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밴쿠버에서 3D 모델러로 살아간다는 것 – 한 모델러의 캐나다 현장 도전기
- 외부전문가 기고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최희원
- 2025-09-19
- 출처 : KOTRA
-
캐나다 밴쿠버가 3D 모델러에게 기회의 도시인 이유
비자·포트폴리오·소통 능력, 성공적인 취업의 핵심 전략
정찬형 3D 모델러, Sony Pictures Imageworks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소니 픽쳐스 이미지웍스(Sony Pictures Imageworks)에서 3D 모델러로 일하고 있는 정찬형 입니다.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등 디지털 콘텐츠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3D 모델링 기술은 전 세계 어디서든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캐나다는 글로벌 게임사와 VFX 스튜디오가 활발히 활동하며, 창작자를 위한 지원과 안정적인 근무 환경으로 유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한 취업 과정과 준비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현실적인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3D 모델러, 정찬형>

[자료: 본인 제공]
3D 모델러란
3D 모델러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시각효과(VFX) 산업에서 인물, 사물, 배경 등 모든 가시적 오브젝트의 ‘형태’를 만드는 직업입니다. 즉, 관객이 스크린에서 보는 모든 디지털 세계의 기초 골격을 설계하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품의 시각적 완성도와 직결되는 중요한 직군으로, 창의성과 기술력을 동시에 요구받습니다.
최근 참여한 주요 프로젝트로는 수퍼내추럴 아카데미 (Supernatural Academy, 2022), 씨비스트 (The Sea Beast, 2022), 모비우스 (Morbius, 2022), 스파이디와 놀라운 친구들 (Spidey and His Amazing Friends, 2023),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스파이더버스 (Spider-Man: Across the Spider-Verse, 2023), 고스트버스터즈: 프로즌 엠파이어 (Ghostbusters: Frozen Empire, 2024), 인 유어 드림 (In Your Dream, 2025), 마인크래프트 (Minecraft, 2025), 판타스틱 포: 퍼스트 스텝스 (The Fantastic Four: First Steps, 2025), 고트 (Goat, 2026 예정), 스파이더맨: 비욘드 더 스파이더버스 (Spider-Man: Beyond the Spider-Verse, 2027 예정) 등이 있습니다.
<정찬형 3D 모델러의 참여 작품들>



수퍼내추럴 아카데미
(Supernatural Academy, 2022)
씨비스트
(The Sea Beast, 2022)
모비우스
(Morbius, 2022)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스파이더버스
(Spider-Man: Across the Spider-Verse, 2023)
고스트버스터즈: 프로즌 엠파이어
(Ghostbusters: Frozen Empire, 2024)
마인크래프트
(Minecraft, 2025)



