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최근 요르단 경제 및 우리나라와의 관계 동향
  • 경제·무역
  • 요르단
  • 암만무역관 권중헌
  • 2008-08-26
  • 출처 : KOTRA

최근 요르단 경제 및 우리나라와의 관계 동향

 

보고일자 : 2008.8.26.

권중헌 암만무역관

jhkwon@kotra.or.kr

 

 

1. 경제 동향

 

 가. 성장

 

 ○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요르단 경제는 전년도 6.3%에 비해 0.3%p가 낮은 6.0%의 성장률에 그침.

  -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건설부문의 뚜렷한 약세와 함께 주력 생산품인 인광 및 화학제품 생산 등 제조업 부진이 한몫

 

 ○ 이에 따라 성장의 버팀목의 하나인 산업생산도 뚜렷한 하향세

  - 산업생산 증가율 : 10.2%(2005) → 5.9%(2006) → 3.1%(2007)

  - 전력부문만 정부의 에너지 전략 강화와 함께 호조세 유지(2007년 +9.2%)

 

 나. 소비자 물가

 

 ○ 2006년 중 6.3%가 상승해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소비자 물가는 2007년 중 5.4%로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음.

 

요르단의 최근년도 물가 상승률 추이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

물가 상승률(%)

2.3

3.4

3.5

6.3

5.4

자료원 : Government Finance Bulletin

 

 ○ 하지만, 2008년 들어 국제유가의 급등과 유류 보조금 전면 철폐, 국제 곡물가 인상과 수입물가 급등 등의 여파로 단기적으로 물가가 폭발적으로 증가(3월 말 현재 전년동기비 +10.8%), 연중 물가 안정이 최대 정책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주요 부문별 소비자 물가 상승률

부문

지수

(2002년=100)

2008년 1월

상승률(%)

전년동기비

상승률(%)

음식료

143.40

1.02

9.09

의류 및 신발

108.87

-

8.61

주택

114.97

0.03

1.54

기타 상품 및 서비스

119.79

0.82

3.74

127.4

0.68

5.71

자료원 : Jordan Economic Monitor

 

 다. 투자

 

 ○ 요르단 투자청이 발표한 2007년도 총 투자동향 자료에 따르면, 2007년도 요르단의 총 투자규모는  31억4000달러를 기록

  - 2000년대 들어 계속되고 있는 두자릿수 증가율 꾸준히 유지

 

연도별 투자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총 투자

증감률

2004

591

+60%

2005

1,059

+79%

2006

2,583

+144%

2007

3,137

+21%

주 : 괄호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자료원 : 요르단 투자청

 

 ○ 투자원별로는 국내투자가 전체 투자규모(금액)의 53%를, 그리고 외국인 투자가 47%를 기록, 국내투자가 다소 앞서고 있음.

  - 요르단에 이미 투자한 외국계 기업들의 투자도 국내투자로 계상하는 관계로, 향후 국내투자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 2007년 중 외국인 투자(기 투자기업 증액투자 제외)는 전년대비 25%가 증가한 14억8000만 달러를 기록

  - 2006년에는 아랍권 국가들의 비중이 92%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2007에는 52%로 축소

  - 국별로는 바레인(4억1400만 달러, 사우디(1억4600만 달러), 미국(1억1800만 달러), 이라크(9700만 달러), 카타르(7100만 달러) 등의 순

 

출처별 연도별 투자

            (단위 : 백만 달러)

투자원

2004

2005

2006

2007

Arab

40

299

1,090

765

Non-Arab

95

91

97

717

Local

456

669

1,396

1,655

자료원 : 상동

 

2. 무역 동향

 

 가. 개황

 

 ○ 2007년 요르단의 총 수출은 전년비 10%가 증가한 JD 40억4000만을 기록

  - 전년도 20% 증가에 비해 증가폭 소폭 축소

 

 ○ 이 기간 중 수입은 JD 95억9000만으로 전년대비 18%가 증가

  - 전년도 9% 증가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

 

 ○ 수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 증가율로 인해, 무역수지는 전년도의 JD 44억에 비해 25%가 늘어난 JD 55억5000만을 기록, 수지 적자가 가중되고 있음.

 

요르단의 수출입 동향

           (단위 : JD 백만, %)

구분

2005

2006

2007

증가율

순 수출

2,570.2

2,902.7

3,179.6

+9.5

재 수출

479.3

760.4

861.7

+13.3

총 수출

3,049.7

3,668.1

4,041.3

+10.3

수입

7,442.9

8,115.8

9,593.5

+18.2

무역수지

-4,393.4

-4,452.7

-5,552.2

+24.7

자료원 : 요르단 통계청

 

 나. 지역별·품목별 수출입

 

 ○ 2007년 수출입을 지역별로 보면, 우선 수출의 경우 미국이 30%의 점유율로 최대 수출 대상국에 올라 있으며, 이어 이라크·인도 순

 

