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호주 김치 시장동향
  • 상품DB
  • 호주
  • 시드니무역관 박근혜
  • 2025-08-20
  • 출처 : KOTRA

호주 주류 시장에 자리 잡은 한국의 김치

접근성 향상 및 현지 구매자들의 신뢰를 구축하는 브랜드 전략이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코드

김치기타 조제 식료품

2005.99

 

HS Code에 따른 영문 명칭은 Vegetables And Mixtures Of Vegetables Prepared Or Preserved Otherwise Than By Vinegar, Acetic Acid Or Sugar, Not Frozen으로 조제하거나 보전 처리한 그 밖의 채소, 절인 채소류를 의미한다.

 

시장동향

 

호주에서 김치에 대한 수요와 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에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이는 한류 문화의 확산,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그리고 현지 생산 확대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호주는 다민족 국가로 타 문화 음식에 매우 관대해 다양한 국적의 식음료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기존 한국 교민 및 아시아계 이민인구 사이에서 주로 판매되던 김치는 점차 호주 현지인들의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현지에서 김치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호주인들 중 일부는 집에서 직접 김치를 담가 먹고 있다. 젓갈이 들어가지 않은 담백한 베지테리안(채식주의자) 김치의 선택의 폭이 늘어나면서 비건 김치를 선호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호주의 주요 국민브랜드인 제빵 기업이 현지인들에게 김치를 활용한 색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김치의 풍미, 산미, 매콤한 맛이 현지의 안정적인 식재료로 보편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호주 대표 식품브랜드 기업이 소개하는 김치 활용 레시피>


[자료: ABBOTTS BAKERY 홈페이지]

 

호주 내 교민 인구의 증가기였던 1990~2000년대, 한인 언론, 식당, 한인 마트 등 인프라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전통 방식으로 생산된 김치가 소개됐. 그러나 한국에서 직접 수입되는 김치는 당시 높은 비용의 냉장 운반비와 김치 발효로 인한 제품 관리 문제가 대두됐. 한편, 호주에서 고랭지배추를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현지 김치 공장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의 식품 기업 CJ는 호주에서 현지 원재료를 사용해 신선한 김치를 생산하고 있다. 그동안 호주에서 수입되던 비비고 김치 외에도, 최근에는 갓 담근 김치에 대한 수요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케이 푸드(K-Food)의 인기가 상승하고, 발효 음식인 김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결과로, CJ는 신선한 재료로 만든 김치를 생산해 유통하고 있다.

 

<시드니 한인 마트 내 비비고 김치 진열 사진>


[자료: KOTRA 시드니무역관 촬영]

 

호주에서 생산되는 김치는 호주 고랭지 배추와 현지 원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호주 퀸즐랜드 주와 빅토리아 주에서 해발 450~1000m에서 생산된 고랭지 배추를 사용하며, 배추뿐만 아니라 무, 양파, 파 등도 신선한 호주산 재료로 활용해 한국 김치의 본연의 맛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현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김치가 생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배추 김치만 있던 시장에서 파김치, 무김치 등 그 종류가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HS Code 200599에 대한 호주의 수입 규모는 2024년 기준 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9%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한국은 HS Code 200599 제품에 대한 호주 수출 4위 국가로, 해당 품목 호주 수입 시장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800만 달러에 달한다. 최근 성장률에 비해 2024년 수입 규모는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현지 식품 수입업체들은 이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한편, 수요 증가에 따라 치의 브랜드와 종류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최근 중국에서 생산된 김치의 위생 문제가 대두되면서 높은 가격 차이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한국산 김치에 대한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다는 의견이 많다.

 

호주의 김치 및 보존 처리된 채소 제품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4 29.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탈리아(16.3%), 뉴질랜드(12.9%), 한국(7.8%) 그리고 태국(6.5%) 등이 잇고 있다. 해당 품목 대 호주 수출 상위 10개국은 대부분 아시아 및 유럽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된다.

 

<최근 3년 호주의 김치를 포함한 보존 처리 채소 제품(HS Code 200599) 수입 동향>

(단위: US$ ,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시장점유율

2023년 대비 2024년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86,197

81,326

103,234

100.0

100.0

100.0

26.9

1

중국

20,346

18,018

30,350

23.6

22.2

29.4

68.4

2

이탈리아

15,999

15,474

16,807

18.6

19.0

16.3

8.6

3

뉴질랜드

9,364

7,165

13,357

10.9

8.8

12.9

86.4

4

한국

5,235

5,711

7,996

6.1

7.0

7.8

40.0

5

태국

7,733

6,795

6,679

9.0

8.4

6.5

-1.7

6

르키예

5,046

4,618

5,268

5.9

5.7

5.1

14.1

7

스페인

2,751

3,505

2,758

3.2

4.3

2.7

-21.3

8

말레이시아

2,507

2,387

2,665

2.9

2.9

2.6

11.6

9

그리스

2,432

2,374

2,040

2.8

2.9

2.0

-14.1

10

폴란드

1,009

1,408

1,893

1.2

1.7

1.8

34.4

[: Global Trade Atlas(2025.7.30.)]

