 달러
- 발전용량 : 1200㎿
- 추진 현황 : 지난 2008년 1월 투자의향서(EOI) 접수 결과, 45개사가 관심을 표명해 4월 메인 입찰을 위한 제안요청서(RFP)가 발급됐으며, 당초 11월 1일 제안서 제출기한이었으나 프로젝트 파이낸싱 애로로 인해 참가기업들이 연장을 요청 오는 12월 1일한 메인 제안서류가 제출될 예정
- 시운행일정 : 2012년 6월. 2013년 4월 프로젝트 완전 종료
- 프로젝트 담당 : Mr. Abdulsalam Abdulaziz Al Yemni(Public Affairs의 수석 부사장)
○ Riyadh IPP
- 성격 : BOO조건의 가스연료 사용 독립발전소 건설 운영을 위한 Developer 선정 프로젝트. 3개 IPPs중 두 번째 우선 순위로 추진
- 발주금액 : 30억 달러
- 발전용량 : 2000㎿
- 추진 현황 : 지난 2008년 10월 투자의향서(EOI) 요청서가 발급됐으며, 오는 2009년 1/4분기 말경 메인 입찰을 위한 제안 요청서(RFP)가 발급될 예정
- 시운행일정 : 2013년 4월. 2014년 4월 프로젝트 완전 종료
- 프로젝트 담당 : Mr. Mansour Hamza(Managing Director/아프리카 및 중동지역 담당)
○ Al Qurayya IPP
- 성격 : BOO조건의 오일연료 사용 독립발전소 건설 운영을 위한 Developer 선정 프로젝트. 3개 IPPs 중 마지막으로 순위로 추진
- 발주금액 : 30억 달러
- 발전용량 : 2000㎿
- 추진 현황 : 2009년 2/4분기 경 EOI제출 요청서가 발급될 예정이며, 메인 입찰을 위한 제안서 요청서는 오는 2009년 8월이나 9월경 발부될 예정임. 현재 technical 부문과 finance 부문, legal 부문 각 PMC만 결정이 된 상황
- 시운행일정 : 2014년 4월. 2015년 4월 프로젝트 완전 종료
- 프로젝트 담당 : Mr. Amer M. Al-Swaha(Head of IPP Program)
□ 시사점 및 대응전략
○ SEC IPP 프로그램 담당 수석 Amer 씨를 직접 면담해 본 바에 의하면, Rabigh IPP의 경우 메인 입찰서류 제출기한이 최근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인해 한 달가량 연장되기는 했지만, 참가 developer들의 관심도가 높아 큰 무리 없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함.
○ 이로 인해 이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EPC의 경우 유망 Developer와 서브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나,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이미 진행되고 있는 관계로, 신규 관심 EPC업체는 마지막으로 추진되는 Al Qurayya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질 것을 권장함.
- Amer 씨에 따르면, 전력기자재 민자 Developer 프로젝트의 경우 전적으로 Developer의 책임 하에 프로젝트가 이뤄지기 때문에, 굳이 SEC에 벤더등록이 돼 있지 않아도 충분히 과거 다른 프로젝트에 납품실적만 있다면 납품 가능하다고 하므로 메인입찰 전에 EPC를 접촉하거나 수주발표 후 바로 EPC를 접촉 납품 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가 있음. 이는 수주 후 통상 EPC업체들은 납품 벤더리스트를 재구성해 developer 및 발주처에 승인을 받는 관행이 있어 이를 제대로 활용할 경우 좋은 결실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있기 때문
○ 이외에도 SEC는 위 IPPs 관련 Transmission 공사 분 아니라 substation 공사도 발주를 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 부분 EPC 및 기자재 납품도 고려해볼만 한 것으로 평가됨.
자료원 : SEC IPP 프로그램 담당 수석 인터뷰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플랜트정보] 사우디 전력청, 3개 독립발전소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사우디 IPP 발전시장, 새로운 우리의 먹을거리 시장으로 급부상
사우디아라비아 2011-04-30
-
2
사우디 전력산업 투자, 2011년에도 확대
사우디아라비아 2010-12-31
-
3
[금융위기] 美 현지업체 인터뷰
2008-10-24
-
4
사우디 전력공사(SEC)의 조직개편 방향과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2015-09-03
-
5
사우디, 3년내 기획・추진 프로젝트 시장규모 6950억弗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2010-08-31
-
6
최근 중동 소요사태가 사우디에 미치는 영향
사우디아라비아 201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