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고급 아파트와 쇼핑몰 건설로 부동산시장 부양
- 트렌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복덕규
- 2008-10-28
- 출처 : KOTRA
-
인도네시아, 고급 아파트와 쇼핑몰 건설로 부동산시장 부양
보고일자 : 2008.10.28.
자카르타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부동산시장의 성장 동력 - 중·상류층의 성장
○ 중산층과 상류층, 그리고 최상류층인 프리미엄 계층을 위한 고급 아파트들이 2007년에 67%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을 정도로 부동산 시장도 이들 소비자들이 지배했음.
○ 이러한 고급아파트 수요는 소비자가 지역 사회의 상류층으로만 구성되므로, 수량이 제한돼 있고 고층빌딩집중지역(CBD)에 위치해 있음에도 여전히 수요가 많은 편인데, 최근에 건축된 대표적인 아파트로는 The Peak·Bellagio·Mansion·Senayan City Residence·Setiabudi Residence 등을 들 수 있음.
○ 인도네시아에서는 ㎡당 1000만 루피아 이상을 받는 아파트가 통상적으로 ‘프리미엄’ 아파트로 분류가 되는데, 이러한 고급 아파트 건설사업은 2008년에도 여전히 유망한 사업으로 각광받고 있고 올해 안에만 20여 개 아파트가 완공예정이라고 함.
○ 주택분야 수요는 특히 상류층과 중산층의 경우, 인플레와 금리에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자카르타와 주변지역에 있는 상업용 부동산은 지난 몇 년간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고, 새로운 주상복합 빌딩들이 자카르타 주요 거리에 계속 들어서고 있는데, 주로 중부 및 남부 자카르타에 들어서고 있음.
○ 최근에는 복합 생활공간으로의 쇼핑센터 콘셉트가 주축이 되고 있는데 Kelapa Gading 쇼핑몰, Pondok Indah 쇼핑몰, Senayan City, Plaza Indonesia, Grand Indonesia 등이 이러한 콘셉트가 적용된 대표적인 쇼핑센터들이라 할 수 있음.
□ 고급 복합주거타운의 등장
○ 인도네시아 부동산 재벌인 리뽀그룹은 ‘The St. Moritz Penthouse and Residences’라는 1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주거단지 프로젝트를 가동 중임.
○ 총 17개의 빌딩으로 구성되는 이 주거단지에는 65층짜리 고층 빌딩을 포함해 고급아파트, 호텔, 학교, 병원, 쇼핑몰 등 각종 편의시설들이 모두 입주해 편리함과 안전이 보장되는 자카르타 내 최고급 주거단지로 꾸며갈 예정이라고 함.
□ 고급 쇼핑몰의 발달
○ 자카르타에만 1985~2000년까지 100만㎡가 넘는 쇼핑공간이 생겨났는데, 그때부터 다시 2008년까지 절반밖에 안되는 기간에 다시 100만㎡의 쇼핑공간이 추가로 들어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인도네시아의 쇼핑공간은 전통적인 시장에서부터 내로라 하는 디자이너 상점까지 다양한 부분을 나눠져 있는데, 고급 백화점이 생기기 이전에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Bulgari, Prada, Cartier, Versace, LV, Bally, Aigner, Ferragamo, Escada 같은 국제적으로 유명한 상표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싱가포르, 유럽 혹은 미국으로 쇼핑을 가기도 했음.
○ 인도네시아의 중산층이 늘어남에 따라 국제적인 브랜드들이 각광받으면서 SEIBU, SOGO, DEBENHAMS 등 고급 백화점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PARISIAN도 개점했으며 조만간 TAKASHIMAYA나 Harvey Nichols 등도 진출할 것이라고 함.
○ 특히 PARISIAN 백화점은 2008년 3월 Taman Anggrek 백화점에 1호점을 개업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의 고급 시장을 타깃으로 한 리뽀 그룹의 소매분야 사업의 일환으로 SEIBU, SOGO, DEBENHAMS과 비슷한 개념으로 고급제품들을 취급하면서도 다른 백화점에서 취급하지 않는 제품들을 많이 선보일 예정이라고 함.
○ PARISIAN 백화점을 도입한 리뽀그룹은 아직도 해외로 쇼핑을 나가는 자국민들의 수요를 흡수하면서 개성있는 디자인과 콘셉트로 인도네시아 내에서 자신들만의 독특한 국제 패션스타일을 창출해보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으며, 향후 3년 내에 매장을 20~30개로 늘려나가겠다는 야침찬 복안을 가지고 있음.
□ 계속되는 인도네시아 부동산시장의 성장과 시사점
○ 인도네시아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자카르타, 보고르, 반둥 및 수라바야와 같은 큰 도시에 있는 중산층 그룹의 수요가 강하게 남아 있기 때문에 부동산 사업 전망이 아직도 낙관적이라고 봄.
○ 현재 인도네시아의 부동산 가격이나 임대료 수준이 주변국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아직도 발전가능성은 높은 편이나, 쇼핑몰 등은 이미 공급과잉이 우려되면서 2010년까지는 부동산 시장의 성장이 정점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음.
○ 따라서 인도네시아 부동산시장 건설에 관련된 건축자재 수출업체나 건설업 등 건축서비스 기업들의 마케팅이나 현지진출이 서둘러 이뤄져야 할 것임.
○ 2009년에는 인도네시아 대통령 선거가 있는데, 대선 이후에 부동산 경기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므로 이러한 정치적 환경도 함께 고려해 마케팅이나 투자시점을 결정해야 할 것임.
자료원 : 자카르타 포스트 등 현지 언론기사 및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고급 아파트와 쇼핑몰 건설로 부동산시장 부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네시아, 고삐 풀린 고급 아파트 건설 수요
인도네시아 2007-12-30
-
2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
-
3
[기고] 인도네시아 산업공단 조성 현황과 선정 전 참고사항
인도네시아 2021-12-20
-
4
인도네시아 주거용 부동산 건설 시장 유망
인도네시아 2019-06-14
-
5
인도네시아 동부자바 인프라 및 산업단지 투자 포럼
인도네시아 2021-04-28
-
6
인도네시아 건설사업 현황 및 한국 기업 진출 사례
인도네시아 2015-03-04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