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국 의류, 대미 수출확대 열려있다
  • 경제·무역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4-01
  • 출처 : KOTRA

한국 의류, 대미 수출확대 열려있다

- 한미 FTA 발효 시 20% 이상 수출확대 가능 -

- 디자인 경쟁력, 현지화 마케팅 등 로컬라이즈 절실 -

 

보고일자 : 2008.3.28.

이상우 로스앤젤레스무역관

jeremylee@kotrala.com

 

 

한미 FTA가 발효되면 한국 의류의 대미수출이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관세인하 효과가 우리 수출이 탄력을 줄 것이지만 디자인 응용과 현지화 마케팅 등 선결해야 할 과제도 지적되고 있어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지난 3월 14~16일까지 LA 소재 캘리포니아 마켓센터에서 Kotra가 개최한 ‘Global Korea Fashion Week LA 2008’에는 25개 한국 의류업체들이 참가했으며, 美 서부 의류바이어들은 한국업체와의 상담을 통해 한국 의류의 디자인과 품질 경쟁력이 미국시장에 충분히 통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해 주목을 끈다.

 

□ 미국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 한미 FTA 이후 의류 수출 확실히 늘어난다

  - Kotra LA 무역관은 한국 전시관을 찾은 바이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 응답자 전원이 한미 FTA 이후 한국 의류의 대미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응답했음.

  - 28%의 응답자는 30~50%의 큰 폭의 증가를, 43%의 응답자는 10~30%의 증가를, 22%의 응답자는 0~10%의 소폭 증가를 예상하고 있어 절대다수가 한미 FTA 이후 한국 의류의 대미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는데 의심하지 않고 있음.

  - 이는 한미 FTA가 발효되더라도 섬유산업의 혜택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그간의 우려를 불식하는 것으로, 미국 의류산업 바이어들은 한국 의류가 미국시장에서 더욱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반응을 보임.

 

 ○ 가격경쟁력과 디자인 모두 합격점

  - 가격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한국이 매우 비싸거나 비싼 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24%에 불과해 대다수는 한국 의류의 가격경쟁력을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음.

  - 반면 이탈리아산은 63%의 응답자가 매우 비싸거나 비싼 편이라고 답해 유럽제품이 고가로 취급되고 있음을 보여줬음.

  - 중국산은 78%의 응답자가 가격이 평균 또는 그 이하라고 답변해 일반적으로 저가제품이라는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 조사됐음.

  - 그러나 디자인과 품질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매우 우수하다.”라는 답변이 이탈리아는 56%, 한국은 30%, 중국은 2%로 나타나 비록 중국에는 크게 앞서고 있으나, 유럽을 따라잡기 위한 디자인 경쟁력 강화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총체적으로 디자인 등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시 한국 의류제품이 미국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80%가 넘는 바이어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그렇지 않다고 답한 바이어는 8%에 불과했음.

  - 아울러 향후 한국으로부터의 교역이 늘어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89%의 바이어가 적어도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해 한국의류 제품 대미수출의 밝은 미래를 보여줌.

 

 ○ 현지 진출을 통한 디자인 감각 현지화와 마케팅 강화 시급

  - 한국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급히 취해야 할 행동(복수응답 가능)으로는 마케팅 강화(18명)·소량주문 응대(16)·가격 인하(16)·독특한 디자인 개발(11) 등의 순으로 응답해 현지 마케팅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음.

  - 일반적으로 패션업계는 디자인 트렌드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원단과 색상에 대한 품질관리가 쉽지 않아 현지에서 직접 바이어들을 상대할 수 있는 로컬 담당자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 편임. 그러나 한국 의류업계의 미국 현지진출은 비교적 소극적이고 보수적인 편이어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음.

 

 ○ 잘되는 옷은 어디나 통한다?

