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과 세계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 시장동향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연건
  • 2008-04-25
  • 출처 : KOTRA

일본 및 세계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 경보 시스템 시장동향

- 고급차량을 중심으로 보급 중 -

 

보고일자 : 2008.4.25.

김연건 동경무역관

The3j@kotra.or.jp

 

 

□ 첨단 공기압 측정을 통한 차량안전 향상 관련 흐름

 

 ○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는 2000년도 미국 파이어스톤사의 타이어를 장착한 포드사의 SUV 기종이 리콜된 시점부터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이 의무화 등을 검토하면서 활발히 연구함.

 

 ○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시스템은 ABS의 차륜 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간접방식과 타이어 호일에 센서모듈을 내장하는 직접식의 2가지 방식이 존재함.

 

 ○ 기존에는 간접식·직접식이 모두 사용됐으나, 2004년도에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은 개정안을 발표하면서 공기압 경보를 울리는 기준치를 30%와 25%의 2개 중 하나였던 것을 25%로 일원화하게 됐음.

  - 이에 따라, 간접방식에 따라서는 기술적으로 계측이 힘들다는 점(25%의 경우) 등에 의해 직접방식으로 일원화가 진행됨.

 

 ○ 이에 따라, 2007년 9월 이후 판매되는 차량에는 이러한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이 의무화 됨에 따라 각 차량들이 적용받게 됐음.

 

 ○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의 최종 규칙(FMVSS138)은 아래와 같음.

  - 적용율 25% 이하의 메이커에는 경고를 행함.

  - 적어도 1개의 타이어(최대 4개)에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을 장착을 추천함.

  - 50~100㎞/h까지의 주행으로부터 20분 이내에 모니터링을 개시함.

  - 스페어 타이어에는 제외함.

  - 50~100㎞/h까지의 주행 중에의 기능 불량사항 역시 20분 내에 통지해야 함.

  - 이하의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도입(2005년 10월 20%, 2006년 9월 70%, 2007년 9월 이후 100%)

 

 ○ 직접식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은 자동차의 4개 축 전체에 센서 모듈을 내장시킴.

  - 내용물은 PCB수지로 패키징한 내부에 내부기판(프린트배전기판)을 사용함.

  - 주요 구성품은 센서, 컨트롤 IC, 전지, RF송신회로 등이 해당함.

  - 센서 부분은 반도체식 압력 온도센서가 채용됨. 전지의 에너지절약, 송신데이터 간섭방지 등을 위해 가속도 센서도 내장하는 경우가 많음.

  - 컨트롤 IC의 경우는 소프트웨어·검출회로 변조회로·A/D컨버터가 내장되며, 센서칩과 함께 1개의 패키지로 출하되는 경우가 많음.

  - RF송신회로의 발진자 부분은 Keyless 엔트리 및 이모빌라이져를 사용한 SAW 발진자가 사용됨. 수신측의 ECU 유닛 부분은 수정이 발진자로 사용됨.

  - 센서모듈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은 315~433㎒대를 사용(일본의 경우는 출력제한이 있으므로 다소 차이 있음)

  - 전지부분은 리튬 1차전지의 BR 또는 CR 타입 사용

 

 ○ 직접식 타이어공기압 경보 시스템의 시장동향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2007년 9월 이후 장착이 의무화된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확대경향을 보임.

  - 북미시장은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375만6000대임(2007년도 기준으로 출하차량 중의 장착률은 85.1%에 해당함).

 

 ○ 현재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의 세계시장은 북미 90.73%, 유럽 9.22%, 일본 0.05%에 지나지 않지만 이후에 증가 가능성이 크게 존재함.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 세계 규모추이

            (단위 : 장착 대수)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일본

3,400

1,270

810

700

6,600

10,700

7,000

북미

900,000

1,200,000

1,550,000

1,950,000

3,920,000

6,630,000

13,756,000

유럽

300,000

400,000

624,190

762,000

980,000

1,185,000

1,398,000

전체

1,203,400

1,601,270

2,175,000

2,712,700

4,906,600

7,825,700

15,161,000

자료원 : 야노연구소

 

 ○ 일본은 도요타의 렉서스 기종 중 GS·SC 기종만이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음.

  - 2007년도는 전년대비 35%가 감소했음.(7000대 추산).

  - 렉서스 북미 수출기종은 안테나 1개가 수신하고 있으나, 일본 내수기종은 전파법 관계가 있어 각 발신부에 가까운 곳에 안테나 4개를 설치하고 있음.

  - 역으로 수입업자는 전파법 때문에 GM사의 허머를 수입하는 미쓰이 물산은 수신모듈을 다 떼어내서 수신에러가 발생치 않도록 소프트웨어 변경 등을 실시하게 됨.

 

 ○ 일본은 도로사정이 좋으며 각 주유소 등에서의 공기압 체크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어, 일단은 극히 일부 고급 차량에만 채용될 가능성이 높음.

 

 ○ 북미시장은 100% 장착이 의무화돼 있음에 따라 큰 성장이 예측되나, 서브프라임 사태에 의해 차량판매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시장 축소도 가능하다고 보임.

  - 한편 유럽은 성장가능성이 큰 시장이며, 간접식 체크 방식을 채택하는 기업 역시 상당수 있어 추이가 주목됨.

 

 ○ 한편, 관련 센서모듈 등의 생산기업은 태평양공업 등이 있음.

  - 도요타 자동차 등에 채택되는 것은 태평양공업의 것임.

 

□ 시사점

 

 ○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은 자동차와 관련해 새로운 분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국가적 시책 등의 변화에 따라 큰 시장으로 대두할 수도 있는 분야로 보임.

  - 관련해 해외의 흐름 등을 관찰하며 참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야노경제연구소, 인터넷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과 세계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 경보시스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