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만, 한류 기획 1편_한류의 형성과 파급효과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07-10-24
  • 출처 : KOTRA

대만, 한류 기획 1편_한류의 형성과 파급효과

 

보고일자 : 2007.10.24.

유기자 타이베이 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 대만의 한류 개념과 형성 원인

 

 ○ 한국관광공사는 한류를 1997년 이후 동아시아 지역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드라마, 게임 등의 대중문화와 한국 인기 연예인을 동경하고 추종하는 문화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는 반면, 대만에서 초기에 사용된 한류의 개념은 문화적인 현상이 아닌 경제현상이었음.

 

 ○ 1997년 한국의 IMF의 영향 하에 한국 원화의 화폐가치가 급격히 절하되면서 한국산 제품이 대량으로 대만에 유입돼 대만 경제에 미친 충격을 형용하는 과정에서 한류라는 표현이 부각되기 시작한 것임.

  - 실제로 대만의 對한국 수입액은 IMF 전인 1996년도의 40억 달러에서 4년 만인 2000년도에는 80억 달러로 증가했음. 즉, 대만에서 최초의 한류는 ‘한국의 저가품 유입에 기인한 자국 경제의 타격’을 의미함. 주1)

 

 ○ 이러한 현상은 대중문화산업에까지 영향력을 확대해 드라마를 위주로 저렴한 한국문화상품이 기존에 우위를 차지하고 있던 일본과 구미 문화상품의 틈새시장을 통해 유입됐음.

  - 특히, 1998년에 댄스그룹인 클론이 현지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것을 시작으로 문화적 개념의 한류가 본격적으로 형성됨.

 

 ○ 이는 대만의 한류가 기본적으로 한국의 IMF와 원화의 급속한 평가절하에 기초한 가격경쟁력을 토대로 시작됐다는 점에서 중국과 베트남 등 여타 동아시아 지역의 한류와 상이한 형성의 원인을 지님.

 

□ 대만, 척박한 한류 형성의 토지

 

 ○ 1971년도까지 UN 상임이사국이던 대만이 중국의 UN 가입과 동시에 UN에서 강제 탈퇴되자 기존에 대만과 수교를 맺었던 국가들이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수교를 맺음. 이러한 대세에 동참한 한국도 1992년 8월에 중국과 수교를 맺음과 동시에 대만과 단교함에 따라 대만 내에 反韓감정이 야기됨.

 

 ○ 또한, 중국의 사회주의 체제에 기인한 국제적인 고립으로 한국과의 교류도 미미해 대만은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이 중국문화를 접할 수 있는 지역으로서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상당한 문화적 위상을 인정받았음. 한편, 대만에 있어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화왕조의 변방에 불과한 국가로 인식돼 한류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까지 대만에서 한국문화의 위상은 극히 미미했음.

 

 ○ 이 같은 단교에 기인한 반한 감정과 한국문화에 대한 우월의식에 더불어 대만인들의 서구와 일본 문화에 대한 절대적인 선호로 인해 대만에서 한류의 형성은 쉽지 않은 일이었기 때문에 대만에서 본격적인 한류의 형성은 중국 등지에 비해 다소 늦게 시작됨.

 

□ 한류의 문화·사회적 파급효과

 

 ○ 대만 역시 한국 드라마를 선두로 한류의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했는데, 한국 드라마로부터 시작된 한국 방송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 증가를 반영해 2006년 12월에는 대만 최초의 한국 프로그램 방송 전문채널인 娛樂K가 개설됐음.

  - 娛樂K는 대만과 한국 방송국 간의 합작 하에 개설된 채널로, 기존의 드라마 위주에서 탈피해 연예오락 프로그램과 음식소개 프로그램 등 기타 영역의 방송 콘텐츠를 대만 시청자에 서비스함으로써 한국문화 전파의 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함.

 

 ○ 드라마에 등장한 소품 및 스타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했는데, 일례로, 2005년에는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 방영 후, 주연 연기자들의 의상이 유행했고, 2006년도에는 드라마 ‘궁’과 ‘내 이름은 김삼순’에 사용된 인형과 액세서리 등 드라마 소품과 OST 등의 관련 상품이 상당히 유행했음.

 

 ○ 이 외에도 드라마 ‘대장금’으로 대만인들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했고, 특히, SARS와 유행성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건강과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대만 소비자에게 한국 김치와 인삼, 홍삼차에 대한 인지도와 인기가 상당히 고양됐음.

 

□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 한국 드라마의 인기몰이로 대만 방송국 간의 수입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수입가격이 상승함. 일례로, ‘가을동화’가 2001년에 한 회당 미화 2000달러에 수입됐는데, 2005년에는 ‘파리의 연인’이 한 회당 2만2000달러에 수입돼 불과 5년 만에 10배 이상 상승함.

 

 ○ ‘겨울연가’, ‘대장금’ 등이 방영된 후, 드라마 촬영지 관광스케줄이 포함된 테마형 관광상품이 다수 등장했고, 2004년을 절정으로 대만 관광객의 연간 성장률은 50% 이상에 달함.

 

 ○ 또한, 대만과 한국 양국 간의 교류 증대와 한류 등의 영향으로, 단교 후 12년 만인 2004년 10월 양국간 정기 항공노선이 재개됨.
 

     주1) 1997년 12월, 대만 聯合報와 中國時報의 보도자료

 

 

자료원 : 무역관 보유자료, 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한류 기획 1편_한류의 형성과 파급효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