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외자은행, 중국시장 발전전망 밝아
  • 경제·무역
  • 광저우무역관
  • 2007-11-29
  • 출처 : KOTRA

외자은행, 중국시장 발전 전망 밝아

 

보고일자 : 2007.11.29.

박은희 광저우무역관

enjipark@msn.com

 

 

 ○ 외자은행이 중국에 진입한 지는 100여 년의 역사가 있음. 1949년 신중국 수립 이후 중국은 HSBC, The Bank of East Asia, OCBC, Standard Chartered Bank가 상하이에서 계속 영업하도록 허락했음.

  - 1978년 중국경제사회가 개혁개방을 맞으면서 외화자금 도입과 외자기업에 대한 금융서비스개선을 목적으로 외자은행의 중국진출을 일부 개방했음.

  - 1980년 일본수출입은행이 베이징에 대표처를 설립한 이래 2006년 12월 말까지 중국에는 14개의 외자 독자와 합자 법인이 설립돼 산하에 19개 지점 및 부속기구를 두고 있으며, 22개 국가와 지역의 74개 외자은행이 중국 25개 도시에 설립한 200여개 지사(分行)와 79개 지점(支行) 등 총 312개 은행 기구가 영업활동을 하고 있음.

  - 또한 42개 국가와 지역의 186개 외자은행이 중국 24개 도시에 설립한 242개 대표처가 있음.

 

중국에 영업 기구를 설립한 외자은행 국가(지역)별 분포

자료원 : 中國銀監會 "中國銀行業對外開放報告"

 

 ○ 외자은행의 신속한 발전과 WTO 협정에 따른 2006년 중국 상업은행시장의 전면 개방에도 불구하고, 중국 자체 은행이 여전히 시장의 98%를 점유하고 있음. 2006년 12월 말까지 중국에 있는 외자은행의 인민폐와 외화자산총액(RMB and Foreign Currency total assets)은 1033억 달러로 중국 은행업 금융기구 총 자산의 1.8%에 불과함.

 

2007년 9월 은행업 금융기구 자산현황

자료원 : 中國銀監會官方網站

 

외자은행 운영현황

                                                                                                   (단위 : 억 위앤)

분류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총 자산

은행업금융기구

276394.5

319589.8

374696.9

439499.7

외자은행

16.6

23.5

36.6

57.7

자료원 : 中國銀監會2006年年報

 

 ○ 비록 현재까지 외자은행의 시장점유율은 2% 미만이고 많은 은행들이 경쟁하고 있음에도 외자은행 관계자들은 중국 은행시장은 현재 전체적 확장단계로 그 발전공간이 매우 크다고 표시했음.

 

 ○ 이외 중국 내지는 금융업무 다양화에 대한 수요의 발전이 매우 빨라 기업과 개인을 포함한 은행서비스 종류, 품질수준면 등에서 다양한 수요가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어 은행은 다양한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각자의 전문화 업무를 발전시킬 수 있는데, 은행업무 전문화 또한 외자은행이 갖고 있는 우위임.

 

 

자료원 : 21世紀經濟報導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외자은행, 중국시장 발전전망 밝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