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웨이트, 올 경제전망 및 주요 인프라 개발 계획
- 경제·무역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김익환
- 2008-05-12
- 출처 : KOTRA
-
쿠웨이트, 2008년도 경제전망 및 주요 인프라 개발 계획
- 정유생산능력 대폭 확대 및 교통시설 개발 본격화 -
보고일자 : 2008.5.12.
김익환 쿠웨이트무역관
□ 일반 경제
o 석유의존형 경제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제한적 개혁 조치 예상
- 외국기업 법인세율 인하 조치가 시행되는 가운데, 쿠웨이트 프로젝트 등은 국회 반대로 2008년 중에는 시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
o 석유 판매 수입 및 투자 수익 등으로 인한 정부 재정 확대 지속 예상
- 전체 정부 재정이 700억 규모로 구성되는 가운데, 350억 가량의 재정 흑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o 고유가 등으로 인한 8% 수준의 실질 GDP 성장률을 기록하는 가운데, 연중 물가상승률은 4~5%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석유 판매 수입이 전체 실질 GDP의 45%, 전체 수출의 90% 수준 차지 예상
o 달러화 약세에 따른 쿠웨이트 디나르의 지속적인 평가절상 예상
- 2008년 말 기준 $1:0.26KD 수준 예상(2007년 말 기준 $1: 0.272KD)
□ 에너지 부분
o 석유생산 확대 추진
- 국영석유회사(KPC)는 2020년까지 석유·정유생산 확대 등을 위해 680억 달러 이상의 신규투자 계획 추진 중
- 2020년까지 원유생산을 250만→400만b/d, 정유생산을 90만→150만b/d로 증산 계획
o 그러나, 쿠웨이트 북부 4개 유전지대 원유 생산량을 현재 일일 60만 배럴에서 90만 배럴로 증산하기 위한 ‘쿠웨이트 프로젝트(북부 유전개발)’는 일부 국회의원의 반대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
- KOC(국영원유공사)는 Exxon Mobil(미국)과 ‘쿠웨이트 프로젝트’ 개발에 관한 기술협력 MOU 체결(2007년 9월)
o 한편, KOC의 Ahmadi 석유수출시설 등이 2010년 완공되면 원유생산을 일일 300만 배럴까지 증산 가능 전망
□ 정유생산 부문
o 정유생산능력(2007년 : 93만 배럴/일→2020년 : 150만 배럴/일)을 확대하기 위한 ‘제4차 정유공장 프로젝트(61만5000b/d, 150억 달러)’가 본격 추진될 전망(2011년 완공 목표)
- 2008년 1/4분기 낙찰업체가 최종 선정될 전망이며, 우리 건설업체도 주요 패키지에 다수 기대
- 현재 쿠웨이트에서는 3개 정유공장에서 일 93만 배럴의 정유제품 생산 중
- 기존 정유공장은 노후화되고, 간헐적 화재사고 발생 등의 문제점 발생
o 기존 정유공장을 현대화하기 위한 ‘Clean Fuel Project(100억~150억 달러 상당)’는 2008년 하반기에 본격 입찰절차 진행 전망
□ 석유화학 부문
o 현재 추진 중인 Equate Ⅱ가 완료되면, 2009년 중 Equate Ⅲ 프로젝트(약 50억 달러 상당)를 본격 추진할 것으로 전망
- 국영석유화학회사(PIC)는 1977년 석유화학단지인 Equate Ⅰ을 Shuabia에 설립했으며, 현재 Equate Ⅱ 프로젝트 사업 추진 중
- Equate Ⅱ 프로젝트 중 에틸렌 프로젝트는 테크닙(이탈리아), Aromatics 프로젝트는 SK건설·테크닙 컨소시엄이 수행 중
o 아울러, 성장성이 높은 아시아 석유화학시장 등을 대상으로 중국에 합작 석유화학회사 설립을 검토중
□ 가스 생산
o KOC는 북부 가스생산 지대에서 2008년 2월부터 약 2억ft³/일의 천연가스 생산을 개시하고, 2011년부터는 6억ft³/일, 2015년에는 약 10억ft³/일을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
- 2005년에 쿠웨이트 Sabrya 및 Umm Niqa 지역에서 38조ft³ 상당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조사
o 가스생산은 국내소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기존 발전소와 수비야 지역에 설립 중인 1500㎿ 발전소 및 PIC의 Olefin Ⅲ 석유화학공장에도 가스를 공급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석유운송 부문
