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바이어가 예상하는 올 일용용품 시장전망
  • 경제·무역
  • 일본
  • 오사카무역관 김민정
  • 2008-01-30
  • 출처 : KOTRA

일본 바이어가 예상하는 2008년 일용품 시장 전망

 

보고일자 : 2007.1.30.

김민정 오사카무역관

yurika76@kotra.or.kr

 

 

□ ‘08년 일용품시장 전반에 대한 예상

 

 ○ 일본경제신문사가 슈퍼마켓 일용품 담당 바이어 약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08년 시장전망에 대한 조사결과가 발표됨. 이에 따르면 유가상승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에서는 ‘08년 티슈·화장지 등을 필두로 하는 일용품의 대폭적인 가격 상승과 상품의 안전 및 안심이 키워드가 될 것으로 예상

 

 ○ 다수의 바이어가 가격 인상이 소비를 냉각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함. 이익을 삭감하더라도 예전과 동일한 가격을 유지하는 선택지가 고려됨으로써 경쟁은 한층 격화될 것이라는 견해가 있음.

 

 ○ 작년에 잇달아 발각된 중국산 제품문제나 식품 위장사건 등의 영향으로 인해 ‘일본 국산품의 상품군을 충실히 갖추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하는 곳도 출현하기 시작함.

 

□ 시장확대 예상품목 및 시장축소 예상품목

 

 ○ 일용품 중 바이어가 ‘08년에 가장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한 제품은 애완동물용 사료임. 저출산 고령화로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매년 증가해 많은 바이어가 성장 여지가 크다고 판단함. 단, 시장확대와 함께 시판 애완동물용 사료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도 고조돼 올해부터는 정부에서 규제에 나설 방침임. 이 규제 내용에 따라서 시장 신장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될 수 있음.

 

 ○ 2위의 ‘샴푸·린스’는 ‘07년의 경우, 카오(花王)의 ‘세그레타’ 등 종래 제품 가격의 거의 2배에 달하는 1000엔 전후의 상품이 각 기업으로부터 속속 투입됨으로써 시장이 활성화됨. 단, ‘수량 베이스로는 ‘06년에 비해 감소했다’는 목소리와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고 화제성을 계속해 제공하지 않으면 성장하지 못 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음.

 

 ○ 3위에는 ‘성인용 종이 기저귀’가 꼽힌 반면에 시장축소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점쳐진 제품은 ‘아동용 종이 기저귀’였음. 저출산 고령화가 매년 심화되고 있는 것이 바이어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상품은 앞으로도 잘 팔릴 것이다’, ‘(고령자 중에서도) 소비자를 더욱 세분화한 상품의 라인업의 충실화를 희망한다’ 등의 고령자용 상품에 기대를 거는 의견이 많았음.

 

 ○ 9위의 ‘식기용 세제’와 11위의 ‘세탁용 세제’는 작년부터 크게 순위를 올림. 식기용으로는 라이온 ‘챠미 거품의 힘 (チャ泡のチカラ)’이 크게 히트함. 세탁용으로는 야간용임을 내세운 카오의 ‘스타일 피트(スタイルフィット)’ 시리즈 등의 고기능 상품이 계속해 호조를 보임.

 

 ○ 10위의 ‘데오도란트제’도 작년의 14위에서 순위가 많이 오름. 유니리버 저팬의 남성용 스프레이식 향수 ‘AXE’ 등의 히트가 공헌한 것으로 보임. ‘남성용 미용품은 올해에도 신장한다’고 본 바이어도 많았음.

 

2008년 시장확대 예상 품목

순위

품목

1

애완동물용 사료

2

샴푸, 린스

3

성인용 종이 기저귀

4

틀니관련 상품

5

덴탈 린스

6

치약, 칫솔

7

핸드솝

8

소취제, 방향제, 제균제

9

식기용 세제

10

데오도란트제

11

세탁용 세제

12

육모제

13

입욕제

14

살충제

15

선크림

16

바디솝

17

세안용 비누

18

남성용 세안 및 면도용품

자료원 : 닛케이 MJ

 

2008년 시장축소 예상 품목

순위

품목

1

아동용 종이 기저귀

2

의류 방충 및 제습제

3

문구

4

생리대

5

헤어 스타일링제

6

메이크용 화장품

7

헤어 칼라(염색약)

8

화장실 및 목욕탕용 세제

9

티슈, 화장지

10

기초 화장품

자료원 : 닛케이 MJ

 

□ 시사점

 

 ○ 일본의 일용품 시장의 품목별 성장 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인 현상은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므로 이를 염두에 둔 시장진출전략이 필수적임.

 

 ○ 중국산 제품의 안전성 문제 등이 제기됨에 따라, 일본 국내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한국제품도 안전성이나 품질 문제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 닛케이 MJ, 일본경제신문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바이어가 예상하는 올 일용용품 시장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