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원정보] 中, 탄전가스산업 유망
- 투자진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8-11-29
- 출처 : KOTRA
-
[자원정보] 中, 탄전가스산업 유망
- 국유기업과의 합작요령 숙지해야 -
보고일자 : 2008.11.28.
베이징 코리아비즈니스센터
허성무·양리화 goo2cu@kotra.or.kr
□ 탄전가스 매장량 풍부
○ 탄전가스 매장량 : 세계 3위
- 중국의 탄전가스자원은 매우 풍부해 러시아와 캐나다에 이어 세계 제3위임.
- 중국 전역의 42개 분지에서 채굴가능한 매장량은 48조㎥이며, 22개의 중점지역에서 채굴가능한 매장량은 4000억㎥에 달함.
- 전문가들에 따르면, 1㎥의 탄전가스가 연소되면 발열량은 30조 Joule(줄)에 달하며, 1000㎥의 탄전가스 발열량은 1톤의 석탄과 맞먹음. 즉, 중국의 탄전가스 매장량은 350억 톤 표준석탄 또는 240억 톤 석유에 해당됨.
- 1Joule은 1N(뉴턴)의 힘으로 물체를 힘의 방향으로 1m만큼 움직이는 동안 하는 일, 또는 그렇게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가리키는 단위임.
□ 개발현황
○ 중국기업
- 1994년,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CNPC)는 탄전가스 채굴을 시작해 현재 3조㎥의 채굴권을 보유
- 中联煤层气有限责任公司(CHINA CBM)는 1996년에 국무원의 비준을 받아 설립된 탄전가스 전문개발기업으로, 탄전가스 대외합작개발 전문경영권을 보유
- 2007년 11월 17일, 중국 상무부·국가발전개혁위원회 및 국토자원부가 공표한 ‘탄전가스 채굴업의 대외합작 확대에 관한 통지’에 따르면, 中联煤层气有限责任公司 외에도 몇 개의 기업을 선택해 대외합작개발 경영권을 부여할 예정이라고 밝힘.
- 대외경영권 허가를 신청한 기업들 가운데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CNPC)와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SINOPEC GROUP)는 비준을 받을 수 있을 유망기업으로 지목됨.
○ 외국기업합작 현황
- 귀주성은 2006년에 독일회사와 합작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河南省煤层气开发利用有限公司는 2007년에 香港中裕燃气公司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채굴을 시작함.
- 新疆艾若玖能煤层气及能源勘查开发有限公司는 2008년 11월, 신강 위구르자치구 부강시에 설립된 기업으로, 호주 탄전가스 개발회사인 Arrow Energy와 新疆乌鲁木齐地质勘查科技开发公司를 합작 설립한 뒤 3억 위앤 이상을 투자한 바 있으며, 후속 투자도 이어질 것으로 보임.
- 2008년 7월 23일, 香港骏新能源集团有限公司(Hong Kong New Smart Energy Group Ltd.)는 傲城投資有限公司가 보유한 佳先投資有限公司(Merit First Investments Ltd.)의 주식 전부를 인수함.
- Fortune Oil PLC는 2007년 9월, 中联煤层气有限责任公司CHINA CBM) 산하기업인 山西煤层气有限公司의 주식 50%를 매입함으로써 중국 탄전가스 개발에 착수함.
- 2008년 8월 19일, 독일 RWE电力气候保护有限公司는 安泰新能源股份有限公司를 설립해 1억3500만 위앤을 투자함. 이 회사는 주로 탄전가스 발전, 판매 및 기타 종합 재생에너지 개발을 진행할 예정임.
○ 진출 전망
- 2006년부터 탄전가스의 개발은 제11차 5개년 개발계획에 포함돼 2010년까지 채굴률 50% 이상, 채굴량 100억㎥, 전국 석탄광에서의 가스이용 총량 50억㎥, 가스발전기용량이 150만㎾를 목표로 추진 중임.
○ 탄전가스산업 종사자에 대한 우대정책
- 탄전가스 개발기업에 증치세 환급
- 탄전가스 개발기업이 설비를 수입할 때 수입관세와 증치세 면제
- 탄전가스의 가격은 공급자와 수요자에 의해 시장에서 결정되며, 정부가 개입하지 않음.
- 정부는 매년 30억위앤의 국채를 제공하여 석탄광전의 안전기술 개선에 투입, 대부분은 탄광의 가스 제거에 쓰임.
- 중앙 재정은 탄전가스 채굴에 0.2위앤/㎥ 기준으로 보조금을 지원
○ 외자기업에 대한 요구사항
- 최소한 5년 이상의 탄전가스 개발경험이 있어야 함.
- 선진 탄전가스 개발기술 및 관련 기술인력팀 보유
- 탄전가스 개발 및 작업 관리능력, 양호한 신용도와 충분한 자금 보유
□ 시사점
○ 중국의 에너지 관련기업 대부분이 국유기업이기 때문에 합작 단계에서 정부의 개입이 많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리스크 및 비용을 감수해야 함.
- 한편, 중국정부가 지지하는 만큼 전망을 밝을 것으로 기대됨.
- 중국 내 석유 및 석탄 기업 가운데 경험이 풍부하고 자금과 기술력 및 경영능력이 일정 수준에 달해야 대외합작 경영권을 획득할 수 있음. 이에, 검증을 받은 기업가의 합작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함.
자료원 : 신화망 등 언론보도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中, 탄전가스산업 유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석학 인터뷰(1)-겨울 너머 봄날을 준비해야
중국 2009-03-26
-
2
콜롬비아, 베네수엘라-파나마 연결 고속도로 입찰 예정
콜롬비아 2009-07-11
-
3
중국 석학 인터뷰(2)-8% 성장수치보다 그 이면을 꿰뚫어 봐야
중국 2009-03-26
-
4
나이지리아, 이동통신시장 동향 심층분석(2)
나이지리아 2009-05-29
-
5
태국, 푸껫에 소프트웨어파크 개장
태국 2008-11-17
-
6
호주, 칠레와 FTA협상 개시
호주 200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