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성장 반등을 기대하는 중국 길림성 경제 전망
- 경제·무역
- 중국
- 창춘무역관
- 2025-04-01
- 출처 : KOTRA
-
Keyword #2025길림성 경제동향 #길림성 수출입 #2024년 길림성 경제지표 #중국 #길림성 #자동차시장 #제일기차그룹 #창춘 #연변 #길림성 산업구조 혁신 #소비 #경제성장률
2024년 길림성 경제는 소매 판매율 부진(3.5%)과 공업 성장률 둔화(3.9%) 등 요인으로 中 전역 평균치(5.0%↑)보다 낮은 4.3% 성장 기록
對한국 수입액은 축전지, 전자집적 회로 등 수입이 증가하며 14.1% 상승
2025년에는 신에너지차 등 첨단산업 고도화, 소비 진작, 대외 개방 확대 등 정책을 강화하여 금년 경제성장 목표 5.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중국 길림성, 2024년 소비 및 공업 성장률 등이 예상치 대비 부진해 중국 전역 평균 성장률 5.0%보다 0.7% 낮은 4.3% 성장 기록
[자료:길림성 통계국(吉林省统计局), 중국 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2024년 길림성 경제 규모는 소비시장 성장률이 예상치를 하회하는 3.5%성장에 그치고, 중국 내 타지역에 제조 거점을 두고 있는 신에너지차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공업 성장률 둔화(3.9%↑)까지 겹치는 등 요인으로 중국 전역의 경제성장률 평균인 5.0%보다 낮은 4.3%를 기록했다.
길림성의 GDP는 1만436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3% 상승했으나, 중국 평균 성장률인 5.0% 보다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1차 산업 생산은 1590억 위안으로 4.5% 성장, 2차 산업은 4578억 위안으로 3.9% 증가, 3차 산업은 8193억 위안으로 4.4% 증가하여 2차 산업의 성장이 평균을 하회하여 전반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2024년 길림성 수출입 교역 동향
2024년 길림성의 연간 교역 총액은 2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4.0% 증가, 수출은 95억 달러로 전년 대비 7.0% 증가, 수입은 15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한국무역협회 통계로 길림성 통계국 발표 통계와 수치상 차이 존재)
<길림성의 수출입 동향 (2021년-2024년)>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무역총액
23,460
25.5
23,431
-0.1
23,803
1.6
24,761
4.0
수출
5,586
29.6
7,544
35.1
8,897
17.9
9,521
7.0
수입
17,874
24.3
15,887
-11.1
14,904
-6.2
15,240
2.3
무역수지
-12,289
-
-8,343
-
-6,007
-
-5,719
-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2024년 길림성 국가별 수출 상황
2024년, 길림성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러시아(26억 달러), 한국(6억), 인도(4억), 미국(4억), 독일(4억) 순으로 집계됐다. 對인도 수출(21.6%↑), 독일(12.9%↑), 한국(6.9%↑), 미국(5.1%↑) 등 주요 수출 상위국에 대한 수출은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최대 수출국인 러시아(10.5%↓)로의 수출은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2020년, 2021년 2년간 길림성의 최대 수출대상국이었으나, 2024년 기준으로는 2위를 기록했다.
<길림성의 국가별 수출 동향 (‘21-’24)>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5,586
29.6
7,544
35.1
8,897
17.9
9,521
7.0
1
러시아
457
83.3
969
112.0
2,878
196.9
2,576
-10.5
2
한국
527
20.3
495
-6.1
525
6.1
562
6.9
3
인도
343
56.7
351
2.3
344
-1.9
419
21.6
4
미국
435
36.3
387
-11.1
385
-0.5
404
5.1
5
독일
539
44.5
767
42.2
343
-55.2
388
12.9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2024년 길림성 주요 수출 동향
길림성의 국별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러시아로 수출되는 화물자동차류, 트랙터, 승용차, 스마트폰 등이 있고, 벨기에 질소화합물, 한국으로는 주로 가공어류, 광천수, 일본으로는 전기 부품, 미국으로는 견과류, 질소 화합물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길림성 창춘 지역에 중국 자동차 대표기업인 제일기차그룹을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어 이로 인해 자동차 부품 관련 수출이 많은 특징이 있다.
