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정보] 사우디 가스전 개발과 외국기업 진출동향
  • 투자진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권용석
  • 2008-05-15
  • 출처 : KOTRA

사우디 가스전 개발과 외국기업 진출동향

- 담수·발전 프로젝트 확대에 따른 가스수요 지속 증가전망 -

- 가스분야 외국인투자 개방 이후 Shell, Total, Lukoil, Sinopec 등이 가스전 개발참여 -

 

보고일자 : 2008.5.15.

권용석 리야드무역관

kotrariy@kotra.org.sa

 

 

□ 사우디 가스자원 및 생산현황

 

 ○ 세계 제4위 천연가스 매장량 보유

  - 사우디 천연가스 매장량은 2006년 기준 248조5000억ft³로, 러시아(1680cf·이란(971조cf)·카타르(911cf)에 이은 제4위의 매장량을 보유

  -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의 약 60%는 수반가스로, 지상의 Ghawar 유전과 해상의 Safaniya 및 Zuluf 유전에 집중

  - 비수반가스는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Ghawar 유전 하층부의 Khuff 구조에 존재하며, Dorra 가스전은 쿠웨이트와의 중립지대 Khafji 유전 인근에 위치

 

  연간 850억㎥ 생산, 전량 국내소비

  - 사우디의 연간 천연가스 생산량은 2006년 기준 850억㎥로, 전량 국내에서 소비

 

사우디 가스매장, 생산 및 소비량 현황

구분

2002

2003

2004

2005

2006

매장량(십억ft³)

234,673

238,492

241,323

243,648

252,607

가스전 수

12

13

14

14

n.a.

천연가스 생산량(십억㎥)

61.1

67.9

76.5

81.4

85.0

천연가스 소비량(천bbls)

327,008

339,796

376,140

416,897

527,695

자료원 : 사우디 석유광물자원부

 

□ 가스전 개발계획

 

 ○ 사우디는 장래의 석유자원 고갈시대를 대비해 탈석유 산업정책의 일환으로 가스개발에 중점적으로 투자

  - 지난 10년간 약 48조ft³의 가스 매장량을 추가 개발한 바 있으며, 현재 가스전 개발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음.

 

 ○ 2006년 11월 사우디 석유광물부와 석유공사(Aramco)는, 2016년까지 1조4160억㎥의 가스매장량을 추가 발굴하기 위한 장기전략을 수립, 9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

   - 사우디 아람코 5개년 계획에 의하면 307개의 새로운 광구를 시추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생산되지 않는 홍해와 홍해·리야드 북부 Nafud basin 지역에도 가스탐사 및 개발계획을 추진할 계획

  - 담수·발전 플랜트의 지속적인 확충에 따라 가스수요가 크게 증가될 전망으로, 추가 개발되는 가스는 LNG를 제외하고는 전량 국내수요에 충당할 전망

 

□ 외국기업의 가스개발 사업 진출동향

 

 ○ 사우디는 1970년대 이래 외국에 개방하지 않았던 가스분야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외국인투자를 개방해, 2003년 6월 가스개발 촉진정책에 따른 외국기업과의 투자유치협상 완료

  - 유럽 Royal Dutch Shell, 프랑스의 Total, 러시아의 Lukoil 등 주요 석유·가스기업이 사우디에 투자

 

 ○ South Rub al-Khail Company(SPAK)

  - 사우디아람코(30%), Royal Dutch Shell(40%), Total(30%) 컨소시엄

  - 20억 달러 투자, 2개 지역 21만㎢ 이상의 지역에 탐사계획

   · Blocks 5~9 : 오만과 UAE 국경지역의 Shaybah, Kidan 유전 근처

   · Blocks 82~85 : 사우디-예맨 국경지역

  - 2009년부터 연간 652억㎥의 가스를 생산, 사우디정부에 판매할 목표를 세웠으나 최초 가능성이 높은 3개 광구 시추후 가스가 발견되지 않자, 프랑스의 Total사가 컨소시엄에서 탈퇴, 지분을 매각예정이나 Shell은 이 프로젝트에 계속 참여할 계획

 

 ○ Luksar

  - 사우디아람코(20%)와 러시아의 Lukoil(80%)의 합작투자법인

  - Lukoil은 2004년 1월 Ghawar 유전 근처 Block A의 Empty Quarter(2만9000㎢) 비수반 가스탐사 허가권을 취득

  - Luksar는 현재까지 2개 광구를 시추했고 3번째 광구 시추계획

 

 ○ Sino Saudi Gas

  - 아람코와 중국의 Sinopec 합작투자법인

  - 2004년 1월 중국의 Sinopec가 block B의 E&P(3만8000㎢) 가스 탐사 허가권을 취득

  - 현재까지 2개 광구를 시추

 

 ○ LENIREPSA Gas

  - 아람코와 Eni-Repsol 합작법안

  - Block C(5만2000㎢) 가스개발권을 수주해 2006년 9월에 최초 광구 시추했고, 2009년까지 총 27개 광구 시추예정

 

□ 가스처리 시설 확충계획

 

 ○ Hawiyah NGL Recovery Plant

  - 2007년 4분기에 확장개발 시작

  - 1일 40억ft³의 천연가스 및 32만 배럴의 NGL 생산능력 보유

  - 이에 따라 2002년 10월 가동을 시작한 1일 15억2000만ft³ 규모의 Hawiyah 가스처리시설 또한 50%가 확대될 예정

 

 ○ Khursaniyah Gas Plant

  - 2007년 12월 시작

  - 1일 10억ft³의 수반가스를 신규로 생산 처리

  - Abu Hadriyah, Fadhili, Khursaniyah 유전개발계획과 함께 Khursaniyah 북부지역에 1일 6억5000만ft³의 수반가스전 개발계획

 

 ○ Juaymah Gas Plant Expansion

  - 2008년 1분기 시작

  - Hawiyah NGL Recovery Plant와 Khursaniyah Gas Plant로부터 에탄과 NGL스팀을 분류하기 위한 플랜트로 분류처리능력은 약 50% 확대될 예정

 

 

자료원 : 사우디 석유광물부, Saudi Aramco, Global Investment House,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사우디 가스전 개발과 외국기업 진출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