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라크 제약 시장동향
- 상품DB
- 이라크
- 바그다드무역관 조동준
- 2025-09-17
- 출처 : KOTRA
-
이라크 제약 시장, 만성질환 증가와 도시화로 성장세 지속
90% 이상 수입 의존, 주요 공급국과 경쟁 구도 분석
정부의 현지화 전략과 제도 개혁, 제약 허브로의 도약 가능성
상품명 및 HS코드
품목 설명: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혼합 또는 비혼합 제품으로 구성된 의약품(경피 투여용을 포함) 또는 소매용 형태 또는 포장으로 포장된 것(항생제, 호르몬 또는 호르몬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알칼로이드, 프로비타민, 비타민, 그 유도체, 항말라리아 활성 성분 및 맹검 임상 시험 키트를 함유한 것은 제외)
이라크 시장규모 및 동향
이라크의 제약 시장은 향후 수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13억 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5.07%로 2030년에는 16억 9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성장은 생활습관병으로 불리는 비전염성 질환(NCD)의 증가, 도시화의 가속화, 민간 의료 부문의 확장 등 구조적인 요인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만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제약 시장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의약품(OTC) 시장은 2025년에 6억226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 가운데 진통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종양학 분야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암 발생률 증가라는 수요 요인에 힘입어 2025년에만 2억434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라크 제약 시장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세부 분야로 평가된다.
지난 5년간 의약품 수입 동향
이라크 제약 산업은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의약품 수입액은 약 7억9327만 달러로, 전년 대비 6.9% 감소했다. 이는 인도와 터키 등 주요 공급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줄어든 데에 기인한다. 수입국별로는 인도가 약 1억1929만 달러로 최대 공급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등이 잇고 있다. 한국은 최근 들어 이라크 수출이 점진적으로 늘어나면서 2024년 기준 619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11.28%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입 시장에서 점차 의미 있는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의약품 수입국 및 금액 현황(HS코드 300490 기준)>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총 합계
765,375
845,014
779,631
851,915
793,275
1
인도
71,065
64,600
65,712
70,589
119,298
2
64,739
85,071
82,177
80,526
93,353
3
사우디 아라비아
43,359
44,655
57,354
58,735
78,354
4
네덜란드
26,144
19,821
15,774
36,348
69,749
5
53,929
62,687
71,144
86,471
56,839
6
프랑스
26,598
36,311
36,236
43,410
55,600
7
독일
46,448
37,181
34,068
37,671
50,496
8
영국
49,136
75,272
74,041
55,296
43,065
9
이집트
15,957
26,520
19,124
21,903
32,034
10
이탈리아
21,084
17,685
18,119
15,802
26,306
11
스페인
17,579
13,799
14,660
11,896
21,698
12
그리스
12,206
9,732
8,217
11,548
17,250
13
스웨덴
25,932
21,923
17,734
20,804
16,926
14
미국
14,525
23,783
17,877
33,744
13,832
15
키프로스
13,036
9,134
9,116
7,664
12,887
16
파키스탄
0
724
1,843
3,230
10,364
17
중국
4,941
5,670
8,704
9,024
8,872
18
우크라이나
2,727
9,567
8,098
8,286
8,618
19
스위스
23,877
38,517
7,531
6,136
6,795
20
오스트리아
7,616
2,667
2,978
2,469
6,497
21
포르투갈
3,713
5,499
3,908
4,669
6,227
22
대한민국
1,078
2,332
4,053
5,570
[자료: ITC]
경쟁 동향
이라크의 제약 시장은 크게 국영기업, 민간기업, 그리고 다국적 제약사의 현지 대리점으로 구성돼 있다. 국영 부문에서는 State Company for Drugs Industry & Medical Appliances Samarra가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민간 부문에서는 Al Safa, Pioneer, AKAI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다국적 제약사는 현지 파트너를 통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Pfizer, AstraZeneca, MSD, Roche, Novo Nordisk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이라크에서 대리점을 통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인도, 터키, 사우디 기업들이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 전반에는 가격 불안정, 위조 의약품 유통, 밀수와 같은 구조적 문제들이 여전히 있다. 특히 지역별 가격 차이는 최대 1500%에 이를 정도로 크며, 유통되는 의약품 중 약 35%는 위조품이거나 불법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통구조
이라크의 제약 유통은 국영기업이 공공 부문 조달을 담당하고, 민간 유통업체와 국제 기업의 현지 대리점이 병행 참여하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그러나 규제가 일관되지 못하고 부패가 있어 투명한 시장 운영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라크의 제약 유통구조>

[자료: KOTRA 바그다드 무역관]
관세, 인증
2019년 이라크 관세율(재무부)에 따르면, 일반 관세율(300490)은 0.5%이다. 2023년 내각 결의안 제23055호는 HS 코드(330499)에 대한 관세율을 0.5%로 확정했다. 이라크에서는 HS 코드(300490)에 해당하는 품목에 대해 별도의 인증서 및 등록 절차가 필요하다.
* 등록 절차는 이전 게시글 참조(이라크 화장의약품 수출 등록 절차 안내)
시사점
이라크 정부는 2027년까지 국내 제약 생산 비중을 현재의 약 40%에서 7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강화하고 있으며, 암 및 혈액 질환 치료를 위한 특수 공장 설립 등 제조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90%에 가까운 수입 의존도, 불투명한 규제, 지적재산권(IP) 보호 취약성, 항생제 내성, 그리고 광범위한 밀수 문제 등은 시장 참여 기업에게 큰 도전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제약 산업은 거대한 인구(4400만 명 이상)와 젊은 인구 구조(평균 연령 21세), 만성질환 증가 추세, 의료 인프라 부족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 또한 디지털 헬스 솔루션의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자 처방전과 AI 기반 공급망 관리 같은 혁신적 변화도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이라크 제약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높은 수입 의존도와 불안정성을 안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현지화 전략과 제도 개혁, 그리고 국제 협력을 통해 자립형 제약 허브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시장이라 평가된다.
자료: Statista, Iraqi news, Iraq business news, Arabian Gulf Business Insight(AGBI), (BMI)Fitch solutions, arxiv, Pharma Manufacturing, Chatham House, Shafaq News, MOH, KOTRA 바그다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라크 제약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배달로봇과 함께 변화하는 러시아 배달 서비스 시장
러시아연방 2025-09-17
-
2
2025년 카자흐스탄 식품가공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5-09-17
-
3
인플레이션에 주춤한 미국 패스트푸드, 가성비로 대응
미국 2025-09-17
-
4
오만 의약품 시장동향
오만 2025-09-15
-
5
우즈베키스탄 합성섬유 부직포 시장 동향
우즈베키스탄 2025-09-17
-
6
태양광, 튀르키예 재생에너지 분야의 떠오르는 태양
튀르키예 2025-09-17
-
1
2024년 이라크 의약산업 정보
이라크 2024-09-11
-
2
2021 이라크 전력산업 정보
이라크 2022-01-11
-
3
20121 이라크 가스 산업 정보
이라크 2022-01-10
-
4
2021 이라크 석유 산업 정보
이라크 2022-01-06
-
5
2021 이라크 산업 개관
이라크 2022-01-06
-
6
2021 이라크 농업 정보
이라크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