  - 한편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몬테 밀라노의 이수현 LA 지사장은 “한국 의류업체들이 한국과 일부 동남아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무작정 미국을 진출하는 사례가 있다.”라면서 “한국에서 성공한 옷이 그대로 미국에서도 성공할 수는 없으며, 현지에 맞게 응용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이는 현지에서 선호하는 원단과 감각이 세밀하게 반영돼야 하는 것이어서 현지 진출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지적했음.

  - 몬테 밀라노는 올해 초 미국에 본격 진출하기 시작했는데, 이미 미국 내 바이어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올해 수출목표를 1000만 달러로 잡아놓고 있음.

  - 몬테 밀라노의 이 지사장은 “정확한 상품을 정확한 시기에 정확한 바이어에게 제시해야 매출이 일어날 수 있다.”라며 “무엇보다도 현지 감각을 이해해야 하며, 현지의 바이어 관리가 가장 중요한 성공 요소”라고 언급했음.

 

 ○ 한국 옷은 뒤죽박죽, 그룹핑이 필요하다

  - 또 한국의 Holly Road라는 브랜드로 미국 진출을 담당하고 있는 지니 킴 매니저는 “한국 옷이 뒤죽박죽이라는 느낌이 있다. 미국 바이어의 입맛에 맞게 그룹핑이 필요하다. 한가지 디자인이라도 다른 색상의 응용제품을 원단 조각(스와치)으로 보여주는 것보다는 완성품으로 보여주는 것이 낫다.”라며 “한국 업체들이 너무 많은 디자인을 보여주려 하기 때문에 좋은 디자인도 구매로 결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조언했음.

  - 아울러 “한국 업체들이 브랜드명을 결정할 때 더 세심한 선택이 필요하다.”라며 “어떤 업체는 히스패닉 시장을 대상으로 한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으면서 실제 제품은 전혀 히스패닉을 상대로 하지 않고 있어, 현지 바이어를 헷갈리게 할 수 있다.”라면서 “간단히 네티즌들에게만 물어보아도 도움을 얻을 수 있는데, 브랜드명을 현지에서 실수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마케팅 흠집”이라고 꼬집었음.

 

□ 시사점

 

 ○ 디자인 경쟁력이 아닌 콘셉트 경쟁력으로

  - 김상철 LA 무역관장은 “이제 한국 의류제품이 디자인 경쟁력이 아닌 콘셉트 경쟁력으로 승부를 걸어야 할 때가 왔다.”라며 “한국의 우수한 디자인 경쟁력이 단순히 독특한 디자인으로서가 아니라 현지 바이어의 생각을 사로잡는 콘셉트로 다가가야 한다.”라고 지적했음.

  - 또한 “패션과 같은 문화상품을 단지 수출상품으로 이해하고 에이전트를 통해 미국 바이어를 원격 관리하려는 생각은 하루빨리 바뀌어야 하며, 현지 문화의 응용과 바이어 관리를 위해서라도 더 많은 한국 의류업체들이 현지 진출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라고 요구했음.

  - 이를 위해 Kotra는 LA 무역관에 My Office 제도를 도입해 한국 중소기업이 현지 정착을 위해 임시로 사무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현지화를 위한 노력, 밑에서부터 차곡차곡 쌓아가야

  - Kotra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한국 의류제품의 경쟁력을 확인한 계기가 돼 앞으로 대미수출 회복에 도움될 것으로 평가했으나, 한국 의류업체가 국내에서의 작은 성공에 자만하지 말 것과 현지화를 위한 투자와 노력 전개, 서부 자바시장 한인과의 디자인 협력, 브랜드 개발과 의류 포트폴리오 재구성 등 가야할 길이 먼 것으로 분석했음.

  - 아울러 한미 FTA의 최대 수혜산업으로 간주하고 있는 섬유산업이 실제적인 효과를 보려면 더 공격적인 현지 진출과 더불어 현지 시장을 배우려는 겸손한 자세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음.

 

 

자료원 : ‘Global Korea Fashion Week LA 2008’ 행사 중 실시된 LA 무역관 설문조사 및 인터뷰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 의류, 대미 수출확대 열려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