o 국영석유운송회사(KOTC)의 New Building Project Ⅱ에 따라 대형 유조선 4척(VLCC 30만 톤급, 척당 1억3000만 달러)과 Afrmax(10만 톤급, 척당 약 1억 달러) 발주 준비 중
- 우리업체(현대중, 삼성중, 대우조선)와 일본업체(Kawasaki조선)가 P.Q를 통과했으며, 2008년 상반기에 건조업체가 선정될 전망
- KPC 산하에 국영석유운송회사(KOTC)는 현재 29척의 선박을 보유 중이며, 선박현대화 계획에 따라 노후 선박을 단계적으로 교체작업 중
o New Building Project Ⅲ는 Project Ⅱ의 입찰절차가 완료되면 구체계획을 작성해 관계기관 승인을 얻은 후, 2009년 중순경에 입찰절차 개시 전망
- New Building Project Ⅲ에는 Panamax Vessel(7만톤급) 4척 등을 신규건조하는 방안이 검토
□ 발전·담수부분
o 쿠웨이트 정부는 향후 5년간 약 7000㎿의 용량을 추가 증강해 전력난을 해결한다는 계획
- Shuwaik 발전소 및 담수공장을 건설 중이며, North Az-Zour 발전소(3000㎿) 및 Sabiya 발전소(1500㎿)를 건설할 계획
- Sabiya 발전소는 2008년 3월 중, North Az-Zour 발전소는 2008 하반기에 입찰절차 진행 전망
- 쿠웨이트는 약 9700㎿의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매년 7%의 전력수요 증가로 여름마다 전력난을 겪고 있음.
- 전력난 및 물부족 현상은 최근 발전·담수부분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 부족 및 요금체계 미비에 따른 과다 소비에 기인
□ Gulf Hub 및 교통시설 건설사업 추진
o 2008년 중 부비얀섬 개발과 관련해, 부비얀섬 항만 준설 및 컨테이너 터미널 개발 등과 관련한 프로젝트가 발주될 전망(약 10억~15억 달러 상당)
- 또한, 쿠웨이트시와 사비야시를 연결하기 위한 Sabiya Causeway(26㎞, 20억 달러)는 2008 하반기에 입찰절차 진행 전망
- 걸프지역의 무역·물류중심지(Hub) 위치를 회복하고, 석유 의존형 경제를 탈피하기 위해 Silk City, 부비얀섬 등의 프로젝트를 장기 국가과제로 추진 중
- 그러나, UAE·카타르 등에 비해 추진속도가 느린 상황
o 쿠웨이트 시내의 심각한 교통난을 완화하고, GCC 철도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지하철 및 철도 마스터플랜을 마련 중이며, 향후 정부계획으로 확정 후 단계적으로 추진할 전망
- 지하철은 쿠웨이트 시를 중심으로 4개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1단계로 3개 노선 69㎞를 건설한다는 계획
- 철도는 GCC 철도네트워크 건설계획과 연계해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남북축으로 244.8㎞를 건설해 사우디 국경부근인 Qasr지역을 경유해 사우디 철도와 연결하고, 북부방향으로는 이라크 국경 부근인 Abda지역을 경유해 이라크 철도와 연결한다는 계획
o 아울러, 연간 600만 명 수용 규모의 공항을 2000만 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2008년 중 활주로 1개 신설 및 확장(7억 달러), 1개 여객청사 신축(6억 달러)에 본격 착수할 전망
□ 신도시사업 추진 등 부동산 경기 활황세 지속
o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인구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약 7만 세대 규모의 3개 신도시 사업(20억 달러) 추진 중
- 또한, 각종 상업용 고층건축물·종합병원 건축 등의 사업도 활발히 추진될 전망
정보원 : 쿠웨이트 기획예산부, 쿠웨이트 국영석유회사 관계자 및 현지 진출 한국기업 인터뷰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올 경제전망 및 주요 인프라 개발 계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택시기사 시위가 만들어낸 수출유망상품
호주 2008-05-09
-
2
美 완구업계 PVC 사용 '빨간불'
미국 2008-02-22
-
3
중국기업, 해외기업 인수합병 급증
중국 2008-09-29
-
4
태국에서의 외국인 토지소유권
태국 2007-10-31
-
5
UAE 두바이, DP World 2007년도 순이익 52% 증가
아랍에미리트 2008-04-26
-
6
현대자동차 인도법인, i20 유럽수출 개시
인도 2008-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