 ○ 반면, 수입은 원유수입 급증으로 인해 사우디가 전체 수입의 21%를 점유하는 최대 수입대상국이며, 이어 중국·독일·미국 등의 순이고, 한국은 7위의 수입 대상국

 

2007년 상위 10대 국가와의 수출입 동향

        (단위 : JD 백만, %)

수출

수입

국가

금액

증감률

비중

국가

금액

증감률

비중

미국

874.8

-3.3

30.1

사우디

2,019.1

-2.9

21.0

이라크

376.3

15.2

13.0

중국

927.5

9.4

9.7

인도

332.7

18.9

11.5

독일

723.6

14.6

7.5

사우디

260.5

3.8

9.0

미국

446.7

15.9

4.7

시리아

149.5

35.5

5.2

이집트

418.8

22.5

4.4

UAE

123.9

-28.4

4.3

이탈리아

318.0

6.8

3.3

이스라엘

84.5

-0.8

2.9

한국

300.1

17.4

3.1

레바논

69.7

48.9

2.4

일본

292.0

15.5

3.0

쿠웨이트

53.3

-19.2

1.8

터키

273.2

26.7

2.8

이집트

45.5

33.0

1.6

영국

201.1

8.9

2.1

자료원 : 요르단 통계청

 

 ○ 품목별로는 수출의 경우 섬유류가 27%로 최대 수출대상 품목에 올라 있으며, 수입부문에서는 원유가 15%로 최대 수입품목

 

2007년 주요 품목별 수출입

            (단위 : JD백만, %)

국내 수출

수입

품목

금액

증감률

비중

품목금액

금액

증감률

비중

의류

842.5

-22.4

26.5

원유

1,465.1

22.4

15.3

제약

298.8

-41.6

9.4

기계류

827.4

39.1

8.6

비료

274.7

81.4

8.6

자동차 및 부품

693.7

14.2

7.2

채소류

262.4

61.9

8.3

직물류

423.8

-17.5

4.4

가성칼리

227.6

25.6

7.2

철강

375.3

20.3

3.9

인광석

138.3

22.6

4.3

제약

227.0

9.1

2.4

자료원 : 상동

 

3. 한-요르단 관계

 

 가. 교역

 

 ○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수출은 2004년 5억3000만 달러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05~06년 2년간 두자릿수 감소세를 이어왔으나 2007년부터 점차 회복

  - 2007년 7% 수출신장 이후 2008년 상반기에는 무려 60%가 증가

   ·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수출은 이라크 정부의 연식 제한조치로 인해 이라크로의 중고차 재수출 길이 막히면서 2005년 이후 급속히 내리막을 걸어왔음.

 

 ○ 對요르단 수입은 적은 규모이지만 2005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

  - 요르단 내 수출산업 미발달로 전체 수입 규모는 여전히 미미

 

 ○ 수출 회복과 함께 무역수지 흑자폭도 점차 확대

  - 2007년 3억4000만 달러, 2008년 상반기 2억6000만 달러

 

우리나라의 對요르단 교역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연도

2005

2006

2007

2008.1~6

수출

468(-11.1)

359(-23.2)

386(+7.6)

294(+60.6)

수입

40(+33.7)

43(+8.0)

48(+11.7)

30(+21.4)

수지

428

316

338

264

주 : 괄호 안은 증감률

자료원 : KOTIS

 

 ○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주력 수출품목은 자동차가 압도적이며, 이어 건설광산기계·냉장고·섬유 및 화학기계 등이 뒤를 잇고 있음.

  - 총 수출 대비 자동차 수출 비중 : 52%(2008년 상반기)

 

주요 품목별 대요르단 수출

      (단위 : 백만 달러, %)

품목

2006

2007

2008. 1~6

자동차

200

201(-)

154(+69.3)

건설광산기계

0

5(+0.6)

11(+327.6)

냉장고

0

12(+44.8)

10(-9.5)

섬유 및 화학기계

-

2(-61.3)

10(+380.6)

영상기기

1

15(+39.0)

9(-17.6)

기타 석유 화학제품

0

5(-29.0)

8(+285.9)

합성수지

0

8(+159.0)

7(+90.1)

자동차부품

1

12(-12.2)

7(+11.4)

건전지 및 축전지

1

10(+95.7)

5(+96.3)

원동기 및 펌프

0

3(-13.0)

5(+205.1)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0

11(+68.4))

5(+22.9)

편직물

0

8(-6.4)

5(-2.7)

고무제품

1

10(-6.4)

5(-30.2)

가정용회전 기기

1

11(-21.4)

4(+45.8)

인조장섬유직물

0

3(-26.7)

3(+77.8)

주 : 괄호 안은 증감률, 품목은 MTI 3단위

자료원 : KOTIS

 

 ○ 요르단의 수출산업 기반이 넓지가 못해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수입은 비금속 광물과 나프타 등 기타 석유제품과 칼륨비료 등 원부자재에 집중

 

 ○ 최근 들어서는 올리브 오일, 초콜릿 등 주요 작물의 대한 수출 가능성을 타진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수준

 

주요 품목별 대 요르단 수입

           (단위 : 천 달러, %)