인 유어 드림
(In Your Dream, 2025)
스파이디와 놀라운 친구들
(Spidey and His Amazing Friends, 2023)
고트
(Goat, 2026 예정)
[자료: 각 작품 제작사 웹사이트]
3D 모델러에게 밴쿠버가 주목받는 이유
밴쿠버는 아름다운 자연 도시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디즈니(Disney), 넷플릭스(Netflix), 아이엘엠(ILM), 소니(Sony), 디넥(DNEG) 등 세계적인 스튜디오들이 자리 잡은 영화·애니메이션 산업의 핵심 거점입니다.
그 이유는 분명합니다. 캐나다 정부가 시각효과와 애니메이션 산업을 대상으로 최대 40%까지의 인건비 환급 혜택을 포함한 강력한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현업 기반의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이 잘 마련되어 있어, 학업과 현장 경험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3D 모델러로서의 커리어 첫 진입 그리고 현실
밴쿠버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려면 가장 먼저 넘어야 할 관문은 ‘비자’입니다.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워킹홀리데이 비자인데, 2024년부터 만 35세까지 신청 가능하며 최대 2년간 체류할 수 있어 업계에 첫 발을 들이기 좋은 기회가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학생비자를 위한 학교 진학입니다. 밴쿠버에는 현장 중심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관들이 있습니다.o 캐필라노 대학교 (Capilano University)
o 브리티시컬럼비아 공과대학교 (BCIT)
o 밴아트 (VanArts)
o 씽크탱크 트레이닝 센터 (Think Tank Training Centre)
o 밴쿠버 필름스쿨 (Vancouver Film School, VFS)
이와 같은 국공립 대학교·전문학교를 졸업하면 최대 3년간의 취업 비자(졸업 후 취업허가, Post-Graduation Work Permit)를 받을 수 있어 안정적으로 경력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PGWP(졸업 후 취업허가)란?
PGWP는 캐나다 정부가 지정 교육기관(Designated Learning Institution, DLI)에서 일정 기간 이상 학업을 마친 국제학생에게 발급하는 취업 허가증입니다. 학업 기간에 따라 최대 3년까지 발급되며, 이 비자를 통해 합법적으로 풀타임 근무를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캐나다 이민 제도와도 긴밀히 연계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커리어를 이어가고자 하는 분들께 매우 중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포트폴리오가 전하는 이야기
3D 모델러에게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바로 ‘포트폴리오’입니다. 단순히 결과물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본인의 기술력과 스타일, 문제 해결 능력이 함께 드러나야 합니다.
밴쿠버 스튜디오에서 선호하는 포트폴리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o 퀄리티 우선: 2~3개의 완성도 높은 작업이 10개의 미완성 작업보다 좋습니다
o 브레이크다운 제공: 어떤 툴을 사용했는지, 어디까지가 본인의 작업인지 명확히 표시
o 툴 숙련도 강조: 마야(Maya), 지브러시(ZBrush), 마블러스 디자이너(Marvelous Designer), 서브스턴스(Substance) 등 활용 능력
o 개인작 중심: 팀 프로젝트보다는 본인의 역량이 잘 드러나는 작업을 선호
저 역시 캐릭터, 하드 서페이스, 실사 오브젝트 작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고, 모든 작업에 제작 노트와 사용 툴을 덧붙였습니다. 또한 현직자분들의 피드백이나 추가 수업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했습니다. 그 과정 덕분에 좋은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었고, 첫 인터뷰 기회도 얻을 수 있었습니다.
3D 모델러 취업 전략, 어떻게 세워야 할까
취업은 단순히 지원서를 제출하는 일에 그치지 않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밴쿠버에는 수많은 글로벌 및 로컬 스튜디오가 있습니다. 처음부터 대형 스튜디오만 바라보기보다는 중소 규모의 회사에서 경험을 쌓으며 점차 커리어를 확장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활용할 수 있는 구직 채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o 링크드인 (LinkedIn): 업계 인맥 및 채용 담당자와의 네트워크
o 밴쿠버 VFX 잡 보드 (VFX Vancouver Job Board): 현지 채용 정보
o 더 루키스 (The Rookies) / 아트스테이션 (ArtStation): 포트폴리오 공개 및 채용 연계
o 학교 커리어센터: 졸업생 대상 채용 연계 및 피드백 지원
데모 릴은 1분 30초 이내로 구성하고, 가장 임팩트 있는 작업을 앞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력서는 간결하게 정리하되 본인의 작업 중심으로 작성하고, 포트폴리오 링크는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언어보다 중요한 건 커뮤니케이션
이 업계에서는 높은 영어 점수보다는 ‘소통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3D 모델링은 팀워크에 기반한 작업이기에, 감독이나 슈퍼바이저, 동료 아티스트들과 원활하게 협업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자신의 작업을 설명하고, 피드백을 이해하며, 문제 상황을 명확히 전달하는 능력은 곧 업무 역량으로 연결됩니다. 저도 매일 아침 진행되는 데일리 회의에서 제 작업을 간단히 요약해 발표하는 연습을 꾸준히 했는데, 이런 경험이 영어 회화 수업보다 훨씬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
밴쿠버는 자연과 기술,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입니다. 창의적인 직군이 사회적으로 존중받는 분위기이고, 이민자에게도 개방적인 편입니다. 산업 환경 또한 안정적입니다. 캐나다 정부의 지원 정책은 점점 강화되는 추세이며,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북미 외주 제작 비중이 늘어나면서 밴쿠버의 위상도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밴쿠버에서 3D 모델러로 자리 잡는 길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수없이 포트폴리오를 수정하고, 인터뷰에서 떨어지고, 불안한 비자 문제와 외로움을 겪는 과정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시간을 버티고 난 뒤 처음으로 제 이름이 영화 엔딩 크레딧에 올라갔던 순간을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그 경험은 단순한 경력 한 줄이 아니라 제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언젠가는 같은 길을 걷게 될지도 모릅니다. 완벽하게 준비된 사람이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더라도 도전하는 사람이 결국 기회를 잡습니다.
이 글이 누군가의 첫걸음을 내딛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해당 원고는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로 KOTRA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기고] 밴쿠버에서 3D 모델러로 살아간다는 것 – 한 모델러의 캐나다 현장 도전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 사우디 인테리어 전시회 INDEX 참관기
사우디아라비아 2025-09-19
-
2
러시아 2025 ProSafety 참관기
러시아연방 2025-09-19
-
3
K-뷰티 제품 관심 증가…일본 '도쿄 인터내셔널 기프트쇼 2025' 참관기
일본 2025-09-18
-
4
미국 컴퓨터 모니터 시장동향
미국 2025-09-12
-
5
산둥성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
중국 2025-09-15
-
6
공기청정기
말레이시아 2024-07-17
-
1
2025년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정보
캐나다 2025-08-29
-
2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7
-
3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4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5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6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