<길림성의 주요 수출 품목 (2021년-2024년, HS Code 4단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
코드
품목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1
8703
승용차
201
208.6
371
85.0
983
164.8
943
-4.1
2
8701
트랙터
122
75
202
65.1
818
305.5
880
7.6
3
8704
화물자동차
171
154.3
463
171.1
882
90.4
626
-29.1
4
8517
전화기, 음성. 영상 자료 송신용기기 등
7
-5.3
63
796.8
214
241.7
462
115.8
5
2922
산소관능
아미노화합물
211
36.4
333
57.9
377
13.3
458
21.5
6
8708
차량용부분품, 부속품
201
31.5
207
2.9
247
19.4
260
5.0
7
8603
자주식 철도 또는 전차 객차, 밴 및 트럭
157
-44.9
119
-24.1
141
18.9
229
62.1
8
4412
합판, 베니어 패널, 적층목재
357
22.4
349
-2.2
173
-50.5
203
17.2
9
8537
전기 제어 또는 전기 패널
85
43.2
100
17.4
147
46.7
181
23.4
10
5403
필라멘트사
178
61.4
222
24.7
192
-13.5
180
-6.3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2024년 길림성 국가별 수입 동향
길림성의 주요 수입국은 독일(38.9억 달러), 러시아(12.5억), 멕시코(11.7억), 슬로바키아(10.3억), 포르투갈(10.1억) 순이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자 부품, 기계부품의 수요가 급증하며 3.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하며 상승세로 전환됐다.
<길림성의 국가별 수입 동향 (2021년-2024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총계
17,874
24.3
15,887
-11.1
14,904
-6.2
15,240
2.3
1
독일
5,271
30.4
3,881
-26.4
3,936
1.4
3,893
-1.1
2
러시아
1,159
95.4
1,610
38.9
1,327
-17.6
1,247
-6.0
3
멕시코
1,065
27.1
1,078
1.2
1,184
9.9
1,170
-1.2
4
슬로바키아
1,249
42.8
823
-34.1
990
20.3
1,026
3.6
5
포르투갈
961
28.6
845
-12
795
-5.9
1,008
26.9
11
한국
484
19.6
418
-13.7
325
-22.2
371
14.1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러시아를 제외한 수입순위 상위 5개국은 모두 자동차 산업과 관련성이 높으며, 길림성에서 생산되는 폭스바겐, 아우디, 도요타 등의 완성차에는 독일, 멕시코, 슬로바키아, 포르투갈 등지로부터 글로벌 소싱 형태로 조달된 부품 및 모듈이 다수 사용되는 특징이 있어 수입 품목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길림성의 주요 수입 품목 (2021년-2024년, HS Code 4단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1
8708
차량용 부분품.부속품
4,175
18.6
2,810
-32.7
2,270
-19.2
2,898
27.7
2
8703
승용차
3,391
58.4
2,370
-30.1
2,693
13.6
2,393
-11.1
3
8526
레이더기기ㆍ무선기기 등
15
-49.2
72
387.8
749
938.4
738
-1.5
4
8517
전화기
340
41.5
504
48.3
509
0.9
619
21.7
5
8512
조명 및 신호장기
838
24.0
580
-30.8
520
-10.2
618
18.8
6
8542
전자집적회로
267
49.4
490
83.4
553
13.0
572
3.5
7
0306
갑각류
484
198.7
435
-10.0
477
9.6
522
9.4
8
8537
전기제어용이나 배전용 보드ㆍ 패널ㆍ콘솔ㆍ책상ㆍ캐비닛등
435
-4.4
437
0.5
434
-0.8
520
20.0
9
2603
구리광, 그 정광
374
-7.3
600
60.4
666
11.0
481
-27.7
10
2701
석탄
472
102.8
787
66.7
639
-18.8
412
-35.5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2024년 한국과 길림성간 수출입 동향
