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도 알제리 테러발생 동향
- 경제·무역
- 알제리
- 알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8-21
- 출처 : KOTRA
-
2008년도 알제리 테러발생 동향
- 알제리 정부 발표기준 130명 이상 사망, 220여 명 부상 -
- 대통령, 군인, 경찰, 외국인 및 외국인회사 근무 근로자 대상 -
박범준 알제무역관
□ 2008년도 발생 주요 테러
일시
장소
방식
대상
피해
비고
1월 2일(수)
알제동쪽
나시리야
차량 폭탄테러
경찰서
경찰 최소 4명 사망, 7명 부상
1월 9일(수)
알제 동쪽 120㎞
Tizi Ouzou 지역
도로매설 폭탄폭발
군인차량
군인 5명 사망
1월 29일(화)
Thenia
알제 동쪽 60㎞
차량이용 자살폭탄테러
경찰서
최소 3명 사망,
23명 부상
2월 8일(금)
알제 동남쪽 500㎞
El Oued 지역
총격
군인
군인 8명 사망
5월 11일(일)
알제 남서쪽 90㎞
Medea 지역
기습 총격
순찰 중인 군인차량
군인 6명 사망
군인 무기 및 군복 탈취
6월 4일(수)
알제시 외곽
Lido 지역
개인휴대 자살폭탄테러
군인 막사 및 인근 카페
정부당국은 1명 사망, 6명 부상 주장
현장 목격자에 따르면 6명 이상 사망
6월 5일(목)
밤
Cap Djenat
알제 동쪽
Boumerdes 동부
도로매설 폭탄폭발
막사 귀환 군인차량
군인 6명 사망
군인 4명 부상
6월 8일(일)
프랑스 Razel사 기차터널 복구건설 현장
Beni-Amrane
알제 동쪽 100㎞
매설 폭탄 원격조정 폭발
1차: 프랑스인 엔지니얼 및 운전기사
2차: 구조대원 및 경찰
주요 외신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Razel사 소속 프랑스인 기술자 1명 등 최소 13명 사망
알제리 정부당국은 프랑스인 1명 및 그 운전기사 1명 사망하고 10여 명 부상 주장
6월 26일(목)
알제동쪽 350㎞
Les Aftis
기습 총격
1차: 순찰 중인 경찰 차
2차: 인근경찰서
군인 4명 사망
군인 2명 부상
1차 공격 수분 후 2차 공격, 경찰 무기탈취
7월 23일(수)
알제 동쪽 70㎞
Lakhdaria
오토바이 이용
자살 폭탄테러
막사 귀환 군용차량
알제리 정부당국은 군인 13명 부상 주장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 측은 군인 13명 사망 주장
7월 27일
Chabet El-Ameur
알제 동남쪽 90㎞
Bouira 동부
차량이용
폭탄테러지방순시 대통령 일행
군인 1명 사망
군인 2명 부상
(발견된 폭탄 뇌관제거 작업 시도 중 폭발)
사전 적발 및 차량 운전 용의자 두 명 도주
8월 3일(일)
아침
알제 동쪽 150㎞
Tizi Ouzou 지역
차량이용 자살
폭탄테러Tizi Ouzou 경찰서
알제리 정부당국은 경찰관 4명 포함 25명 부상 주장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 측은 최소 38명의 경찰 및 군인 사망 주장
8월 9일(토)
밤
Zemmouri
알제 동쪽 50㎞
Boumerdes 지역
차량이용 자살
폭탄테러Zemmouri
경찰서사망: 시민 8명
부상: 8명
경찰서로 차량 접근 시 경찰이 발포해 경찰서 건물도착 전 차량폭발
8월 중순
Jijel 지역
알제 동쪽 360㎞
도로매설 원격
조종 폭탄폭발군용차량
Jijel 지역 군대사령관(대령) 등 2명 사망
2008년 초 같은 지역에서 알제리 육군사령관(Ahcene Tafer 장군) 살해 기도
8월 17일(일) 저녁
Skikda와 Jijel 사이 숲속 알제 동쪽 400㎞ 내외
도로매설 원격
조정 폭탄폭발, 로켓포, 총격3대의
군용차량 행렬인솔자인 중령 등 군인 12명, 민간인 1명, 테러리스트 4명 사망, 13명 부상
40여 명의 중무장 테러리스트들이 기습 공격
8월 19일(화)
오전
Issers
알제 동쪽 55㎞
Boumerdes 지역
차량이용 자살
폭탄테러현지 경찰학교
지원생 대기행렬사망 48명
부상 100여 명
8월 19일(화)
11시
Djebel Ouahch
알제리 동부
Constantine 북쪽 교외
도로매설 원격
조정 폭탄 폭발알제리 동서고속도로 일부구간 담당 일본 컨소시엄 외국인 근로자, 호위군인 차량
군인 1명 부상
인근 설치 또 다른 폭탄 발견 및 뇌관 제거
8월 20일(수)
오전 6시
Bouira
알제 동남쪽 90㎞
차량이용
폭탄테러1차: 군대막사
2차: SNC-Lavalin 노동자 운송버스
캐나다 SNC-Lavalin 소속 알제리 노동자 12명 사망
경찰, 군인 등 42명 부상
1차 테러발생 15분 정도 후 2차 테러발생
