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인테리어 트렌드와 스마트홈의 진화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9-26
  • 출처 : KOTRA

올해 트렌드는 전통적인 미감, 자연, 현대적 기술의 조화... 리모델링 수요 증가세

아파트 관리앱부터 ICT 시스템까지, 스마트홈의 일상화 가속

2025년 러시아 인테리어 시장은 단순히 아름다운 것을 넘어 건강과 기능, 생활의 편리함까지 두루 갖춘 공간을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인테리어 디자인은 미적 요소와 함께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설계하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에 따라 2025년 신규 주택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거공간 및 교외 별장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러시아에서 주목받는 트렌드는 전통적인 미감과 현대적 기술의 조화다. 러시아 고유의 소재와 색감,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구조에 최신 스마트홈 기술이 자연스럽게 녹아들면서 스타일과 기능, 지속가능성까지 고루 갖춘 균형 잡힌 공간에 대한 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2025 러시아 인테리어 트렌드

 

① 자연과의 연결: 바이오필릭 디자인

 

재활용 소재로 제작된 가구나 리넨·코르크 등 천연 마감재를 활용하는 친환경 디자인을 넘어, 자연과의 연결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러시아에서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RU Design Shop에 따르면 최근 인테리어 디자인 관련 문의의 약 65%가 해당 디자인에 집중되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와 디지털화 속에서 사람들은 자연과의 접점을 회복하려는 욕구를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과 자연광, 자연 재료 등을 적극적으로 공간에 도입하는 디자인이 부상하고 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식물 벽(리빙월)이나 식물 패널 설치, 곡선형 구조와 자연의 형태를 반영한 가구와 건축물, 자연광을 최대한 끌어들이는 파노라마 창과 유리 칸막이, 그리고 자연광을 모사한 조명 시스템 등으로 구현된다. 물 흐르는 소리, 돌과 나무 등 자연 질감을 지닌 재료도 공간 구성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사례>



[자료: Remont BP, Green Land]

 

② 현대 러시아 스타일의 부상: 로컬 정체성 재해석

 

러시아 고유의 정체성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인테리어(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стиль) 주목받고 있다. 스타일은 러시아 전통 인테리어의 미적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과 실용성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는 러시아 전통 목조가옥인 '이즈바(деревенская изба)', 귀족풍 별장 형태의 '우사드바(усадьба)', 민속 양식을 현대적으로 반영한 '아 랴 루스(а-ля рус)' 등이 최근 인테리어에 맞게 재해석돼 활용되고 있다. 목재와 천연 직물 자연 소재, 러시아 전통 색상(빨강·초록·갈색·파랑·검정·흰색), 그리고 장식적인 요소를 일부 포함하되 과하지 않게 절제된 구성 핵심이다. 특히 전통 가옥의 조형미를 살린 문틀이나 몰딩, 벽난로를 모티브로 전기 벽난로, 러시아 민속 문양이 적용된 포인트 장식 등이 미니멀한 현대 공간 속에서 로컬 감성을 살리는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전통 러시아 스타일을 재해석한 인테리어>

[자료: Divan.ru]


③ 공간 효율성과 절제미: 미니멀리즘의 진화

 

미니멀리즘은 여전히 러시아 인테리어 시장에서 꾸준히 사랑받는 스타일이다. 불필요한 장식을 줄이고, 단순한 형태와 선명한 라인, 정제된 공간 구성을 통해 여백의 미와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특히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보조 조명으로 공간의 균형을 맞추는 설계가 많다. 최근에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베이지, 올리브 그린, 흙빛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색조가 중립 공간을 부드럽게 보완하는 방식이다.

 

또한, 고정된 벽이나 구조보다 이동 가능한 칸막이, 슬라이딩 도어 또는 모듈러 가구가 공간을 나누거나 통합하는 방식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예컨대 과거에는 벽으로 나누던 공간을 지금은 가벼운 패널, 접이식 요소 등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접이식 가구, 다기능 아일랜드 식탁과 같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있는 가구가 인기다.

 

<개폐 가능한 주방 인테리어>



[자료: Better.Archi]

 

④ 인테리어와 기술의 통합: 홈테크 트렌드


스마트 기술의 접목 역시 인테리어 시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2025년 현재, 다양한 공간에 타이머, 센서, 원격 제어 장치, 음성인식 어시스턴트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된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며, 생활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실제로 스마트홈을 경험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한 번 써보면 되돌아갈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 공간은 물론 구역별로 단계적으로도 도입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로봇청소기·조명 등을 스마트홈 시스템에 연동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인테리어 디자인과 통합되는 방식도 점차 정교해지고 있다. 스마트 홈 기능, 조명 제어, 보안 시스템 등이 보이지 않게 배치해 직관적으로 작동하면서 미적 요소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방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주요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트렌드 변화에 따라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현지 서비스 공유 플랫폼 아비토 우슬루그(Avito Uslyg)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인테리어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기관 top10best.su는 고객 평가, 포트폴리오 수준, 업계 평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2025년 기준 러시아 내 상위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5곳을 선정했다. 리스트에는 고급 프로젝트에 특화된 프리미엄 디자인 사무소부터 가격 대비 높은 품질을 제공하는 중간 가격대 스튜디오 모두 포함돼 있으며, 해당 스튜디오 웹사이트 등을 통해 현지 트렌드를 직접 살펴볼 수 있다.

