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목 명 | 제동장치(브레이크) | 최종 업데이트 | 2025-10-03 |
|---|---|---|---|
| MTI CODE | HS CODE | 870830 | |
| 국가 | 캐나다 | 무역관 | 토론토무역관 |
| 제도 명 | IATF 16949 (자동차 품질경영시스템), CMVSS(캐나다 자동차안전기준) | ||
| 인증 구분 | 임의 | 인증 유형 | 현행 |
| 인증마크 |
|
||
| 도입시기 | 1999년 ISO/TS 16949로 최초 도입, 2016년 최신 개정판 IATF 16949:2016 시행 | ||
| 근거 규정 | ISO 9001 기반, 국제자동차특별위원회(IATF)가 제정한 글로벌 표준 | ||
| 제도 내용 | 자동차 부품(브레이크 포함)의 설계·개발·생산·설치·서비스 전 과정에서 품질경영 체계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규격. 공급망 일원화, 리스크 관리, 불량 최소화, 지속적 개선을 목적으로 함 | ||
| 품목정의 | HS 870830: 자동차용 브레이크 및 그 부분품(디스크, 패드, 드럼, 캘리퍼 등) | ||
| 적용대상품목 | 승용차·상용차용 브레이크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 생산·애프터마켓 공급품 | ||
| 확대적용품목 | OEM 공급망 내 모든 자동차 부품군 (배터리, 타이어, 전자장치 등) | ||
| 인증절차 | (1) 신청 → (2) 문서심사(품질경영시스템 매뉴얼) → (3) 1단계 심사(준비상태 평가) → (4) 2단계 심사(현장 심사) → (5) 시정조치 → (6) 인증서 발급 → (7) 연간 사후심사 및 3년 주기 갱신 | ||
| 시험기관 | TÜV SÜD Korea | ||
| 인증기관 | IATF 공인 Certification Body (TÜV SÜD KOREA, LRQA 등) | ||
| 유의사항 | - IATF 16949는 법적 인증이 아니라 품질경영시스템(QMS) 인증임 - 북미 OEM(포드, GM, 스텔란티스 등)에 납품하려면 사실상 필수 - 인증은 개별 부품이 아닌 제조공정/공장 단위로 부여됨 - ISO 9001을 기반으로 하나 자동차산업 특화 요구사항(제품안전, 추적성, FMEA, PPAP 등)이 포함됨 | ||
| 구분 | 인증기관 #1 |
|---|---|
| 기관 명 | TUV SUD Korea |
| 홈페이지 | https://www.tuvsud.com/ko-kr/services/auditing-and-system-certification/iatf-16949 |
| 담당부서 | 자동차부서 |
| 전화번호 | 02-3215-1100 |
| 팩스번호 | |
| 이메일 | info@tuv-sud.kr |
| 기타 | +1-905-542-2900 (캐나다 지사) info@tuvsud.com (캐나다 지사) |
| 구분 | 인증기관 #2 |
|---|---|
| 기관 명 | LRQA (Lloyd’s Register Quality Assurance) |
| 홈페이지 | https://www.lrqa.com |
| 담당부서 |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
| 전화번호 | +1-800-665-9322 |
| 팩스번호 | |
| 이메일 | info@lrqa.com |
| 기타 |
| 구분 | 시험기관 #1 |
|---|---|
| 기관 명 | TÜV SÜD KOREA |
| 홈페이지 | https://www.tuvsud.com/ko-kr/services/auditing-and-system-certification/iatf-16949 |
| 담당부서 | 자동차부서 |
| 전화번호 | 02-3215-1100 |
| 팩스번호 | |
| 이메일 | info@tuv-sud.kr |
| 기타 | +1-905-542-2900 (캐나다 지사) info@tuvsud.com (캐나다 지사) |
| 인증절차도 |
|---|
|
|
| 구분 | 시험 |
|---|---|
|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 ISO 9001 기반 + IATF 16949 특화 요구사항(제품안전, PPAP, FMEA, 추적성, 리스크관리 등) |
| 시험 비용 | 별도 제품시험 없음 (QMS 문서·현장 심사 중심) |
| 소요 기간 | 기업별 품목의 특성에 따라 상이 |
| 구분 | 인증 |
|---|---|
| 초기공장심사 비용 | 약 1,500만~3,000만 원 수준 (공장 규모·인원수에 따라 변동) |
| 인증 비용 | 약 2,000만~4,000만 원 (신청비+문서심사+현장심사 포함, 해외 CB일 경우 출장비 추가) |
| 소요 기간 | 준비기간 포함 16~24주 (약 4~6개월), 문서 준비도에 따라 단축/지연 가능 |
| 인증 유효기간 | 3년 (연 1회 사후심사 필수) |
| 사후관리 비용 | 연간 500만~1,000만 원 수준 (심사원 출장비 포함) |
| 자료원 | IATF Global Oversight Board, BSI/TÜV/SGS 인증기관 안내자료, KAB(한국인정기구) 참고 |
| 필요 서류 | - 품질경영시스템 매뉴얼(QMS Manual) - 품질 절차서 및 지침서 - 생산·공정 흐름도 (Process Flow Chart) - 위험분석 문서 (FMEA) - 제품 승인 절차 (PPAP) - 불량·고객불만 대응 기록 - 내부 감사 기록 및 시정조치 보고서 |
|---|---|
| 유의 사항 | - IATF 16949는 제품 인증이 아닌 공장 단위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임 - 인증은 ISO 9001을 기반으로 하되 자동차산업 특화 요구사항(제품안전, 추적성, 공급망 관리 등)이 추가됨 - 매년 사후심사를 받아야 하고, 3년마다 갱신 심사가 필요함 - OEM(완성차 업체) 납품 필수 조건이므로 캐나다 진출 시 사실상 의무화됨 - 심사원은 IATF에서 지정한 공인 인증기관(CB)만 가능함 |
| 기타 | - 인증 비용 및 소요기간은 기업 규모, 공장 수, 인원수에 따라 차이남 - 다국적 OEM과 거래 시 IATF 16949 미보유 시 공급망 진입 불가 - ISO 14001(환경경영), ISO 45001(안전보건경영)과 병행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
| 첨부 파일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제동장치(브레이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플라스틱 성형용 금형
태국 2025-10-13
-
2
헬멧(안전모)
캐나다 2025-10-13
-
3
치과용 설비 및 기타 의료기기
중국 2025-09-26
-
4
자동차 배터리
캐나다 2025-10-13
-
5
혈압측정기
캐나다 2025-10-13
-
6
비알코올음료
캐나다 2025-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