품목

2006

2007

2008. 1~6

기타 비금속 광물

1,616

9,964(-24.6)

10,489(+1,850.5)

기타 석유 화학제품

2,406

15,298(+8.5)

8,463(-13.2)

칼륨비료

-

12,222(+135.6)

6,422(-31.0)

알루미늄

78

3,980(-6.2)

2,086(-25.2)

정밀화학원료

200

2,240(-25.3)

1,083(+1.3)

동제품

-

2,137(+9.4)

993(+6.9)

의류

0

388(+311.5)

253(+250.9)

주 : 괄호 안은 증감률, 품목은 MTI 3단위

자료 : KOTIS

 

 나. 투자

 

□ 제조업

 

 ○ 2000년 12월 Texfil사(과테말라 진출 봉제업체)가 암만 근교 사합공단 내 대미수출 관세 및 쿼터면제지구에 약 300만 달러를 투자(2001년 11월 공장가동)해 진출했으나 2005년 청산 후 철수

 

 ○ 2003년 6월 KYC Jordan이 QIZ 지역에 법인을 설립해, 현재 컴퓨터자수 제품을 생산해서 대미 봉제수출 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 자본금 14만 달러, 종업원 수 50명

 

□ 건설 플랜트

 

 ○ 1974년 한보건설이 요르단 시장에 진출한 이래 2007년 말까지 총 57건, 8억 달러를 넘고 있음.

  - 1980년대 초반까지 건설진출 붐을 이뤘으나 중반 이후 급격히 감소, 이후 매년 1건 정도를 수주하는 데 그치고 있음.

 

 ○ 주요 기업별 건설 수주내역은 다음과 같음.

  - 한보건설 : 1974년 이래 관개, 도로 등 총 24건 수주, 공사 완료

  - 현대엔지니어링, 코오롱 건설 : 폐수처리장(EDCF자금)

  - 현대중공업 : 자르카 정유저장 시설 공사

  - 두산중공업 : Rehab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 공사

  - LS전선 : 암만 시내 지중선 매설 공사

 

 ○ 2008년 8월 현재 진행 중인 공사는 두산중공업이 2007년 수주한 암만 인근 복합화력 발전소 건설 공사 1건이나, 최근 공사 수주가 부쩍 늘어나고 있어 향후 건설 플랜트 시장 확대 전망을 밝게 하고 있음.

  - 코오롱 건설(암만 남부 폐수처리장 건설), STX 중공업(알카트라나 시멘트 공장 건설) 등 2개사는 현재 프로젝트 사무소 설립을 추진 중에 있음.

  - 9~10월 중 한국전력(알카트라나 복합화력 발전소 원청자로 선정), 롯데건설(알카트라나 복합화력 발전소 하청 참여 및 정유저장탱크 입찰 참여 추진) 등도 프로젝트 사무소 설치를 추진 중임.

   · 기타 에너지 관계회사(이라크 원유 탐사 지원 사무소), P건설, S중공업(이상 신항만 건설) 등도 현지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자원 개발

 

 ○ 한보에너지가 1993년 8월 Risha 광구 석유탐사를 위한 시추를 시작했으나, 채유 가능성 희박으로 1994년 9월 철수한 이래 우리 기업의 진출 사례는 전무하나, 최근 들어 요르단 내에 오일셀(암반유)·우라늄 등이 집중 매장돼 있다는 발표가 이어지고 있어, 조만간 국내 관련기업들의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다. 경제협력

 

□ 무상원조

 

 ○ 1991~2006년간 우리나라가 요르단에 제공한 무상원조(KOICA를 통한 지원) 규모는 약 799만8000달러이며, 주요 사업 형태별 지원실적은 다음과 같음.

  - 물자 지원 : 49만 달러

  - 개발조사 : 1건, 97만2000달러(요르단 폐수처리장 확장 타당성 조사)

  - 국내 초청연수 : 139명

  - 프로젝트 :  2건 221만3000달러(2개 정부부처 정보화 사업, 4개 보건소 건립사업)

 

 ○ 이외에, 바킷 전 총리 방한(2006년 8월) 후속 사업의 일환으로 직업 훈련원 건립 사업(3개년, 300만 달러)을 추진 중이며, 기타 혈액 은행 건립, 수질개선 프로젝트 등도 검토되고 있음.

 

□ EDCF 차관

 

 ○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EDCF 차관(수출입은행 차관) 공여실적은 총 4건, 6380만 달러 규모이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음.

  - 1992년 : Wadi Sir 폐수처리 사업(현대 엔지니어링) 1000만 달러

  - 2001년 : Madaba 폐수처리 시설(삼성, 코오롱 건설) 900만 달러

  - 2004년 : 암만 남부 폐수처리 시설(코오롱 건설), 2400만 달러

  - 2006년 : Naur 폐수처리 시설, 2080만 달러 지원 예정

 

 

자료원 : KOTIS, 주재국 통계 및 보유정보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최근 요르단 경제 및 우리나라와의 관계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