□ 알제리 정부군 측의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 진압 현황
일시
장소
방식
내용
비고
7월 중순
Ain al-Hamra마을
알제동쪽 70㎞
기습
회의 중이던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원 3명 사살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 주요 지도자 중 하나인 al-Tuhami 사살
8월 초순
Ait Khelfoun 마을 인근
알제동쪽 150㎞
Tizi Ouzou 지역
야간기습
알제리 정부군, 반란군 12명 사살
자동화기 등 무기 노획
□ 2007년 및 2008년도 발생 주요 인질사건
시기
내용
비고
2007년 중
2008년 5월 신화통신에 따르면 전년도 알제리 발생 375건의 공개된 납치사건 중 30% 정도가 이슬람 테러리스트들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
인질 석방대가가 1900만 달러 이상,
이 외에 강탈 등으로 수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자금 혹은 물품 조달 추정
2월 22일
알제리 국경 부근 튀니지 남부 사막에서
오스트리아 관광객 2명 납치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는 수감 중인 동료 재소자 10명의 석방 및 인질 석방대금 요구
□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AQIM) 현황
○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의 전신인 알제리 테러조직 ‘살라피스트 선교전투그룹(GSPC)’는 2006년 9.11테러 5주년을 맞아 알카에다와의 병합을 선언하고 빈 라덴에게 충성을 맹세
○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는 알-카에다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구사한 전략과 전술을 그대로 써먹고 있다.”고 한 정보기관 관계자는 전함.
○ 2008년 상반기 한 서구 정보기관 관계자는 현재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의 핵심멤버는 200명 가량에 불과하지만,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속도가 놀라울 정도라고 밝힘.
○ 언론보도에 따르면 AQIM은 수도 알제 동쪽 Kabylie 산악지대에 중심을 두고 있지만, 이 조직의 전략기지는 사하라 남쪽 말리까지 뻗어있다고 함.
○ 빈라덴의 오른팔인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4월 인터넷을 통해 2007년 12월 알제리의 유엔사무소 공격을 높이 평가하면서, 이를 2003년의 이라크 바그다드 유엔 건물 공격에 비유하기도 함.
○ 또한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2008년 5월 인터넷을 통해 일련의 테러가 미국과 프랑스로부터 알제리를 해방시키기 위한 지하드(성전)이라고 주장
○ 7월 알케에다 북아프리카 지부 지도자 Abdelmalek Droukdal은 New York Times측 서한 질문에 대한 카세트테이프 녹음 답변으로, 언제 어디서라도 미국을 타깃으로 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AQIM 테러조직망 확충 관련 분석
○ 2008년 5월 독일연방정보국 에른스트 우어라우 국장은 “우리는 북아프리카 알-카에다의 활동을 우려 속에 지켜보고 있다.”며 “일부 그룹은 그곳에 은닉한 채 오사마 빈라덴의 테러조직망을 확충하고 있다.”고 경고
○ 7월 1일 뉴욕타임스는 알제리의 무장세력이 알카에다와의 연계를 통해 세력을 확장하면서, 테러에 관한 미국의 최대 우려지역 중 하나가 되고 있다고 보도
○ 같은 신문에 따르면 알제리의 알카에다 조직은 알카에다에 수백명의 훈련된 전사들을 공급하고 있고, 유럽에 거주하는 무장세력과의 연계 가능성도 제공하고 있다고 함.
○ 7월 2일 영국의 일간 더 타임스는 온라인판에서 ‘서방 정보계’와 ‘국방부 소식통’을 인용 알카에다는 훈련과 대원선발 등을 위해 파키스탄과 알제리, 소말리아 등 3곳에 은거지를 마련하고 재기를 노리고 있다고 보도
○ 아울러 같은 신문에 따르면 서방 관계당국은 의욕적으로 대원을 선발하고 있는 소말리아와 알제리 조직의 리더들이 서구의 목표물을 타격하려는 꿈을 버리지 않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함.
