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이렇게 BT/IT 중소기업 지원한다
- 투자진출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2-27
- 출처 : KOTRA
-
美, 이렇게 BT/IT 중소기업 지원한다
- 기술개발 단계별로 중소기업에 상용화 지원 –
- 신청에서 최초 보조금 지급까지 9개월 소요 -
보고일자 : 2008.2.27.
구민경 로스엔젤레스무역관
□ 중소기업(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SBIR) 및 기술이전(Small Business Technology Transfer) 지원 프로그램
○ 연방기관 보조
- 최근 미국 내 과학자·엔지니어·컴퓨터 관련 종사자의 무려 41%가 중소기업에 속하고, 중소기업의 직원이 보유하는 특허는 평균적으로 대기업에 비해 13~14배에 달하고 있다는 내용이 발표돼 주목받음.
- 미 정부는 이러한 중소기업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술개발능력은 있으나 투자나 협력파트너 노하우가 부족한 기업을 상대로 다양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음.
- 대표적으로 National Institute of Health(NIH)와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기관이 SBIR/STTR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함.
- National Institute of Health(NIH, www.nih.gov)는 미 정부 산하 의료연구기관으로 연간 바이오분야 연구에 28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이중 80%를 엄선된 연구기관·학계·중소기업에 제공함.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ww.nsf.gov)은 연간 중소기업에 통합 1억 달러를 지원함.
○ 지원 자격조건
- 중소기업 (SBIR)과 기술이전(STTR)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고용인원이 500명 이하여야 하며, 주요 연구개발과 사업 장소가 미국, 특히 SBIR/STTR 보조금이 지원하는 연구는 미국에서 이뤄져야 함.
- 지원을 받은 기업은 타기업이나 연구기관과 협력할 수 있으나 기술개발 노력의 67%, 상용화 과정의 50%를 이행해야 함.
□ 기술개발 및 상업화 단계별 지원
○ 1단계(Phase I) 실행가능성 연구(Feasibility Research)
- 기초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실행 가능성을 연구하는 단계로 일반적으로 1년, 길게는 2년 동안 지원이 보장됨.
- NIH에서 1단계 기업에 지원하는 금액은 평균 16만 달러이며 15:1 경쟁률을 기록함.
- NSF의 경우 10만~15만 달러이고 경쟁률은 17:1임.
○ 2단계(Phase II) 본격 연구개발, 견본 생산
- 기초적인 기술개발에서 견본생산까지의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2년, 길게는 3년 동안의 지원이 보장됨.
- NIH에서 2단계 기업에 지원하는 금액은 평균 37만5000달러이고 평균 30:1 경쟁률을 기록함.
- NSF의 경우 2년간 50만 달러이며 경쟁률은 30~40%임.
○ 3단계(Phase III) 상업화, 시장 진출
- 제품개발의 마지막 단계로 본격적으로 제품을 생산해 시장에 진출하는 시기임.
- 이 시기에서는 국가기관차원보다는 개인투자가·VC 등과 연계해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NIH나 NSF는 3단계 기업에 지원하지 않음.
□ 신청 절차
○ 온라인 신청
- NIH : 웹사이트 http://grants.nih.gov/grants/funding/sbir.htm 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등록절차 등이 4~6주까지 소요될 수 있음.
- NSF : http://www.nsf.gov/eng/iip/sbir/ 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신청등록을 할 때는 기업의 Authorized Organization Representative(대표 연락처)와 NIH나 NSF의 Point of Contact(연락처)이 연결됨.
NIH 신청 및 검토 스케줄
신청일
4월 5일
8월 5일
12월 5일
1차 검토
7월 경
11월 경
3월 경
2차 검토
10월 경
2월 경
6월 경
최초 보조금 지급
1월 경
3월 경
6월 경
□ 지원신청 시 유의할 점
○ 기술 자체보다는 상업화된 상품에 주력
- NIH와 NSF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부분은 기술의 상업화 가능성임.
- SBIR과 STTR 보조금은 개발 자체나 교육을 위한 기술개발보다는 실질적인 시장과 상용화 가능성을 돕는데 사용되는 것이 주된 목적임.
- 신청서 작성에 있어서 기술자체에 대한 설명도 중요하지만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제품개발까지 연결되는 지에 초점을 조는 것이 중요함.
○ 사업계획 제출 필수
- 상품설명·판매를 위한 조건·판매예상 시기·소비자·예상 가격과 매출금액·경쟁업체·기존제품과 차별화 전략에 대해 설명해야 함.
- 개발기술을 상업화하는데 필요한 과정,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기재하고, 또한 시장진출 이후의 계획(Exit Strategy)도 언급해야 함.
○ 지적소유권
- NIH와 NSF 관계자는 신청서를 제출하기 전 반드시 특허등록을 마칠 것을 당부함.
- 지원금을 결정하는 위원회(Review Committee)는 학계나 대기업 등 다양한 사람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신청서를 읽기 때문에, 특히 핵심기술에 있어서 기업이 독점적인 특허를 보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보조금 외 기타 지원
○ 기술적 지원 프로그램
- 웹사이트 : http://grants.nih.gov/grants/funding/tap.htm
- 시장분석 프로그램 : 1단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에 대한 시장분석이나 전략적 계획 수립에 도움 (Advising)을 줌.
- 상용화지원 프로그램(Commercialization Assistance Program) : 2단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시장발표 기회를 줌.
- 파일럿 제조지원 프로그램(Pilot Manufacturing Assistance Program) : 2단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제조업체와 파트너십(Partnership with NIST 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을 형성해 제조지원을 함.
○ 투자자/파트너 검색 Pipeline to Partnerships(P2P)
- 웹사이트 : http://www.ott.nih.gov/p2p
- 1단계·2단계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일반 대기업·연구기관·Incubator 기관과 제품 중류별로 제휴나 파트너십 기회를 제공함.
- 파트너십을 물색하고 희망하는 기업이나 기관은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하고 NIH는 네트워킹 장을 마련함.
자료원 : NIH, NSF 정부보조 지원 프로그램 설명회 참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美, 이렇게 BT/IT 중소기업 지원한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멕시코, 해외거주자 본국 송금증가율 급감세
멕시코 2008-02-27
-
2
독일, 알아두면 유용한 2024년 시행 규정
독일 2024-01-03
-
3
伊, 올 봄・여름 패션트렌드 '화려함과 복고의 조화'
이탈리아 2008-02-12
-
4
통합 50주년, EU가 걸어온 길
벨기에 2007-03-23
-
5
일본, 시스템욕조 관련시장 진출방안(1)
일본 2009-09-25
-
6
캐나다 Biotech 산업 투자환경
캐나다 2008-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