2024년 한국과 길림성 간 교역액은 9억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8% 상승했다. 한국의 對길림성 수출은 3.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1%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6.9% 증가한 5.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對길림성 수출입 동향 (2021년-2024년)>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교역총액
1,011
19.9
913
-9.7
850
-6.9
933
9.8
수출
484
19.6
418
-13.7
325
-22.2
371
14.1
수입
527
20.3
495
-6.1
525
6.1
562
6.9
무역수지
-43
_
-77
_
-200
_
-191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한국에서 길림성으로의 주요 수출 품목은 축전지, 전자 및 자동차 부품, 유기화합물 등이며, 현지 주력 산업인 자동차, 화학 등 분야와 관련한 소재와 부품의 수출이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의 對길림성 주요 수출 품목(2021년-2024년, HS Code 4단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1
8507
축전지
105
-0.3
120
14.7
103
-14.3
108
4.6
2
8542
전자집적회로
13
37.6
24
87.6
24
2.6
88
263.8
3
8536
전기회로용기기
25
41.1
21
-16.4
20
-4.4
20.0
0.7
4
2926
니트릴관능화합물
15
0.0
4
-73.8
20
383.7
17
383.2
5
2708
피치와 피치코크스
24
141.5
18
-23.9
14
-22.8
15
2.7
6
3901
에틸렌의 중합체
12
23.7
13
7.6
11
-19.4
11
1.1
7
3907
폴리아세탈수지, 폴리에테르,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알키드수지, 폴리아릴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7
-1.8
8
23.5
10
26.4
11
3.5
8
8414
펌프류, 압축기, 팬
18
11.5
19
19
17
-9.3
11
-37.7
9
8544
절연전선, 절연 케이블, 전기절연 도체, 광섬유케이블
7
-1.7
5
-17.0
5
-14.3
6
33.1
10
9032
기기 및 자동 도정 장치
5
38.8
11
99.4
7
-37.2
5
-16.2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한국이 길림성으로부터 수입하는 주요 품목은 가공 냉동어류 및 어류 가공품, 광천수 등과 같은 식품 및 가공식품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는 러시아산 어류를 수입해 가공한 후 한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하며, 한국 기업이 백두산(중국명: 长白山) 유역의 지하수로 생산한 광천수도 꾸준히 한국으로 수입 중이다. 이외에도 케이블류, 전자부품 등 산업용 원부자재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의 對길림성 주요 수입 품목(2021년-2024년, HS Code 4단위)>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금액
증감
1
0305
어류
57
3.5
62
7.7
69
12.0
60
-13.2
2
8537
보드.패널.콘솔.책상.캐비닛
8
74.4
14
66.2
40
188.7
53
33.3
3
2201
물
36
-19.9
53
46.2
51
-4.1
44
-12.1
4
9026
액체.기체의 유량.액면.압력.변량 측정용.검사용 기기
13
925.2
18
37.5
31
74.4
35
12.4
5
1006
쌀
0
-100
0
0.0
19
0.0
24
23.2
6
1207
채유용 종자 과실
28
1.7
20
-28.5
31
55.8
24
23.2
7
8544
절연전선, 절연케이블 등
18
4.0
14
-19.8
14
-1.2
18
28.9
8
2303
전분 제조의 잔류 물 둥
9
-41.8
12
40.6
13
5.9
17
36.6
9
8481
탭.코크.밸브
10
7,454.7
17
73.2
25
49.3
14
-32.0
10
0303
생선 필레 및 기타
24
1.3
17
-29.2
19
10.8
13
-32.0
[자료:한국무역협회(중국무역통계)]
2025년 길림성 경제성장 전망
2025년 1월에 길림성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5%로 설정하고, 국내소비 수요와 투자 활성화, 산업 혁신 및 고도화, 대외무역 확대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5년 길림성 정부는 고정자산 투자(5%), 사회소비재 소매총액(6%) 등 목표를 제시했다.
