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5-08-25
- 출처 : KOTRA
-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 K-마스크팩이 선호도 1순위로 시장 트렌드 선도
시트 마스크에서 필오프 타입까지 다양해진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
상품명 및 HS 코드
기타 화장품류에 속하는 마스크팩의 HS 코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설명
3307
면도용 제품류 ㆍ인체용 탈취제ㆍ목욕용 조제품ㆍ탈모제와 그 밖의 조제향료ㆍ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이나 화장용품ㆍ실내용 조제 탈취제(향을 첨가한 것인지 또는 살균성이 있는 것인지에 상관없다)
3307.90
기타(마스크팩 포함)
[자료: KOTRA 양곤무역관 종합]
미얀마 기초 화장품 시장 규모
HS 코드 3307.90는 마스크팩을 포함해 면도용 제품, 탈취제 등 다양한 화장품류가 포함돼 있다. 품목별 구분은 제한적이나 시장 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된다.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미얀마 스킨케어 시장규모는 2024년 소매판매액이 전년 대비 16% 증가한 4250억 짜트를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화장품류에 대한 지출을 계속 유지했으며, 특히 중저가 스킨케어 브랜드의 시장 성장이 핵심 동력으로 작용됐다.
<미얀마 기초화장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 짜트)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수입동향
Global Trade Atlas (GTA)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3년 미얀마의 마스크팩(HS Code 3307.90)의 수입액은 약 2334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3.6배 급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산 마스크팩 수입이 2101만 달러로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전체 수입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전체 수입액이 약 467만 달러로 감소했으며, 중국산 수입액도 23만2천 달러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산 마스크팩 수입은 2024년에 313만 달러로, 전년도 전체 수입액(105만9천 달러)의 약 3배를 기록하며 중국을 제치고 1위 수입국으로 부상했다. 이는 한류, K-뷰티에 대한 선호와 함께 프리미엄 마스크팩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태국, 일본, 인도 등 기타 국가의 수입은 비교적 소규모에 머무르고 있다. 전반적으로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은 가격 중심에서 품질 중심으로 소비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의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주목된다.
<HS Code(3307.90) 마스크팩의 수입동향>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증감율
2023/2024
2022
2023
2024
총 수입량
6,527
23,344
4,672
100
-80.0
1
한국
1,362
1,059
3,139
67.2
196.4
2
태국
1,181
1,103
819
17.5
-25.7
3
중국
3,236
21,016
232
5.0
-98.9
4
일본
41
18
157
3.4
772.2
5
인도
129
73
100
2.1
37.0
6
홍콩
52
0
92
2.0
0.0
7
프랑스
27
19
73
1.6
284.2
8
싱가포르
34
39
47
1.0
20.5
9
베트남
2
13
13
0.3
0.0
10
말레이시아
56
0
0
0.0
0.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8.6. 기준]
경쟁동향
미얀마 내 마스크팩 제품군은 다양한 형태와 제형으로 판매되고 있다. 시트 마스크뿐만 아니라, 슬리핑 마스크, 위시오프 팩, 필오프 타입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들도 시장 내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 중 한국산 제품은 미얀마 화장품 시장에 이미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마스크팩 시장 내 주요 제품 중 상당수를 한국 브랜드가 차지하고 있다.
<미얀마 내 주요 마스크팩 브랜드 및 제품>
브랜드
사진
제조국
용량 및 가격
Sulwhasoo Peel Off Mask

