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80後세대, 인터넷 이용한 절약소비방식 선호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8-08-22
  • 출처 : KOTRA

中 80後세대, 인터넷 이용한 절약소비방식 선호

 

보고일자 : 2008.8.22.

허성무 베이징무역관

goo2cu@kotra.or.kr

 

 

□ 60% 이상 인터넷 통해 절약소비 가능

 

 ○ 중국 유명 종합성신문인 중국청년보사에서 3207명의 네티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0% 이상의 젊은 층이 인터넷을 통한 절약생활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중 1980년대 이후 출생자가 전체의 72.3%로, 소황제 1세대인 ‘80後’들이 대부분을 차지해 주목을 끌고 있으며, 나머지 1970년대 출생자는 21.3%, 기타 6.4%로 구성됨.

 

중국 유명 인터넷 쇼핑몰 도보망

 

 ○ 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68.4%가 인터넷을 통해 절약가능하다고 응답했으며, 그 중 비교적 절약된다고 응답한 비중은 전체의 54.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매우 절약된다고 응답한 비중은 13.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전체의 27.6%는 그다지 절약되지 않는다고 응답, 4.0%는 절약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함.

 

인터넷 사용결과 절약여부에 대한 조사결과

자료원 : ‘新一代開始節約生活 六成靑年擅長網絡省錢’

 

 ○ 조사결과 약 59.4%의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을 통해 절약한 경험이 있으며, 절약방식 중 인터넷 쇼핑을 통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34.1%로 1위를 차지함.

  - 뒤를 이어 ▷ 가격비교사이트 통해 가격정보 확인(30.9%) ▷ 공동임대 및 공동차량 사용 등(17.0%) ▷ 공동구매(13.3%) ▷ 쿠폰(12.7%) ▷포인트 적립(4.6%) ▷ 물물교환(3.2%) ▷ 물품 또는 기술에 대한 온라인 대여(2.9%)의 순으로 나타남.

 

인터넷을 통한 절약방식 순위

자료원 : ‘新一代開始節約生活 六成靑年擅長網絡省錢’

 

□ 물가상승, 인터넷 소비의 주요인

 

 ○ 이러한 새로운 소비 절약형태의 출현원인으로 ‘물가 상승으로 인해 과거의 소비 방식은 너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63.4%에 달했으며, 그 다음으로 50.1%가 ‘전자상거래 기술의 발전’을 주요 원인으로 꼽음.

  - 그 외 전체의 29.5%가 ‘자주성을 기르고 창의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28.3%가 ‘전통적인 소비 루트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예: 인터넷 서점의 서적보유량이 더 많다 등)’, 11.1%가 ‘자신의 생활권을 넓히기 위해’, 10.2%가 ‘유행을 쫓아 온라인 소비분야 정보의 알권리를 선점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됨.

 

인터넷 소비절약방식 출현요인 조사결과

자료원 : ‘新一代開始節約生活 六成靑年擅長網絡省錢’

 

 ○ 인터넷을 통한 절약소비방식을 과거 전통적인 절약소비방식과 비교할 경우, 58.1%의 응답자들은 ‘배경이 상이하다’ 즉, ‘과거에는 생활수준이 낮았고 현재는 생활원가가 높은 환경에 처해있다’고 표시함.

  - 다음은 42.8%가 ‘절약방식의 상이하다’ 즉, ‘과거에는 무조건 아끼는 방식이나 현재는 각양각색이다’고 응답함.

  - 뒤를 이어 41.4%는 ‘목적이 상이하다’ 즉, ‘과거에는 돈을 벌기 위한 것이고 현재는 더 효율적인 소비를 목적으로 한다’고 응답함.

 

□ 신용문제, 인터넷 소비 가장 큰 문제점

 

 ○ 인터넷을 통한 절약소비형태에 존재하는 문제점 관련 조사항목에서 전체의 76.8%가 신용문제를 꼽았으며, 다음은 ▷시스템의 불안정성(62.2%) ▷전반적인 규범화 부족(55.2%) ▷절약효과가 미미(42.0%)의 순으로 나타남.

 

 

자료원 : 신화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80後세대, 인터넷 이용한 절약소비방식 선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