<길림성의 2024년 주요 경제지표 성과와 2025년 목표(‘25.1월 정부 사업보고)>
지표명
2024년 성과
2025년 목표치
(GDP) 증가율
4.3%
6%
식량 생산량
4,266만 톤
4,400만 톤 이상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
0.7%
5% 이상
사회소매총액 증가율
3.5%
6% 이상
교역 총액 증가율
3%
-
CPI 증가율
0.3%
2% 이내
2025년은 14차 5개년 계획의 마지막 해로 산업 고도화, 소비 활성화, 대외개방, 투자 유치 등 촉진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주력 산업 구조 전환, 내수소비 활성화, 신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확대 등 정책을 대대적으로 펼쳐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분야
세부추진목표
1차
산업
농업
ㅇ 디지털 농업 육성, 농작물 기계 사용률 94.7%로 제고
ㅇ 농산물 정밀가공 산업 클러스터 육성, 인삼 생산, 제조 등 관련 산업사슬 생산가치 1,000억 위안 규모 달성
2차
산업
자동차산업
ㅇ 신에너지 및 스마트 커넥티드카 등 첨단 산업 고도화
장비제조업
ㅇ 수소 도시열차 및 궤도전차 개발 가속화
의료건강산업
ㅇ 바이오의약, 현대 중의약, 첨단의료기기산업 육성
광전자산업
ㅇ 센서 산업단지 건설 가속화, OLED 프로젝트 투자유치 등
신에너지산업
ㅇ 투자액 1,300억 위안, 그린 수소산업 프로젝트 생산 추진 등
3차
산업
관광업
ㅇ 빙설장비 산업단지 육성 등으로 국내관광객 두자릿수 성장
ㅇ 선두기업 유치, 인프라를 보완하여 관광산업 1조 위안 달성
소비
ㅇ 자동차박람회, 이구환신 등 소비 촉진 지원정책 지속
ㅇ 실버 경제를 비롯한 양로, 육아 등 서비스 소비 지원 강화
ㅇ 프랜차이즈 1호점 100개 유치 등 런칭 경제(首发经济) 촉진
대외개방
ㅇ [투자유치] 신규 프로젝트 1,000건, 3,000억 위안 투자 유치
ㅇ [대외무역] 완성차 및 부품, 농산물, 의약품 등 지역 대표 상품의 해외시장 개척, 대외무역 종사 기업 200개 신규 육성,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종합시범구 건설 가속화
지역 대표 제조업 자동차 산업의 첨단화에 역점
자동차 산업은 길림성의 대표산업이며, 길림성에는 1953년 설립된 제일기차(FAW, 第一汽车) 그룹을 중심으로 현재 승용차, 상용차, 자동차 부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등 산업 클러스터가 잘 형성돼 있다.
최근 중국 내 BYD 등 타지역 생산 신에너지차량의 판매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전통 내연기관차량 시장이 위축되고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어 길림성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길림성의 제조업에서 약 41.1%를 차지하는 자동차 산업은 제일기차그룹의 판매량 감소(320만 대, 5%↓) 등의 영향으로 산업 성장률이 전년 대비 1.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5년 길림성은 자동차산업을 신에너지, 자율주행, 스마트 커넥티드카 등 방향으로 고도화 전환하겠다는 전략을 수립하고, 아우디이치 신에너지차의 모델 양산 및 출시 지원, ‘25년 길림성 제조 제일기차그룹은 345만 대 판매 목표 설정, 폭스바겐, 아우디 등 브랜드의 차량 19종을 신규 출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4년 제일기차 폭스바겐의 완성차 판매량은 165만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3% 감소했으나, 홍치, 번텅 등 자체브랜드 생산량은 81만 대로 증가(14.7%↑)했고, 신에너지자동차 생산도 33만 대로 증가(41%↑)하며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제일기차그룹은 자체 브랜드 차량 및 신에너지 차량과 관련한 분야에 대한 대내외 기업과의 교류협력과 투자유치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 소비 및 대외무역 활성화
2024년 길림성 이구환신, 빙설소비 등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했으나, 이구환신 정책의 한계, 지역 격차 분화 등 요인으로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겨우 4296억 위안으로 3.5%성장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에는 소비 진작을 위한 소비재 이구환신 정책의 분야와 지원규모를 확대하고, 자동차박람회, 동북아박람회 등 전시회를 개최하여 새로운 소비 잠재력을 발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60세 이상 인구가 3억 명을 넘어가며 발생하는 실버경제와 중의약 헬스케어 양로 사업모델 등을 육성하고, 스마트 결제, 마트, 식당 등 소비 시장 내 편의성과 관련한 인프라를 보완하여 