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 1500억 원 돌파 전망
  • 트렌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5-10-12
  • 출처 : KOTRA

석유화학·전력 산업 주도 성장, 지능형 제어 기술이 이끄는 산업 혁신

한국, 고부가가치 소재·정밀 공정으로 경쟁력 확보해야

 

<제품HS코드> 

HS CODE

한글 이름

영문 이름

841950

티타늄 소재 열 교환기

Titanium Heat Exchanger

[자료:관세법령정보포털]


제품 정의


선박용 티타늄 열교환기는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으로 제작된 열전달 장치로, 해양 공학 및 선박에서 해수 냉각 및 열관리 시스템 등에 사용된다. 고염분, 고압, 생물 부식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 적합하다. 해양 공학 및 선박용 티타늄 열교환기는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을 핵심 소재로 제작된 열교환 장비로, 해수 및 염분이 많은 고부식성 해양 환경에 특화되어 설계되었다. 선박 동력 시스템, 해수 담수화 장치, 해양 석유·가스 플랫폼의 열에너지 전달 및 회수에 사용된다. 티타늄 소재는 해수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부동태 막이 자가 복원 기능을 갖추어 구리나 스테인리스강 등 기존 소재보다 우수한 내침식성 및 내부식성을 나타낸다.



용도

 

1) 석유·화학 산업

중국 티타늄 산업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석유·화학 산업이 가장 큰 적용 분야이며, 2025년 시장 규모는 180억 위안에 달해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전체 활용분야에서 석유·화학분야에 활용되는 점유율은 약 4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8%로 예측된다. 석유·화학 산업 내에서는 티타늄 열교환기가 주로 크래킹분해 장치, 탈황 장치, 반응기 등의 설비에 사용되어 장비의 내식성과 수명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2) 전력 산업

전력 산업은 두 번째로 큰 적용 분야로, 2025년 시장 규모는 110억 위안에 달해 전체 활용분야의 27%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성장률은 6%에 이를 것이다. 전력 산업에서는 티타늄 열교환기가 원자력 발전소, 화력 발전소, 수력 발전소의 냉각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티타늄 열교환기 수요가 두드러지는데, 중국의 원전 설비 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고성능 티타늄 열교환기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3) 해양 공학 조선 산업

해양 공학 조선 산업은 번째로 적용 분야로, 2025 시장 규모는 60 위안에 달해 전체 활용 분야 중 15%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성장률은 10% 이를 전망이다. 해양 공학 조선 산업에서는 티타늄 열교환기가 주로 해양 플랫폼, 잠수함, 대형 원양 화물선의 냉각 시스템에 사용된다. 중국 해양 경제의 발전과 해상 석유·가스 자원 개발 확대에 따라 해양 공학 조선 산업의 고성능 티타늄 열교환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4) 의약 산업

의약 산업은 네 번째로 큰 적용 분야로, 2025년 시장 규모는 30억 위안에 달해전체 활용분야 중 7%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성장률은 9%로 예측된다. 의약 산업에서는 티타늄 열교환기가 주로 제약 공장의 냉각 시스템에 활용된다. 의약 산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장비에 우수한 내식성과 생체 적합성이 요구되므로, 고성능 티타늄 열교환기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5) 냉방 공조

냉방 공조 업계는 티타늄 소재의 5번째로 큰 주요 적용 분야이며, 2025년까지 시장 규모가 40억 위안에 달해 전체 활용분야 중 10%를 차지할 전망이며, 전년 대비 성장률은 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에서 티타늄 열교환기는 주로 공조 압축기의 응축기와 증발기에 사용된다. 중국의 도시화 진전 및 주민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인한 가정용 공조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산업 냉동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해당 분야의 고성능 티타늄 열교환기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산업 체인 및 유통구조

 

1) 상류 : 원자재/부품 공급자

티타늄 스폰지/티타늄 재료 제조업체, 티타늄 튜브/코일/판재/합금부품 제조사 등이 포함됨. 또한 내식 코팅, 표면 마감, 용접재료, 특수 배관 및 연결구 부품 등을 공급하는 공급업체들이 주로 해당된다


2025년 중국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상류 원자재는 공급과 수급이 모두 활발한 양상을 보일 전망이며, 티타늄 소재는 핵심 원자재로써, BaoTi Group(宝钛集团), Western Superconducting(西部超导) 등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공급 체계가 구축됐다. 2023년 중국 티타늄 소재 총 생산량은 158만 톤에 달했으며, 이 중 열교환기용 티타늄 소재 비중은 약 32%를 차지했다. 2025년에는 이 규모가 20만 톤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중류 : 열교환기 설계 및 제조사

원재료를 받아서 티타늄 열교환기를 설계·가공·조립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규모가 있고 기술 수준이 높은 업체는 자체 R&D, 제품 인증, 내식성 및 내압 시험 설비 등을 갖춘 경우도 있다. 일부 업체는 해양 플랜트용, 담수화용, 석유화학 플랜트용 등 고사양 제품을 생산한다. 