 

<러시아 내 인기 디자인 에이전시>

에이전시명

사진

비고

Hot Walls

ㅇ 설립연도: 2013년

ㅇ 프로젝트 수: 150개 이상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hot-walls.ru/

Alina Salomatina Interiors

ㅇ 설립연도: 2013년

ㅇ 프로젝트 수: 100개 이상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salomatina.design/

Kostina Design

ㅇ 설립연도: 2020년

ㅇ 프로젝트 수: 50개 이상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kostyrina.ru/

Culture Design

ㅇ 설립연도: 2020년

ㅇ 프로젝트 수: 30개 이상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culture-design.ru

Better

ㅇ 설립연도: 2022년

ㅇ 프로젝트 수: 10개 이상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better.archi/

[자료: Kommersant, 업체별 홈페이지]


스마트홈 확산과 주요 플랫폼

 

이와 같은 인테리어 트렌드는 스마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확장되고 있다. 기능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술은 더 이상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공간 설계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홈 시스템 시장의 성장과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최근에는 특히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개별 가구 내 홈 ICT 기술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보안, 에너지 효율, 생활 편의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거주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러시아 주거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① 아파트 관리 앱

 

러시아에서는 첨단 시스템이 적용된 아파트 단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동산 분석기관 Ricci에 따르면, 현재 모스크바에서 추진 중인 전체 주거 프로젝트의 약 95%가 스마트홈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은 건설사 입장에서 큰 부담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의 일반 아파트에 비해 가격 차이는 5~10% 수준에 불과하다. 2025년 9월 기준, 러시아 통합건설정보시스템(ERZ)에 등록된 스마트 아파트 단지는 전국적으로 287곳에 달한다. 이는 스마트홈 시스템이 러시아 주택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기존에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기능들이 최근에는 아파트 구매 시 기본 내장 서비스로 통합되는 추세다. 주요 시스템으로는 영상통화가 가능한 IP 기반 인터폰, 스마트폰 앱을 통한 주차장 출입 제어, 자동 계량기 검침 시스템, 24시간 영상 보안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입주자의 생활 편의와 보안 수준을 동시에 높이며, 스마트홈 기술의 대중화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 아래 두 가지 사례 외에도 러시아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경쟁하고 있다.

 

<스마트 아파트 관리 앱 예시>

기업/서비스명

사진

비고

Domyland,

«Domyland+»

 

ㅇ 출시연도: 2018년

ㅇ 주요 공급처

MR Group, Level, Visota Service 등 550여 개사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domyland.ru/

Sberbank,

«Doma»

ㅇ 출시연도: 2018년

ㅇ 주요 공급처: 

Atlas Development, SK+ (STROYKOR PLUS) 등 80여 개사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help.doma.ai/

[자료: Domyland 공식 홈페이지]

 

② 홈 ICT 기술

 

러시아 통신감독청(Roscomnadzor)에 따르면, 러시아 홈 ICT 기기 시장은 2021년 12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에는 27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 내 주요 경쟁자는 글로벌 기술 기업과 러시아 현지 빅테크 기업으로 구분된다. 애플(Apple), 구글(Google), 삼성(Samsung), 샤오미(Xiaomi) 등 글로벌 브랜드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와 연동 가능한 통합형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러시아 기업인 얀덱스(Yandex), 스베르(Sber), 로스텔레콤(Rostelecom)도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며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Prombot, Onviz와 같은 스마트홈 특화 제조사, MTS 등 통신사도 솔루션 시장에 진입해 경쟁하고 있다.

 

<러시아 주요 홈 ICT 서비스>

기업명/서비스명

사진

비고

Yandex

«Умный дом 

с Алисой»

ㅇ 출시연도: 2019년

ㅇ OS: iOS, 안드로이드

음성 제어: 알리사 (Alisa)

ㅇ 제어 기기: 전구, 진공청소기, 히터, TV

주요 특징

- 다양한 브랜드의 기기 지원

- 쉬운 설정 및 관리

-  사용자 맞춤 시나리오 구성

VK

«Умный дом 

с Марусей»

출시 연도: 2023
OS: iOS, 안드로이드
음성 제어: 마루시아(Marusia)
제어 기기: 전구, 전기 주전자, 진공청소기
주요 특징:
- 60 이상 브랜드 기기 지원
- 다중 주택(별장 포함) 제어 가능

Sber

«Салют! 