한국
35 ml
14,500짜트
(3.29 달러)
Bergamo Help Cica Face Mask

한국
4500짜트
(1.0달러)
Innisfree Energy Mask Heartleaf Soothing

한국
6,000짜트
(1.3달러)
Dermasuri Beetroot Clay Mask

미얀마
50g
16,500짜트
(3.75 달러)Cosmo Facial Peel off Mask

UAE
150ml
17,850짜트
(4.05 달러)Bella Charcoal Vitamin Serum Face Mask

태국
4800짜트
(1.09달러)
* 주: 1 USD = 4400 MMK (2025.8.10. 기준 시장 환율)
[자료: KOTRA 양곤무역관 조사]
유통구조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은 스킨케어 및 화장품의 일반적인 유통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 모두를 통해 판매가 이뤄진다. 과거에는 오프라인 유통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최근에는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판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오프라인의 경우 주요 쇼핑몰 내 독립 매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를 취급하는 멀티 브랜드 숍, 생활용품과 함께 화장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등에서도 마스크팩이 판매된다.
온라인 유통은 미얀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SNS인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판매자는 제품 사진과 가격을 게시하고, 거래는 주로 메신저를 통해 진행되며 대부분 착불 결제 방식이 사용된다. 온라인 판매의 장점은 소셜 인플루언서나 실제 사용자가 올린 제품 후기와 사용 영상이 자연스럽게 홍보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별도의 대규모 광고비 없이도 홍보가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는 반면, 미얀마 소비자들은 입소문을 신뢰하는 경향이 강해 부정적인 평가가 확산될 경우 짧은 시간 내에 시장 이미지가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관세율 및 수입통관 절차
스킨케어 제품에 대해 미얀마 관세청(Myanma Customs)이 적용하고 있는 관세율은 20%로 확인된다. ‘한-아세안(ASEAN) 자유무역협정(FTA)’에는 면세 혜택이 없으며, 관세와 별도로 일반 소비재에 일괄 적용되는 상업세(Commercial Tax) 5%가 화장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마스크팩에 적용되는 관세 및 상업세>
(단위: %)
HS 코드
HS 코드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3307.90
면도용 제품류ㆍ인체용 탈취제ㆍ목욕용 조제품ㆍ탈모제와 그 밖의 조제향료ㆍ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이나 화장용품ㆍ실내용 조제 탈취제(향을 첨가한 것인지 또는 살균성이 있는 것인지에 상관없다)
kg
20%
5%
[자료: Myanmar Custom Tariff 2022]
인증 및 규정
미얀마로 화장품 수입 시 미얀마 보건부(Ministry of Health) 산하 미얀마 식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화장품 등록(Cosmetics Registration)이 필요하다.
의약품 등록(Cosmetic Registration)
해외에서 화장품을 수입하고 유통하기 위해서는 미얀마 식약청(FDA)에 등록해야 한다.
1.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제조업자에서 발급해 준 공식딜러 증명서(Letter of Authorization from owner or manufacturer or distributer)
2. 회사 등록증 복사본(Copy of Local Company Registration)
3. 제품의 생산 국가에 등록한 증명서 복사본(Copy of Acknowledgement of Notification from manufacturing country)
4. 제한 성분 비율이 포함된 전체 성분 목록 (Full ingredient list with percentage of restricted ingredients)
5. 제품의 상표 원본(Clear color artwork or photograph or scan of the product label & package inserts)
※ 상기 자료는 식약청의 홈페이지(https://esubmission.fda.gov.mm/)를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으며, 심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30~180일, 비용은 50,000짜트(Kyat)이다. 참고로 수입추천서의 유효기간은 2년이며, 만료 시 재신청해야 한다.
인터뷰 및 시사점
양곤 시내에서 마스크팩을 유통·판매하는 한 현지 뷰티숍 운영자에 따르면, 최근 미얀마 소비자들은 단순히 저렴한 제품보다는 성분, 기능, 브랜드 신뢰도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특히 한국산 마스크팩은 ‘프리미엄’ 이미지와 더불어 미백·탄력·수분 공급 등 기능성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가격이 다소 높더라도 구매를 지속하는 소비층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반면, 수입 허가 절차 지연과 환율 변동으로 인한 가격 상승은 판매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일부 소매상은 재고 확보를 위해 사전 대량 주문이나 비공식 유통 경로 활용을 검토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은 가격 중심의 소비 패턴에서 품질·브랜드 중심의 소비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있다. 특히 한류와 K-뷰티 인지도가 높아 한국산 제품의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크지만, 수입 규제와 환율 리스크, 소비 심리 위축 등 외부 변수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은 중저가~프리미엄 가격대별 라인업 다각화, 소셜미디어·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저비용 홍보, 현지 파트너와의 장기 공급 계약 체결 등을 통해 시장 진입·확대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旣) 등록 제품의 재고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장기적으로는 현지 OEM·ODM 생산이나 포장 공정 일부 현지화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도 고려할 만하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식약청, Citymall 홈페이지, 인터뷰 및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마스크팩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일본 2025-08-25
-
2
태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태국 2025-04-30
-
3
규모와 기술력, '쌍끌이' 형세의 인도 포장산업 동향
인도 2025-09-08
-
4
2025 성장 반등을 기대하는 중국 길림성 경제 전망
중국 2025-04-01
-
5
인도 아크릴 폴리머 (Acrylic Polymer) 시장동향
인도 2025-04-28
-
6
싱가포르 뷰티 디바이스 시장 동향
싱가포르 2025-08-25
-
1
2025년 미얀마 농산물 산업 정보
미얀마 2025-09-01
-
2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미얀마 2024-04-22
-
3
2021년 미얀마 임업 산업 정보
미얀마 2022-02-07
-
4
2021년 미얀마 전력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5
2021년 미얀마 농업 산업정보
미얀마 2021-12-29
-
6
2021년 미얀마 수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