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리기업의 알제리에 대한 투자사례 및 진출방안
  • 경제·무역
  • 알제리
  • 알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4-29
  • 출처 : KOTRA

우리기업의 알제리에 대한 투자사례 및 진출방안

- 건설 및 건축설계, 자동차도소매, 의료기기판매 등 부문 투자진출 -

- 현지 유력 민간기업과의 합작, 기 진출 다국적기업과 협력 등 유망 -

 

보고일자 : 2008.4.28.

박범준 알제무역관

pomjoon@hotmail.com

 

 

□ 한국의 투자진출 동향

 

우리기업의 대 알제리 투자현황(2007년 12월 현재)

               (단위 : 천 달러)

현지법인명

신고건수

신규법인

신고금액

투자건수

투자금액

비고

총계

23

5

288,173

30

196,543

 

Daewoo Algeria Hotel Co., Ltd.

8

1

263,423

21

179,719

2001년 11월 매각 철수

Daewoo Automobiles S.P.A.

7

1

22,996

5

16,191

2003년 12월 청산

KT Algerie

1

0

700

0

0

통신

Keangnam Algerie SPA

3

1

404

1

84

건설

La Sarl Ssang Yong Motor Algeria

1

1

300

1

300

자동차 도소매

Sarl Space Group Strategie

2

1

250

2

250

건축설계

Nuga Best Algeria

1

0

100

0

0

의료기기 판매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알제리 주요 진출분야는 건설 및 건축설계, 자동차 도소매, 의료기기 판매 등임.

 

 ○ 그동안 한국기업들의 대 알제리 투자진출 역사를 살펴보면, 대우건설은 1993~2001년까지 힐튼호텔을 경영한 바 있고, 대우자동차도 1996~2003년에 자동차 판매법인을 운영한 바 있음.

  - 대우건설 해체에 따라 두개 투자건 모두 매각 철수 혹은 청산

 

 ○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의 알제리 제조업 부문 투자사례는 없음.

 

□ 투자진출 사례

 

1) 공간기획

 

 ○ 진출연도 : 2007년도

 

 ○ 투자금액 : 25만 달러

 

 ○ 부문 : 건축설계

 

 ○ 주요사업

  - Boughezoul 신도시 도시계획 용역 수주

   · 동명기술공단 등과 컨소시엄 구성 수주(2007년 7월)

   · 수주금액 : 100억 원 내외(1000만 달러)

   · Boughezoul 신도시 : 알제 남쪽 250㎞, 2150만㎡ 규모

  - Bouinan 신도시 2지구 도시계획 용역 수주(2007년 12월)

   · 동명기술공단 등과 컨소시엄 구성 수주

   · 수주금액 : 95억 원(950만 달러)

   · Bouinan 신도시 : 알제 서남부 35㎞, 2175㏊(650만 평) 규모

 

□ 진출방안

 

 ○ 현지 유력 민간기업과의 합작

  - 삼성전자의 경우 알제리를 북아프리카 가전시장 진출 교두보로 삼아 2006년 알제리 최대민영 기업인 세비탈 그룹과 생산설비 및 기술수출 계약을 맺고 연산 TV 20만 대, 냉장고 20만 대, 세탁기 및 에어컨 각 10만 대 규모의 가전제품 위탁생산 체제를 구축

  - 이를 통해 지속적인 가전제품 생산설비 및 기술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현지 유력기업과 합작해 기술·플랜트 수출을 함께 추진하는 것 역시 하나의 좋은 시장진출 전략

 

 ○ 기 진출 다국적기업과의 협력

  - 알제리 시장 진출 선발주자인 EU의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및 일본, 중국 등은 물론 최근 알제리와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미국, 러시아 및 인근 중동국가의 다국적 기업들과의 협력 및 Subcontract 등을 통한 진출추진 역시 유망

 

 ○ 민영화 대상 유망 공기업 인수 활용

  - 철강, 통신, 전자, 의료, 건설 및 건설장비, 운송기기, 광물분야의 민영화 대상 유망 공기업 경영권 인수 혹은 지분참여를 활용한 진출 역시 유망

  - 이를 위해서는 각 부문별 SGP(공기업 자산관리공사)와의 지속적 관계수립 및 민영화 대상 공기업 공개입찰 참여가 필요

  - 관심대상 대형 공기업에 대해서는  MPPI(민영화 투자유치부)를 통한 개별적 공기업 인수의사 제출도 검토할 필요

 

 ○ 직접투자

  - 저렴한 에너지 가격을 활용한 석유화학부문에 대한 직접투자는 물론 알제리 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발전 및 전기부문, 제약부문, 엔지니어링 및 자동차부문, 식품가공 부문 등에 대한 직접투자 역시 유망

  - 직접투자 관련 MPPI 및 산하기관인 ANDI(알제리투자청)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

 

□ 투자 유망분야

 

 ○ 건축자재(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등)

  - 주택 및 도로, 항만, 공항, 철도 등 각종 대규모 인프라 구축사업 추진 중

  - 1990년대 10여 년간의 내전(군부와 이슬람 원리주의자 간)으로 인한 각종 인프라 낙후 및 최근 석유 및 가스가격 상승으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자금 확보

  - 알제리 국내 저렴한 석유, 가스 및 전기가격을 활용한 제품생산 및 내수판매, 수출 가능

 

 ○ 석유화학 부문(비료, 각종 석유화학 제품 등)

  - 석유 및 가스에 대한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알제리 정부차원의 육성정책 추진

  - 알제리 국내 저렴한 석유, 가스 및 전기가격을 활용한 제품생산 및 내수판매, 수출 가능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리기업의 알제리에 대한 투자사례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