Умный дом»

출시 연도: 2021
OS: 안드로이드
음성 제어: 살류트(Salut)
제어 기기: 전구, 소켓, 모션·화재 센서
주요 특징:
 - 사용자 기기 제어 공유
 - 뉴스, 쇼핑 부가 기능 지원

MTS

«Умный дом»

출시 연도: 2023
OS: iOS, 안드로이드
음성 제어: 없음
제어 기기: CCTV, 소켓, 전구
주요 특징:
- 다중 주택 관리 가능
- CCTV 전환 간편

Rostelecom

«Видеонаблюдение и Умный дом»

출시 연도: 2025
OS: iOS, 안드로이드
음성 제어: 없음
제어 기기: 모션 센서, CCTV
주요 특징:
- 단일 계정으로 다수 사용자 관리
- 음성 메시지 기능 포함

[자료: Hi-tech.mail.ru]


주거단지 내 스마트 기술 적용 사례

 

Seliger City

 

러시아에서 스마트홈이 실질적으로 도입된 대표 사례는 도시형 아파트와 교외형 주택 두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도시형 사례로는 모스크바에 위치한 Seliger City 아파트 단지가 있다.

 

<모스크바 Seliger City 단지 모습>

[자료: MR Group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 부동산 개발사 MR Group이 모스크바에 조성한 Seliger City는 2025년 1월부터 스마트 홈 및 스마트 아파트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해당 단지에는 IT기업 Ujin이 구축한 통합 디지털 환경이 도입돼 있으며, 단지 전역에서 하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입주민의 일상적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구축된 것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아파트 내부는 물론 단지 출입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Seliger City의 스마트아파트 앱 UI>

[자료: MR Group 공식 홈페이지]

 

입주민은 모바일 앱을 통해 인터폰 영상통화를 수신하고 출입문을 원격으로 개방할 있으며, 블루투스 태그나 지문 인식(Touch ID) 활용해 문을 여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번호 인식을 통한 주차장 자동 출입, 단지 외부 CCTV 실시간 열람, QR코드를 이용한 택배·방문객 출입 승인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또한, 해당 시스템은 청소, 음식 배달, 입주지원센터 민원 접수 다양한 반복 업무를 모바일 앱에서 간편하게 실행할 있도록 한다. 계량기 정보 또한 자동으로 연동되어 입주자는 에너지 소비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공과금도 앱에서 바로 납부할 있다.

 

이와 별도로 가정에서 스마트홈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다. 추가 장비와 센서를 설치해 앱을 맞춤 설정할 있으며, 대표적으로 누수 감지 센서, 조명 및 온도 조절기, 가전제품 제어, 보안 시스템 연동, 전력 소비 감시 등도 관리할 있도록 설계돼 있다.

 

② Smart Village

 

러시아에는 교외에 위치한 ‘다차(별장형 주택)’ 문화가 깊게 뿌리내려 있다. 도시 거주 가구 중 절반 이상이 교외에 별도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주말마다 다차를 방문하여 휴식을 갖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교외 주택의 편의성과 기능을 개선하려는 수요가 확대되며, 스마트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빌리지(Smart Village) 개발 프로젝트가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예카테린부르크 인근에 조성된 Smart-Derevnya(스마트 빌리지와 같은 의미의 러시아어 표현)는 총 67개 모듈러 주택으로 구성돼 있고, 각 주택에 디지털 제어 시스템이 탑재돼 있다. Wi-Fi, 자가 경보 시스템 및 감시 카메라, 자동 소화 시스템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돼 있으며, 원격 교육, 원격 진료 등 디지털 공공 서비스도 지원한다.

 

<스마트 게이트가 설치된 입구>

<스마트 시스템이 적용된 주택>

[자료: Smart Village 공식 홈페이지]


시사점

 

러시아 인테리어 및 스마트홈 시장은 단순한 디자인 수요를 넘어, 생활 편의성·기술·정서적 안정감까지 고려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조업체와 디자이너에게는 기술을 인테리어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역량, 합리적인 가격과 기능의 균형,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에 대한 대응력이 중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미니멀하면서도 감성적인 공간, 자연 소재와 지속가능성, 전통 양식의 현대적 재해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러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인테리어 자재·가구 기업은 이에 부합하는 제품 라인업 및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유럽 브랜드의 인기가 유지되고 중국·튀르키예 등 러시아 우호국 브랜드가 대거 진입하는 가운데, 한국 제품은 '가성비를 갖춘 프리미엄' 제품으로서 포지셔닝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된 감성적 트렌드와 스마트 기술의 통합으로, 사용자 맞춤형 제작 방식 세련된 디자인, 스마트 기능을 갖춘 브랜드가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스마트홈 기술의 대중화와 러시아 IT기업의 글로벌 스마트홈 기술  준수 등도 한국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스마트홈 관련 기술 이전, 설계·디자인 자문, 플랫폼 연계형 제품 수출 등 다양한 진출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며, 비제재 품목에 한해 아파트 건설 프로젝트에 간접 참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향후 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비해 이러한 트렌드를 수시로 파악하고 진출 전략을 사전에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 RBC, Kommersant, RIA Novosti, office-news, kp.ru, novostroy, webceramic, rudesignshop, annarusska,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인테리어 트렌드와 스마트홈의 진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