○ 미국무부는 4월 의회 보고서에서 알제리를 세계에서 가장 우려되는 테러리스트 대상 지역 중 하나로 지목했다고 뉴욕타임즈는 보도
□ 테러 피해관련 주장 상의
○ 8월 초순 AQIM은 인터넷을 통해 알제리 정부당국이 폭탄테러에 의한 희상자 수를 축소해 발표하고 있다고 주장
○ AQIM은 Tizi Ouzou 지역 경찰서에 대한 차량탑재자살 폭탄테러로 최소한 38명의 경찰 및 군인을 사망하게 했다고 주장. 반면 알제리정부 당국은 25명 정도의 경찰이 부상했다고 발표
○ AQIM은 Lakhdaria지역 자살폭탄테러로 13명의 군인이 사망했다고 주장. 알제리정부 당국은 13명이 부상했다고 발표
○ 6월 8일 발생한 프랑스 Razel사 기차터널 복구건설 현장 폭탄테러 관련 주요 외신은 프랑스인 기술자 1명 등 최소 13명 사망으로 보도. 반면, 알제리정부 당국은 프랑스인 기술자 1명 및 그 운전기사 1명 사망하고 10여 명 부상 주장
□ GSPC 창설자, 테러 비난성명 발표
○ AQIM의 전신인 GSPC의 창설자로서 GSPC 내 더 호전적 구성원들에 의해 축출된 바 있는 Hassan Attab은 이슬람 주의자들에게 주로 이용되는 한 웹사이트에 지난 8월 19일 비난 성명을 발표해, 모든 파괴적인 행동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무장 반란행위는 이제 더 이상의 미래가 없다고 주장했으며, 이 성명이 알제리 현지 언론들을 통해 공개됨.
○ GSPC는 당시 활동 중이던 GIA(Armed Islamic Group)의 양민 대량학살에 반대해 Hattab이 조직으로부터 탈퇴하면서 1998년 창설된 바 있음.
○ Hattab은 알제리 정부 특별사면을 받기 위해 2007년도에 정부당국에 투항했고, 2006년 3월에도 GSPC 구성원들에게 정부 특별사면을 받아들이라고 권고하며 더 이상의 미래가 없고 투쟁을 중단하는 것이 Sharia(이슬람교의 聖法, 사람이 바르게 살아가는 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 의무라고 주장한 바 있음.
□ 알제리 내전 발생 내용
○ 알제리는 1992년 초 이슬람 원리주의 정당인 FIS(Islamic Salvation Front)가 압승을 거두리라고 예상된 의회선거 결과가 군부 지원을 받은 정부에 의해 취소되고, FIS 강제 해산 및 그 구성원들에 대한 탄압 이후 10여 년간 정부군과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 간 내전 상황이 유발돼 약 20만 명 사망
□ 향후 전망
○ 아랍계 신문 및 현지 전문가들은 오는 9월 초부터 한달간 이어지는 Ramadan(이슬람 금식기간) 중 테러 증가 전망
○ 2009년 상반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고 그 이전에 부테플리카 현 대통령 3선을 위한 개헌 추진 중으로 테러 더욱 증가 가능성 있음.
○ 6월 8일 원격조종 폭탄폭발 테러로 인한 프랑스 Razel사 근무 프랑스인 기술자 1명 사망, 8월 19일 같은 방식에 의한 일본 콘소시움 Cojaal 근무 외국인 및 호위차량에 대한 테러, 8월 20일 캐나다 SNC Lavalin 소속 알제리 노동자 12명 사망 및 15명 부상 등 외국인 혹은 외국계 회사 근무자에 대한 테러 발생 중
자료원 : 현지 일간지, 외신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08년도 알제리 테러발생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수요확대가 예상되는 일본 RF-ID시장 동향
일본 2008-08-21
-
2
美, 제조업체 다시 미국으로
미국 2008-08-21
-
3
걸프국가, 공사비 상승 등으로 프로젝트 중단사례 속출
사우디아라비아 2008-09-20
-
4
독일, 지열 에너지 이용현황
독일 2008-11-30
-
5
日, 불황에도 돈이 되는 상품은 분명 따로 있다(2)
일본 2010-06-08
-
6
스페인 전력시장 동향
스페인 201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