2025년 중국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시장의 중류 제조 부분은 뚜렷한 지역적 집중과 기술적 수준 차이를 보인다. 전국적으로 규모화 생산 능력을 갖춘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제조 기업은 약 87개사에 달하며, 총 설계 연간 생산 능력은 12.8만 톤에 이르나, 실제 생산 능력 가동률은 7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3) 중간 유통 / 대리점 / 에이전시

지역 대리상, 유통업체, 수입/수출 에이전시를 통해서 전국적, 혹은 지역 플랜트에 제품이 전달된다. 특히 특정 해역, 조선소, 해수 인근지역, 혹은 해양 개발이 활발한 지역에서 유통망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업체는 직판(생산사플랜트소비자)하거나 EPC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계약업체가 직접 발주자로부터 제조사와 계약하는 경우도 있다.

 

4) 하류 : 최종 수요자 / 프로젝트

수요자는 해수담수화 플랜트, 석유화학 플랜트, 해양 플랜트, 조선소, 화공단지, 발전소, 고부식 환경을 가진 산업공정, 특수 HVAC 및 냉각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티타늄 소재 열교환기는 여러 산업에서의 적용 수요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이 추세는 산업 제조, 에너지 개발, 환경 보호, 의료 장비, 고급 장비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강력한 시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시장 규모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약 12%를 유지했으며, 2025년에는 시장 총 규모가 150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하류 적용 분야의 다양화와 꾸준한 성장은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의 급속한 확장을 이끌고 있다. 시장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는 해당 업계에서 부식에 강하고 효율성이 높은 열교환 장비에 대한 실질적인 수요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향후 산업 고도화와 기술 혁신이 가져올 막대한 잠재력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시장 규모 및 성장 동향

 

2025년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은 화학, 전력, 조선 등 세부 분야에서 수요 비중이 차별화된 분포 특성을 보일 전망이다. 조선 부문 선박용 티타늄 열교환기 수요 비중은 18%, 시장 규모는 약 25억 위안에 달하며, LNG 운반선과 고급 크루즈선 주문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선박용 티타늄 열교환기의 연간 수요량은 12,000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 공학 분야는 현재 비중이 7%( 9.8억 위안)에 불과하지만, 심해 석유·가스 개발 장비의 중국 국산화 정책 추진에 따라 향후 3년간 연평균 복합 성장률이 2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2025년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 규모 추이 및 2025년 전망>

(단위: 억 위안)

7b0a202020202263686172745265734964223a20223230343736313638220a7d0a

[자료:중국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주요 생산기업

 

보타이 그룹(宝钛集团) 24.6%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대형 티타늄 판재, 관재 및 열교환기가 포함되고 연간 생산량은 3만 톤을 넘어서 국내 티타늄 소재 시장의 절반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판강 그룹(攀钢集团) 18.9%의 시장 점유율로 뒤를 잇고 있으며, 해당 그룹의 티타늄 열교환기 제품은 주로 석유, 화학 산업에 적용되고 연간 생산량은 약 2만 톤이다. 신타이 철강(新泰钢铁) 15.7%의 시장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또한, 산동 루리 철강(山东鲁丽钢铁) 12.6%의 시장 점유율로 4위를 기록했으며, 해당 기업의 제품은 주로 전력, 화학 산업에 사용되고 연간 생산량은 약 1만 톤이다. 장쑤 진저우 파이프 테크놀로지(江苏金洲管道科技) 10.8%의 시장 점유율로 5위를 차지했으며, 해당 기업의 제품은 주로 전력, 화학 산업에 사용되고 연간 생산량은 약 0.9만 톤이다. 추가로, 시장에서 일정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광동 사오강 송산(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랴오닝 안산 철강 그룹(辽宁鞍钢集团有限公司) 등이 있다.