 

경쟁동향

 

(1) 김치제품

 

호주에서는 한국 기업인 종가와 비비고가 로컬 대형 유통망에 진출했으며, 100% 한국산 김치를 수입해 유통하는 'The Kimchi Company'가 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김치는 주로 배추김치에 국한돼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Woolworths(울월스), Coles(콜스), Harris Farms(해리스팜)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호주 로컬 대형 유통망에서 판매하고 있는 김치 브랜드>

회사명 및 제품 설명

제품사진

가격

The Kimchi Company

 

- 한국생산 김치 유통

- 오리지널/비건 배추김

AUD 7.1/330g

Jongga Kimchi Australia

 

- 한국생산 김치 유통

- ASI Trading Pty Ltd 현지 수입 유통

AUD 14.2/750g

CJ Foods Australia

 

- 현지 공장 설립

- 냉동만두, 김치 현지생산

AUD 7.0/300g

Paldo Premium Kimchi

 

- 현지 공장 설립

- 한국 전통식품 및 김치 현지생산

AUD 12.0/400g

RANDS & MARKS (Bryne Kimchi)

 

- 호주 현지기업 생산

AUD 3.5/100g

Kehoe’s Kitchen

 

- 호주 현지기업 생산

- 현지 어워드 수상

AUD 13.0/410g

Kimchi Club

 

- 현지 교민기업 생산

AUD 15.9/340g

* : AUD 1 = KRW 904(2025.8.18.)

 [자료: Woolworths, Coles]

 

<호주 아시아 교민 식품채널에서 판매하고 있는 김치 브랜드>

회사명

제품사진

가격

생산지

아워홈

AUD 5.7/400g

한국

박사김치

(호주 식품수입사

GOMAPS사 브랜드)

AUD 3.7/450g

중국 OEM

별미김치

AUD 8.0/500g

호주

시드니 한농김치

AUD 6.6/400g

호주

유정임 명인김치

AUD 3.5/100g

한국

풀무원

AUD 8.6/397g

한국

소담김치

(호주 식품수입사

Korea Food사 브랜드)

AUD 27.6/5kg

한국

수라상

AUD 28.8/5kg

중국

(프리미엄)

소셜바이오

팜스락

AUD 29.0/1kg

한국

(프리미엄)

이킴김치

AUD 45.0/3.5kg

한국

* 주: AUD 1 = KRW 904(2025.8.18.)

[자료: KOMART, Kmall09]

 

(2) 김치 응용 식품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의 출시와 김치의 맛을 응용한 소스류도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호주 로컬 카페에서는 김치 마요를 만들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메뉴를 개발하고 있으며, 김치 맛 라면, 김치찌개 키트 등 다양한 김치 관련 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김치의 맛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김치 활용 제품들은 '건강식', '비건' 등 키워드를 강조해 현지 시장에 소개되고 있으며, 김치 부침개, 김치 만두, 김치 볶음밥 냉동 제품 등 김치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호주 로컬 리테일 매장에서 접할 수 있는 김치 활용 식품>


[자료: Costco Wholesale, Woolworths]

 

유통구조

 

기존 호주에서 유통되던 김치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했으나, 현지에서 생산하는 기업들의 증가와 김치 종류의 다양화로 현지 생산 김치의 시장 점유율이 50%에 육박하고 있다. 여전히 아시아계 또는 교민 식품 채널을 통해 주로 유통되지만, 국내에서 생산된 김치가 호주 로컬 대형 리테일러의 요청에 맞춰 생산되고, 직접 수입사를 통해 대형 리테일러에 유통되는 채널도 성장하고 있다.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신선도 유지를 위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므로, 냉장 포장과 콜드체인 물류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현지의 대형 슈퍼마켓인 Coles(860개 매장), Woolworths( 980개 매장 포함 Metro) 등과 독립계 슈퍼마켓인 IGA, Foodland, Harris Farm 등에서도 김치 판매가 확대되고 있으며, 김치를 사용하는 한식 외식점과 현지 카페, 호텔 뷔페 등으로도 유통 채널이 확장되고 있다.


관세율


HS Code 200599에 대한 호주의 대 한국 수입 관세율은 0%이다. 다만, 호주로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는 기본적으로 10%의 부가가치세 (GST, Goods and Services Taxes)가 부과된다.

 

호주 수출 시 한국산 김치에 필요한 인증


<인증 분류 및 의무 여부> 

분류

인증명

의무여부

발급기관

법적기준

FSANZ (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 

식품표준 라벨링

필수

FSANZ기준준수

자체 작성

안전인증

HACCP

권장

한국 식약청

통관혜택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필수

대한상공회의소

마케팅

비건/글루텐프리/유기농/할랄

선택

민간 인증기관

(한국/호주 모두 존재)

[자료: KOTRA 시드니 무역관 작성]

 

시사점

 

호주에서 한식에 대한 친숙도와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는 더욱 견고하게 확장되고 있다. 김치는 “발효”가 곁들여진 웰빙 식품으로 인식되며, 저열량 및 장 건강에 좋은 제품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품질 신뢰도를 기반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는 아시안 식품점이나 교민 식품에서만 접할 수 있었던 다양한 김치는 이제 호주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화된 식품이 됐으며, 폭넓은 유통채널을 확보하면서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위생과 품질 문제에 민감한 호주 소비자 특성을 반영해 “한국산 정통 발효김치” 또는 “비건/유기농/무첨가” 등의 키워드로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호주 소비자의 입맛과 식문화에 맞추어 덜 매운 김치, 샐러드나 샌드위치용으로 접근이 용이한 사이즈 김치를 개발하는 등 기존 김치 외에도 다양한 라인업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Kmall09, KOMART, Coles, Woolworths, KOTRA 시드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호주 김치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