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갈수록 커져가는 美 유기농식품 시장
  • 경제·무역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2-02
  • 출처 : KOTRA

갈수록 커져가는 美 유기농식품 시장

- 유기농식품시장 매년 20% 증가 -

- 소비자 수요 채울 수 있는 현지 공급능력 모자라, 수입 봇물 예상 -

 

보고일자 : 2008.1.31.

이상우 로스앤젤레스무역관

jeremylee@kotrala.com

 

 

커져가는 美 유기농 식품시장

 

 유기농 식품시장, 수년간 성장세 이어

 

  - 1997년 이후로 매년 두자릿수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의 유기농 식품산업은 2006년에도 20.9% 증가해 총 167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했음.

 

  - 미국의 유기무역협회(Organic Trade Association)의 발표에 의하면 2009년까지 유기농식품 산업은 2배 증가한 320억 달러의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유기농 식품의 비중은 미 전체 식품시장의 규모에 비해 2.8%로 아직도 많은 시장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

 

유기농 식품시장 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산업 규모

성장률

총 식품 산업 규모

시장진입률

2003

$10,381

20.2%

$535,406

1.9%

2004

$11,902

14.6%

$544,141

2.2%

2005

$13,831

16.2%

$556,791

2.5%

2006

$16,718

20.9%

$598,136

2.8%

자료원 : Organic Trade Association

 

  - 유기농 식품 품목별로는 육류가 29%로 가장 높은 성장을 기록했으며, 유제품이 25%, 과일·채소가 24%, 그리고 곡류와 스낵음식이 각각 23%과 21%로 그 뒤를 따랐음.

 

유기농식품 품목별 성장률

(단위 : 백만, %)

품목

2006년 규모

성장률

유제품

2,668

25

곡류

1,667

23

음료

2,173

12

과일·채소

6,669

24

스낵음식

807

21

포장음식

2,001

14

양념소스

402

18

육류

330

29

16,718

21

자료원 : Organic Trade Association

 

 급증하는 수요, 못 미치는 공급

 

  - 미국 소비자의 유기농 식품에 대한 높은 관심과 수요가 증가했으나 미국의 유기 농업의 규모와 공급량은 기대치 밑으로 나타나 소비자 수요 충족 부족으로 인한 가격인상이 예상되고 있음.

 

  - 1992년부터 오늘날까지 미국의 유기 농업은 많은 성장을 해왔으나 유기 농업 인증을 받은 지역은 미국의 전체 농경지의 0.5% 정도로 그 크기와 비중은 아직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 이처럼 유기 농업의 비중이 저조한 이유로는 한정된 유기 농업의 의식, 그리고 마케팅 및 하부 구조의 부족함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유기 농업이 일반 농업에 비해 관리비가 높다는 점과 농업으로 전환 시 투여되는 3년이라는 긴 시간 등의 비경제적인 요소의 역할이 매우 큰 것으로 전문가는 판단하고 있음.

 

  - 미국 농업 종사자는 유기 농업으로의 전환에 대해 아직까지 조심스러운 입장임.

 

유기농 식품 수출을 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사항

 

 유기농 식품산업의 유통구조

 

  - 유기농 제품 소비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Whole Foods Market과 같은 주류 유통업체에서 소비자가 쉽게 접할 수 있게 제품 진열을 증가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노력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 현재 전체 유기농 식품의 46% 정도가 주류 유통업체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에는 Whole Food Market·Trader Joe‘s 등 대형 체인과 지역별 소규모 유통업체와 건강 상품 유통업체가 포함

 

  - 대형 유통체인 Wal Mart사 또한 유기농 식품 판매에 가세했으나 최근 유기농 제품 표식을 과장 부착하는 등 유기농 식품 품질 관리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음.

 

 유기농 인증에 대해

 

  - 미국 정부는 유기 농업 성장을 부추기기 위해 유기 농산물 기준을 세우고 이를 법안으로 준수하도록 해 유기 농산물 재배 업체는 유기 인증을 받아 농산물을 생산하고 소비자는 안심하고 유기 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음.

 

  - 미 농무부(USDA)에서는 National Organic Program (NOP)를 통해 유기 농가가 유기 농산물 인증을 신청하고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음.

 

  - 인증을 받지 않고서 식품에 유기농 재료가 들어있음을 표시 할 경우 잘못 Mislabeling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됨.

 

  - 캘리포니아 내 유기농 인증기관 : Agricultural Services Certified Organic, California Crop Improvement Association (www.ccia.ucdavis.edu), California Organic Farmers Association, CCOF Certification Services (www.ccof.org), Global Culture, Guaranteed Organic Certification Agency (www.goca.ws), Monterey County Certified Organic, Scientific Certification Systems NutriClean, Organic Certifiers Inc., Primuslabs (www.primuslabs.com), Quality Assurance International, Yolo County Department of Agriculture

 

  - 미 농무부 공식 표시

        

 

시사점

 

 시장 진출 시 품질관리 애로사항

 

  - 미 농무부는 지정 인증기관을 걸쳐 유기농 제품임을 인증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농산물 수입 시 품질 기준이 집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현재 미국으로 유기농 상품을 수출하고 있는 국가로는 뉴질랜드(유기농 우유가루), 중국(딸기·견과류), 터키(사과즙,수프), 캐나다(불루베리), 에쿠아도르(바나나) 등이 있음.

 

  - 한국에서 수출 시 미 농무부 지정 인증기관을 통해 품질을 보증해 중동, 아시아 지역에서 수입되는 품질이 미심쩍은 제품으로부터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

 

 시장 진출 전략 수립 필요

 

  - 유기농 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유기농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주류 식품 시장의 한 부분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미국 내 자체 공급으로는 높아지는 수요를 감당하는 데 부족함에 따라 가격 인상이 예고되고 있어 점차적으로 수입을 늘릴 것으로 보임.

 

  - 한국은 적극적인 유기농 시장 진출 방안 수립이 필요한 시점.

 

 

자료원 : CNN, USDA, Organic Trade Association, 무역관 자체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갈수록 커져가는 美 유기농식품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