 

국제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은 구조적 조정을 겪고 있으며, 알파라발(阿尔法拉瓦尔, Alfa Laval)과 히타치(日立)를 선두로 한 다국적 기업들은 중국 현지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중국 내 국제 주요 기업 진출 현황> 

기업명

기지 수

2023년 시장

점유율 (%)

2025년 시장

점유율 (예측, %)

주요 응용 분야

알파라발(阿尔法拉瓦尔)

4

18.5

20.2

화공, 전력

히타치(日立)

3

12.3

14.0

선박, 원자력

지멘스(西门子)

2

9.8

11.5

석유, 제약

도시바(东芝)

2

8.2

9.0

전자, 반도체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

3

7.5

8.8

항공우주, 군수

[자료: 2025年中国钛器市场调查研]


가격

 

가격 측면에서는 향후 몇 년간 안정적이거나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비철금속공업협회(中国有色金属工业协会) 조사에 따르면, 지난 3년간 티타늄 열교환기 가격은 톤당 4만 위안에서 5만 위안 사이를 유지했다. 그러나 원자재 원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2025년에는 톤당 4.5만 위안에서 6만 위안 사이로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술 진보와 생산성 효율화로 인한 원가 하락 추세가 뚜렷하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크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2025년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14 5개년(十四五)’ 계획에서 선진 제조업 발전을 대력적으로 추진할 것을 명확히 밝혔으며, 티타늄 열교환기는 핵심 소재 중 하나로서 중점 지원을 받을 것이다. 2019년 이후 중국 정부는 <티타늄 소재 응용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 의견(关于加快钛材料应用发展的指导意见)> <전략적 신흥 산업 중점 제품 및 서비스 지도 목록(战略性新兴产业重点产品和服务指导目录)>등 티타늄 열교환기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왔다. 이러한 정책들은 티타늄 열교환기 산업의 주요 발전 방향을 명확히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재정 보조금, 세금 감면, 연구 개발 자금 지원 등을 통해 관련 기업에 자금 및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 제조2025(中国制造 2025)>계획에서는 첨단 장비 제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티타늄 소재를 핵심 전략 소재 중 하나로 지정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중국과학원이 발표한 <신소재 산업 발전 보고서(新材料产业发展报告)>에 따르면, 2030년까지 중국 신소재 산업 규모는 약 15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고성능 금속 소재는 신소재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14 5개년(十四五)’ 기간 빠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티타늄 소재 및 그 제품은 에너지, 화공, 해양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수출입 동향


KITA에 따르면 중국의 매년열 교환기를 무역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최대 무역상대국은 미국, 러시아 등이다. 한국은 2025년 기준, 중국의 수출상대국 5위를 기록했으며, 23, 24년에는 한국으로부터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많았다.

 

<2023-2025 중국의 열교환기 무역 대상국>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2023

2024

2025년 (8월)

수출금액

수입금액

수출금액

수입금액

수출금액

수입금액


총계

2,022,718

939,095

2,113,559

1,052,850

1,729,004

562,546

1

미국

172,081

98,519

308,955

192,994

203,974

91,170

2

러시아

75,053

166,241

176,751

175,081

183,943

8,935

3

중국대만

34,013

4,519

88,011

5,479

144,459

3,131

4

아랍에미리트연합

38,483

5,666

50,424

309

106,511

4,910

5

한국

77,482

84,370

73,681

140,536

77,512

64,446

6

말레이시아

49,440

1,047

109,790

1,087

73,567

1,105

7

멕시코

187,179

8,026

160,019

9,814

73,465

7,368

8

인도네시아

131,992

3

102,487

5

66,847

4

9

인도

71,866

13,270

78,133

22584

64,883

25007

10

일본

93,468

74,170

72,714

57,517

51,597

34,442

* HSCODE 841950기준

(-중간 HSCODE 6자리 이후 분류가 상이하여 HSCODE 6자리 기준으로 작성)

[자료: KITA]


전망 및 시사점

 

1) 중국 티타늄 소재 열교환기 산업 전망

나노 기술, 마이크로 채널 기술(微通道技术), 지능형 제어 기술과 같은 신소재 및 신기술의 발전은 티타늄 열교환기의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까지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의 70% 이상이 이러한 신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것이다. 또한 국가의 친환경 및 에너지 절감 정책 지속적 강화와 기업의 녹색 제조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몇 년간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 수요는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1) 수출 관점: 고부가가치 소재 및 부문으로의 전환 필요

중국 시장은 이미 자체적인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티타늄 열교환기 부문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높다고 평가받는다. 따라서 한국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티타늄 합금 소재초정밀 공정 기술, 또는 특정 산업용(: 첨단 화학공정, 항공우주) 맞춤형 고사양 제품과 같은 고부가가치 영역에 대한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2) 수입 관점: 공급망 다각화와 품질 관리 강화

한국은 많은 핵심 자재와 부품들에 대해 중국 의존도가 있으며, 티타늄 열교환기도 조선, 화학 등 주요 산업에 필수적인 부품인 만큼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중요하다. 공급망 안정성 확보의 관점에서 공급원 다각화를 통해 위험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수입품들이 한국에서 요구하는 기술/품질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꼼꼼히 검수해야만 수입품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중국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2025年中国钛器市场调查研, KITA, KOTRA 다롄무역관 종합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티타늄 열교환기 시장, 1500억 원 돌파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