서비스와 상품 소비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2024년 길림성의 대외 무역은 약 15%를 차지하는 對러시아 교역이 지정학적인 요인 등으로 크게 감소하여 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길림성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해 향후 3년간 3000개 기업이 200건 해외 전시회, 상담회 참가에 대해 부스, 운송 및 출장 자금 지원한다는 계획이고, 이와 관련한 국제 표준의 인증 및 해외 상표 등록에도 자금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대외 개방을 위해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 건설 및 운영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는 등 적극 육성하고, 외자기업의 수입 설비에 대한 관세 면제 등 혜택을 추가하여 제조업 외자 기업의 투자유치를 위해서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확대
길림성은 의료바이오, 수소 등 신에너지, 스마트팜 등 新유망산업 클러스터 육성과 관련한 국내외 기업 유치 노력 경주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국(창춘) 국제의료건강산업박람회 등 전문 전시회를 육성하고, 첨단 의료기기 혁신센터, 동북아 미용 밸리 구축 등 의료미용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의약, 음식, 양로요양, 관광, 문화가 융합된 의료미용 산업 클러스터도 구축하기 위한 투자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또한, 길림성은 인삼의 주요 생산지역으로 인삼을 원재료로 하는 보건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2024년 길림성 인삼산업의 생산총액은 800억 위안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며, 2025년에는 1000억 위안 이상의 규모로 관련 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시사점
길림성은 2025년 중국 전체 GDP 성장 목표인 5.0%를 상회하는 5.5%를 목표로 각종 산업 육성 정책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소비 수요 진작과 투자 활성화, 산업 혁신 및 고도화, 대외무역 확대 등 분야에 대한 투자와 정책이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이와 관련한 경제 협력 및 수입 등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 진입의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는 지역을 대표하는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 고도화를 위한 신에너지, 자율주행, 스마트 커넥티드카 등 첨단 기술 보유 기업과의 대내외 협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자체 브랜드 육성과 관련한 신소재와 기술 등에 대한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소비 진작과 대외 무역 활성화 등 분야에서는 중국 내수 소비 트렌드 변화로 프리미엄급 수입 소비재에 대한 구매 수요가 증가하고, 크로스보더 전자 상거래 플랫폼 등을 통해 제품의 수입과 유통, 서비스 등 분야에서의 인프라도 확충되어 나갈 예정이다.
그리고, 고령화로 인해 급성장중인 의료 산업과 양로 등 관련 서비스 분야, 수소 등 신에너지와 관련한 유망 산업 지역 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대내외 협력 수요도 증가하며 관련 분야의 진출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 길림성 정부, KOTRA 창춘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성장 반등을 기대하는 중국 길림성 경제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닝샤회족자치구 투자환경 소개
중국 2025-04-01
-
2
새로 출범한 오스트리아 정부의 경제·인프라 정책
오스트리아 2025-04-01
-
3
EU 집행위원회, 필수 의약품의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EU 핵심의약품법 발표
벨기에 2025-04-01
-
4
과거 5년 한국 - 요르단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
요르단 2025-04-01
-
5
UAE의 관용주의 이슬람: 종교와 현대의 공존 가능성?
아랍에미리트 2025-04-01
-
6
2025년 중국 소비 촉진 정책 키워드-③디지털경제
중국 2025-04-01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