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페루, 에너지 자원구조 천연가스 중심으로 전환
  • 투자진출
  • 페루
  • 리마무역관 박종근
  • 2008-04-30
  • 출처 : KOTRA

페루, 에너지 자원구조 천연가스 중심으로 전환

 

보고일자 : 2008.4.29.

박종근 리마무역관

pjk7890@kotra.or.kr

 

 

□ 페루 에너지 자원 현황

 

 ㅇ 페루의 에너지 소비 구조가 천연가스 비중이 점차 높아져가는 변화를 보이고 있음. 페루 광업에너지부에 의하면, 지난해(2007년) 말 주요 에너지원으로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산업분야는 어업·금속기계·식품분야 등에서 222개사였으며, 올해에는 250개사 이상이 될 것이라고 함.

 

 ㅇ 이런 증가는 전반적인 산업분야에서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기존의 석유기반의 재래식 연료를 교체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ㅇ 페루 광업에너지부는 까미세야 가스전(한국 SK 투자진출)에서 생산되는 응축 천연가스 소비량 이 전체 연료 소비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유 소비량은 전체 연료의 50% 미만이라고 함.

 

 ㅇ 참고로 아래의 표는 2002년 까미세야 가스전 개발전과 2005년 개발 시점, 그리고 2015년 페루의 에너지 자원 매트릭스를 비교한 표임.

 

페루의 연도별 에너지 자원 매트릭스

자료원 : 페루 광업에너지부

 

 ㅇ 페루 에너지 차관에 의하면 최근 들어 재생에너지(하이드로·바이오 연료 등)의 비중이 20%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에너지부 탄화수소 국장(Mr. Gustavo Navarro)에 의하면, 2015년에는 석유·천연가스·재생에너지 소비량이 각각 3분의 1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함. 이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기오염 감소를 위해 불가피한 것으로, 페루 정부는 이러한 에너지구조 정착을 위해 향후 2~3년간 집중 관리·유도해나갈 것이라고 함.

 

 ㅇ 페루 광업에너지부는 까미세야 가스전 개발 이전에는 공장 설비 가동에 천연가스를 도입하는 데 확신이 없었으나, 이제는 상황이 확실히 변화해 현지 업체들은 천연가스 연결과 설치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거의 없어졌다고 함. 그러나 원거리 소재업체들은 가스 파이프라인 연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Virtual Gas Pipeline’ 투자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Virtual Gas Pipeline’은 가스를 응축·전환하는 시스템으로 제반 수송편을 이용해 급유기 탱크로 천연가스를 보낼 수 있음.

 

 ㅇ 현재 4개의 ‘Virtual Gas Pipeline’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Energy Gas사와 Petroperu사가 추진하는 프로젝트 시스템은 올해 말에는 가동될 예정임. Irradia사 프로젝트도 올 연말로 예상하고 있으나, Neogas사의 경우에는 내년 초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함.

 

 ㅇ ‘Virtual Gas Pipeline’에 의한 천연가스는 Arequipa·Chiclayo·Trujillo·Huancayo 지역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차량용·가정용으로도 공급될 예정이라고 함.

 

 ㅇ 페루의 2007년 천연가스 차량 개조 비중 추이

 

2007년 탄화수소 평균수요

연료

MBPD

비중(%)

Diesel 2

64

35

Natural Gas

42

23

LPG

26

14

Residual

21

12

Gasoline

21

11

Turbo

4

2

기타

4

2

Kerosene

1

1

183

100

자료원 : 페루 광업에너지부

 

2007년 말 천연가스 과밀구조

부문

이용객 수

산업분야

222

주택 및 상업지역

7,626

전력회사(*)

4

차량(**)

24,000

31,852

(*) : Ventanilla, Santa Rosa, Enersur, Globelec

(**) : 24개 LNG 가스 주유소

자료원 : 페루 광업에너지부

 

연도별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

연도

석유(단위 : 천 배럴)

천연가스(단위 : 백만ft³)

1997

43,157.3

8,530.9

1998

42,192.1

14,426.8

1999

38,663.5

14,979.2

2000

36,313.5

12,188.4

2001

35,440.3

13,076.6

2002

35,355.8

15,598.6

2003

33,342.5

18,483.1

2004

34,448.1

30,355.7

2005

40,622.6

53,347.1

2006*

41,724.7

62,770.8

2007*

41,106.7

94,486.0

주 : * 2006~07년은 잠정 데이타

자료원 : 페루 광업에너지부, 광물·석유·에너지청

 

□ 시사점

 

 ㅇ 페루정부는 천연가스 및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음.

 

 ㅇ 특히 천연가스 소비구조 확대를 위해 ‘리마시 교통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리마시 대중교통수단인 버스들을 천연가스 사용 버스를 도입하고, 택시 등도 휘발유에서 LNG로 전환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 적극 유도하고 있음.

 

 ㅇ 우리나라 SK가 까미세야 가스전 개발에 참여해 한국업체의 위상이 제고되어 있어 현지의 각종 천연가스 및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진출에 우리 업체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망됨.

 

 

자료원 : 페루 에너지광업부, 석유공사 자료 취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에너지 자원구조 천연가스 중심으로 전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