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자흐스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최진형
  • 2008-08-25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상반기 한-카 교역, 카자흐스탄 경기위축 크게 반영해 -

- 금융위기 회복기미 보여 하반기 수출시장은 소폭 성장할 듯 -

 

보고일자 : 2008.8.27.

최진형 알마티무역관

choijh@kotra.or.kr

 

 

가. 카자흐스탄 수입시장 동향

 

□ 2008년 상반기 카자흐스탄 교역흑자는 전년동기대비 2배가량 늘었음. 이는 글로벌 원부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수출액 증가와 미국 서브프라임 영향의 경기위축에 의한 수입량 감소 때문임.

 

 ○ 2008년 브렌트 원유가는 톤당 120달러를 기록했으며, 금과 곡물가격 또한 전년대비 약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통계됨. 이로 인해 에너지자원 및 광물 수출의존도가 높은 카자흐스탄은 수출액 상승 효과를 보게 됐음.

 

 ○ 반면, 미국발 서브프라임 영향으로 상반기 경기가 크게 위축됨과 동시에 고 인플레이션으로 국내 소비구매력이 감소되면서 수입량이 크게 줄게 됨.

 

□ 대 카자흐스탄 주요 수출국들의 상반기 수출량은 전년동기대비 2배 이상 감소했으나 중국의 수출량은 52.1%라는 증가율을 보여, 카자흐스탄의 중국 수입의존도가 여전히 높음을 알 수 있음.

 

  2007년 대 카자흐스탄 중국 수출량은 약 55억 달러로 러시아 다음으로 큰 수출국이었음.

 

 ○ 중국의 신장위구르 자치구는 카-중 교역의 핵심물류지역 역할뿐 아니라 생필품 및 산업재 주요 공급지로, 전 중-카 교역량의 75% 이상을 이 지역에서 차지하고 있어 양국 교역요충지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것이 특이사항임(2008.8.8 GW 무역통상, 카자흐스탄, 신장위구르 자치구 교역동향 및 시사점 참조 바람).

 

□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입품목 중 생필품은 중국에 산업부자재와 기계 등은 러시아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그 밖에 수송기계 등은 미국·러시아·EU 국가들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음.

 

2008년 상반기 대 카자흐스탄 주요 국가별 교역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수출

수입

수출량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수입량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러시아*

2,351.1

13.9

1,213.9

39.0

중국

4,468.2

52.1

3,615.9

19.1

EU**(27개국)

3,120.0

-0.7

11,608.0

66.9

미국

535.3

26.0

917.8

57.4

우크라이나

816.9

23.6

1,590.5

92.5

터키

183.9

-18.8

768.6

124.5

일본

80.5

-30.2

317.6

78.7

한국

175.4

-32.4

164.9

19.3

자료원 : WTA

* 러시아 : 2008년 1분기까지

** EU : 2008년 5월까지

 

나. 對카자흐스탄 한국 수출현황

 

□ 2008년 상반기 대 카자흐스탄 한국 수출량은 전년동기대비 32.4%가 줄었으나, 수입은 철광 및 철금속의 수입액 상승에 의해 19.4% 증가해 한-카 교역수지 흑자폭이 크게 줄어들었음.

 

 ○ 2007년 상반기 대 카자흐스탄 한국 교역수지는 약 1억2000만 달러였으나, 2008년 상반기 교역수지는 1100만 달러로 10배가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 대 카자흐스탄 한국 수출량이 줄어든 주요 원인으로는 기존의 핵심 수출품목이었던 전자제품 및 기계, 자동차, 플라스틱 등의 수출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특이점으로는 식료품과 담배 등의 수출량이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며, 의료기기 등은 전년동기대비 소폭 상승했다는 것임.

 

2008년 상반기 대카자흐스탄 한국 교역동향(품목별)

        (단위 : 백만 달러, %)

수출

수입

품목(HS Code)

수출량

증감률

비중

품목(HS)

수입량

증감률

비중

기계(84)

51.6

-26.4

29.4

철광및철금속(72)

115.8

58.8

70.2

플라스틱(39)

33.7

-8.2

19.2

구리(74)

22.0

-6.4

13.3

수송기기(87)

32.4

-51.2

18.5

납***(78)

14.9

0

9.0

전기기기(85)

16.4

-41.0

9.4

희귀광석(71)

8.7

-73.7

5.3

식료품(21)

7.8

100.7

4.5

무기화학 및
희귀금속(28)

2.8

62.3

1.7

담배(24)

7.3

204.5

4.2

기계(84)

0.2

9582.3

0.1

광학및의료기기(90)

3.1

35.2

1.7

전기기기(85)

0.02

56.8

0.01

철금속제품(73)

3.1

-43.6

1.7

염색제품(32)

0.1

-84.1

0.07

고무류(40)

3.0

-2.8

1.7

인쇄물(49)

0.07

83.2

0.05

철금속(72)

2.8

-39.4

1.6

곡물가루제품(11)

0.01

0

0.01

총 계

175.4

-32.4

100

총 계

164.9

19.4

100

자료원 : WTA

주 : *** 납 : 2008년 최초 수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다. 대 카자흐스탄 우리수출 확대를 위한 제언

 

□ 글로벌 신용경색의 영향을 크게 받은 카자흐스탄은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산업별로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 수입이 상반기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건축산업·에너지자원 개발산업 등이 2009년 중반이 되면 2006~07년 상반기 성장률에 근접해 질 것으로 예상돼 건축마감재·광산업 기계·석유화학제품 등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08년 상반기 금융위기의 절대적 영향으로 제조업 투자가 크게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내수 구매력이 크게 위축돼 전체 산업생산률이 전년대비 크게 저조해질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생필품을 비롯한 일반 소비재 수입의존도가 중국에 더욱 집중될 것으로 보이나, 기존 고가고급제품 선호도가 한국 제품과 같은 중고가제품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매우 높음.

 

 ○ 대 카자흐스탄 주력 수출품들인 자동차와 가전, 휴대폰 등의 직접수출은 2009년 상반기까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나, 평판디스플레이는 2008년 처음으로 카자흐스탄에 수출돼 연말까지의 수출액이 약 100만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파악됨.

 

□ 카자흐스탄 정부의 산업다변화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제조업분야 침체기는 당분간 유지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가공산업 및 산업자재 생산 기계플랜트 등의 진출 또한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WTA,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Global Insight 등을 통한 무역관 종합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