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임금 격차 축소
  • 투자진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08-02-28
  • 출처 : KOTRA

中,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임금격차 축소

- 대졸취업자 절반이 초봉 1500위앤 이하 -

 

보고일자 : 2008.2.28.

이준호 다롄무역관

junhao@kotra.or.kr

 

 

□ 대졸자 구직난·농민공 구인난 현상 심화

 

 대졸자의 초봉 인상률이 제자리걸음인 반면, 각 지역의 최저 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농민공으로 대표되는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의 임금 격차가 축소되고 있음.

 

 ㅇ 이와 같은 현상은 학력 인플레로 매년 대졸자가 증가하면서 고학력자 취업난이 발생하고 있는 반면, 농촌소득의 증가로 도시로 유입되는 농민공의 숫자가 감소하는 ‘농민공 부족현상’이 심화되는 데 원인이 있음.

 

□ 대졸자 초봉 인상률 저조

 

 ㅇ 최근 발표된 북경대학교 교육경제연구소의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대졸취업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여는 1798위앤으로 2005년에 비해 210위앤 증가하는 데 그침.

  - 이 조사는 작년 6월 동부·중부·서부의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등 28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됨.

 

 ㅇ 특히 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초봉이 1500위앤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취업난이 전반적인 급여 수준을 낮춘 것으로 드러남.

  - 조사대상자 중 취업이 확정된 졸업자는 40.4%, 해외 유학 16.8%, 창업 13.7%였고, 졸업 후 진로가 미정인 사람도 29.1%에 달해 대졸자 취업난의 심각성이 드러남.

 

 ㅇ 과거 명문대 졸업자 초봉이 3000~4000위앤에 달한 적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초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대졸자의 급증 때문임.

  - 지난 2005년 355만 명이던 대졸자는 2006년 413만 명, 2007년 495만 명으로 급증함. 올해는 5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됨.

 

자료원 : 과학망

 

 ㅇ 한편 학력별 평균 급여는 전문대학 졸업자 1100위앤, 대학본과 졸업자 1500위앤, 석박사 3000위앤이며, 성별 평균 급여는 남성이 1500위앤, 여성이 1300위앤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00위앤 높은 것으로 집계됨.

 

□ 농민공 급여 급상승

 

 ㅇ 노동보장부문(动保障部)에 따르면, 2004년까지 12년간 주강삼각(珠三角)지역의 농민공의 평균 급여는 68위앤 인상에 그침. 그러나 최근 3년간 연해지역의 농민공 급여는 연평균 100위앤 이상 급격히 상승했으며, 일부 성은 임금 상승폭이 20%에 달함.

 

자료원 : 중국공산당신문망

 

 ㅇ 농민공 급여의 급속한 인상 원인은 각 지방정부의 최저 임금 인상 조치와 부족한 농민공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이 임금수준을 인상한 데 기인함.

 

  - 농민공 부족현상은 농업세 면제 등 농촌진흥정책 추진으로 농가의 소득이 확대되고, 농촌에 소재한 가공공장 혹은 향진기업에서 근무할 때 받는 급여가 도시에서 받는 급여수준에 근접해지면서 농촌을 떠나기를 기피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발생함.

 

  - 또한 근로 조건이 열악한 회사에서 저임금으로 근무하기를 꺼리는 신세대 농민공의 특성도 반영됨.

 

 ㅇ 중국노동력시장정보망감측센타(劳动力市场信息监测中心)는 상당수 농민공이 농촌을 떠나지 않거나 도시에서 귀향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동남부 연안 도시지역의 농민공 부족현상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농민공 확보를 위한 기업의 임금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함.

 

  - 2007년 4분기 광동성 일대인 주강삼각지역(珠江三角地区)의 구인수요는 전년 동기대비 71% 증가했으나 구직자는 32% 증가에 그침.

 

  - 또한 상하이·절강성 일대인 장강삼각지역(长江三角地区)의 구인수요는 18% 증가했으나, 구인수요는 14% 증가함.

 

2007년 4분기 노동시장 수요 공급 현황

자료원 : 중국공산당신문망

 

□ 시사점

 

 ㅇ 농민공의 기대치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급여 수준·근무환경·사회보장 등의 권익 보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취업을 꺼려하는 심리가 확산돼 근무환경이 열악한 중소형 및 노동집약형 기업의 노동력 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ㅇ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노동집약적 업종의 전략 수정, 노동법 준법경영체제 확립 및 노동환경 개선, 비핵심부문의 외주, 아웃 소싱 강화 등이 시급한 시점임.

 

 

자료원 : 현지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임금 격차 축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