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5년, 중국을 이끌 정치 핵심인사 변동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7-10-22
- 출처 : KOTRA
-
- 17전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선출 -
- 시진핑·리커챵·허궈챵·저우융캉 등 4명 신규 선임 -
보고일자 : 2007.10.22.
김명신 베이징무역관
□ 17전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인사발표
○ 중국 공산당은 17기 전국대표대회(17전대) 1중전회에서 10월 22일 오전 후진타오를 중앙위원회 총서기로 하는 9명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명단을 전격 발표함.
- 상무위원 중 후진타오(胡錦濤), 우방궈(吳邦國), 원쟈바오(溫家寶), 쟈칭린(賈慶林), 리창춘(李長春) 등 5명은 유임됐으며 시진핑(習近平), 리커챵(李克强), 허궈챵(賀國强), 저우융캉(周永康) 등 4명이 새롭게 선출됨.
- 16전대 상무위원중 황쥐(黃菊), 쩡칭훙(曾慶紅), 우관정(吳官正), 뤄간(羅干)은 17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서 제외됨.
중국 공산당 중앙 조직도
□ 17전대에서 유임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후진타오(胡錦濤)
○ 중국국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2003년 3월 중국 국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됨.
- 2004년 9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임명됨.
- 2005년 3월 중국 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임명됨.
우방궈(吳邦國)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국무원 부총리
- 2002년 16기 중국공산당대회에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으며 1995년 이후 국무원 부총리를 맡음.
- 2003년 3월 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됨.
원쟈바오(溫家寶)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국무원 총리
- 1998년 국무원 부총리로 임명됨.
- 2002년 16전대에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됨.
- 2003년 3월 국무원 총리로 임명됨.
쟈칭린(賈慶林)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 1997~99년간 베이징시 시장으로 재직했으며, 2002년 16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됨.
- 2003년 3월 전국정치협상회의 주석으로 임명됨.
리창춘(李長春)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 1998~02년간 광둥성 성위서기(省委書記)로 재직함.
- 2002년 16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됨.
□ 17전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신규 인사
시진핑(習近平)
○ 17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출됨.
- 1953년 6월생, 샨시(陝西)출신(54세)
- 칭화대학교 졸, 동대학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
- 2002년 절강성 성위서기(省委書記)로 임명됨.
- 2007년 3월 상하이시위위원(市委委員), 상임위원회 위원, 서기로 임명됨.
리커챵(李克强)
○ 17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출됨.
- 1955년 7월 안후이성 출생
- 북경대학교 법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박사학위 취득
- 2002-2004년 12월기간 허난성 성위서기(省委書記)로 재직함.
- 2005년 2월 랴오닝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주임으로 임명됨.
- 2006년 10월 랴오닝성 성위서기(省委書記)로 임명됨.
허궈챵(賀國强)
○ 17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이자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로 신규 임명됨.
- 1943년 10월 후난출생
- 1999년 충칭시 시위서기(市委書記)로 임명돼 2002년 10월까지 재직함.
- 2002년 11월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조직부 부장으로 재직함.
저우융캉(周永康)
○ 17전대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임명됨.
- 1942년 12월 쟝쑤성 출생
- 1999~02년 사천성 위서기로 임명됨.
- 2002년 공안부 부장으로 임명됨.
- 2003년 국무위원 겸 공안부 부장으로 임명됨.
자료원 : 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앞으로 5년, 중국을 이끌 정치 핵심인사 변동)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 이런 프랜차이즈 사업이 뜬다
러시아연방 2007-10-22
-
2
일본, 한층 더 고령화 사회로
일본 2016-07-14
-
3
베트남, 교육훈련부가 정보통신기술 최다 사용
베트남 2007-09-21
-
4
對요르단 투자 유망 분야-제조분야
요르단 2010-08-01
-
5
대만 제조업체, 홍콩증시 상장 러시
대만 2007-05-22
-
6
IT・ICT 서비스 공급기지로의 중국
중국 200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