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타이어업계, 세계전략 수립 부심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일
  • 2014-02-17
  • 출처 : KOTRA

 

일본 타이어업계, 세계 전략 수립 부심

- 요코하마 고무 금호타이어와 제휴 발표 -

- 스미토모 고무는 굿이어와의 제휴 해소 -

- Big3의 아성 높고, 신흥 메이커 추격에 시달려 -

 

 

 

□ 메이커 간 합종연횡 움직임 가속화에는 의문점도

 

 ○ 일본 3위 기업인 요코하마 고무는 금호타이어와 기술제휴 기본계약을 체결함. 두 회사는 2013년 11월, 기술 및 자본제휴를 위해 협의해 나가기로 합의함.

  - 요코하마 고무는 세계 8위, 금호타이어는 12위 업체로 세계 시장점유율은 각각 3.0%, 1.9%(2012년 매출액 기준)임.

 

 ○ 타이어업계 세계 5위인 스미토모 고무공업은 지난달 자본 및 업무제휴 관계에 있는 3위 굿이어 사로부터 제휴관계 해소를 요청받았다고 발표함.

  - 두 회사는 1999년에 자본업무 제휴에 합의해 현재 스미토모 고무의 ‘던롭’과 ‘굿이어 타이어'의 구미 생산판매회사와 일본의 판매회사, 미국의 조달, 기술개발 공동출자회사를 갖고 있음.

  - 또한,  합작사업에 의해 독자적인 판매전략을 실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이고, 구미와 일본 시장 이외의 신흥국 시장에서 두 회사의 경합관계가 격화돼 굿이어 측으로서는 제휴의 이점이 사라진 것으로 판단함.

 

 ○ 세계 시장점유율이 10%를 초과하는 업체는 브리지스톤, 미쉐린, 굿이어 등 3개사로 이들을 포함, 중장기적 생존전략 차원에서 합종연횡이 이루어지고 있음.

  - 신흥국에서의 판매경쟁 등은 합종연횡에 따른 부작용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나, 연구개발비 부담 등으로 인해 업계 간 제휴는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 중론임.

 

세계 타이어시장 점유율(2012년 매출액 기준)

            (단위: %)

순위

업체명

점유율

순위

업체명

점유율

1

브리지스톤

15.3

7

한국

3.3

2

미쉐린

14.0

8

요코하마 고무

3.0

3

굿이어

10.1

9

Cheng Shin

2.5

4

콘티넨탈

5.8

10

Hangzou Zhongce

2.4

5

스미토모 고무

4.1

11

쿠퍼

2.2

6

피렐리

4.1

12

금호

1.9

자료원: Tire Business - 2013 Global Tire Company Rankings

 

□ 일본 시장은 선두 브리지스톤을 스미토모 고무공업과 요코하마 고무가 힘겹게 추격

 

 ○ 일본 메이커는 세계 1위 기업이기도 한 브리지스톤을 스미토모 고무공업과 요코하마 고무가 추격하고 있는 양상이며, 4위인 토요 고무공업은 2008년부터 브리지스톤과 자본 및 업무제휴관계에 있음.

 

일본 타이어 메이커의 매출액 현황(2012년)

            (단위: 억 엔, %)

순위

업체명

상표명

매출액

타이어 매출액 비중*

1

브리지스톤

BRIDGESTONE

30,397

84

2

스미토모 고무공업

DUNLOP

 7,102

87

3

요코하마 고무

YOKOHAMA

 5,597

79

4

토요 고무공업

TOYO TIRES

 2,911

79

주: 타이어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원: 2014 업계지도(세이비도 출판)

 

□ 시사점

 

 ○ 브리지스톤, 미쉐린, 굿이어 등 이른바 Big3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2001년의 56.7%에서 2012년 39.4%로 감소하고 있음. 여타 메이커가 약자 간 제휴를 활발히 모색하는 이유는 이들에 비해 기술개발력이 뒤떨어진다는 위기감에서 나오는 것으로 분석됨.

 

 ○ 일본 타이어 업계는 2011년 천연고무 가격의 기록적인 가격폭등 이후 급락세로 반전된데다, 엔저의 진전 등으로 업적이 호전되고 있음. 북미, 일본 등 ‘성숙시장’에서도 승용차와 소형트럭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아시아 신흥국 시장의 수요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임.

 

 ○ 일본 타이어업계는 업계 재편의 과도기에 있음. 업계 간 제휴관계의 성립이나 해소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 상황의 급변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물밑의 제휴 관련 움직임은 계속될 전망임.

 

 

자료원: 일본경제신문, 일간공업신문, 자동차 신문, 업계지도, KOTRA 도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타이어업계, 세계전략 수립 부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