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알루미늄 합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5-07-23
- 출처 : KOTRA
-
Keyword #중국 알루미늄 합금 시장동향
중국 알루미늄 합금 시장현황
알루미늄의 특징
알루미늄은 자연계에서 가장 흔한 비철금속 중 하나로서 경량성, 가소성, 우수한 전기·열전도성 등의 뛰어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철강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중요 금속이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강도와 경도가 낮고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존재하므로, 산업 생산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합금 원소를 첨가해 성능이 더욱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활용된다.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을 기재(基材)로 일정량의 기타 합금화 원소(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망간 등)를 첨가해 만든 합금 소재로서 경금속 소재 중 하나이다.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의 장점을 유지한 더 우수한 물리적 기계적 성능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은 높은 강도를 가지며 우수한 주조 성능과 열전도성, 우수한 내식성과 용접성을 지닌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은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경량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철강의 대체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알루미늄 합금은 항공우주, 운송, 건설 공정, 전기 전자 및 선박 제조 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상품명
HS코드
한중FTA
RCEP
최혜국대우
VAT
알루미늄합금
7606.12
1.6%
3.6%
6%
13%
시장동향
중국 국가통계국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알루미늄 합금의 연간 생산량은 2014년 635만 톤에서 2024년 1427만 톤으로 성장했으며, 최근 5년간 생산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12.6%이다. 이처럼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등) 수요 증가, 전기차(EV) 판매 확대, 경량화 소재 수요 확대, 그리고 항공기 부품에서의 알루미늄 합금 사용 확대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알루미늄 합금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다.
<2015-2024년 중국 알루미늄합금 생산량>
(단위: 만 톤)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수입규모
2020년 이전 중국 알루미늄 합금 잉곳은 수출이 주를 이뤘으나, 2020년 이후에는 중국의 알루미늄 수입량도 조금씩 늘고 있다. 이는 중국의 폐알루미늄 수입 규제 정책으로 폐알루미늄 공급이 부족해지며 중국 국내 알루미늄 합금 가격이 해외 가격보다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2020년에 진입하면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폐알루미늄 공급이 더욱 줄어들면서 알루미늄 합금 수입이 대폭 증가했다. 한편, 2023년에는 국내 소비 부진, 국내외 가격 역전(逆轉), 위안화/달러 환율 하락 등 요인으로 수입 알루미늄 합금 잉곳 물량이 2020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해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연간 단조되지 않은 알루미늄 합금 잉곳 누적 수입량은 113.3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감소하였다. 2024년 단조되지 않은 알루미늄 합금 수입량은 총 121만 톤으로 전년 대비 7% 증가하여 급감한 2023년 대비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2022~2024년 중국 알루미늄 수입 현황(HS CODE: 7606.12)>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1
한국
675,959
31.9
555,638
-17.8
626,206
12.7
2
일본
264,669
-13.1
180,049
-32.0
147,044
-18.3
3
미국
53,267
22
58,421
9.7
86,915
48.8
4
프랑스
52,737
42.4
45,492
-13.7
74,034
62.7
5
독일
36,736
-57.4
36,674
-0.2
42,125
14.9
6
오스트리아
21,737
-8.6
13,521
-37.8
17,982
33.0
7
러시아
39,540
51.7
34,466
-12.8
11,056
-67.9
8
대만
16,836
-19.7
7,217
-57.1
8,923
23.6
9
벨기에
49,668
-9.1
34,822
-29.9
8,253
-76.3
10
영국
6,358
-6.9
4,834
-24.0
7,998
65.4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의 알루미늄합금 수입 상위 국가는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의 순서로 나타났다.
경쟁동향
중국 알루미늄 합금 시장은 대규모 알루미늄 합금 제품 생산을 진행하는 대기업 수는 상대적으로 적고, 중소기업 수가 많다. 중국 비철금속 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주조 알루미늄 합금(ADC12)을 주요 생산 제품으로 하는 기업 중 상위 5개사는 충칭순보 알루미늄합금(重庆顺博), 화진 알루미늄그룹(华劲铝业), 신거그룹(新格集团), 솽이치 신소재그룹(帅翼驰), 리중그룹 롱다 알루미늄(立中隆达)이며, 이들 상위 5대 기업의 생산 집중도는 30%에 달했다. 완타이 알루미늄(万泰铝业), 이치우 자원(怡球资源), 충칭 젠타오(重庆剑涛), 다정 알루미늄(大正铝业), 장시 바오다(江西保大)가 그 뒤를 이어 상위 10대기업의 생산 집중도는 44%를 기록하였다. 상위 10개사 누적 생산능력은 500만 톤을 상회한다.
<중국 알루미늄 대표기업 TOP10>
기업명
핵심제품
경쟁력
회사 LOGO
重庆顺博铝合金股份有限公司
(Chongqing Shunbo Aluminum)
재생 알루미늄 합금
중국 재생알루미늄 업계 선도기업, 서남지역 최대 생산·판매 기업, 연간 생산량 105만 톤
华劲铝业集团(Guangdong Hongjin New Materials Group)
알루미늄 기반 신소재, 알루미늄 용탕 직송 공급, 재생알루미늄 등급 복원
연간 생산능력 85만 톤
新格集团
(Shanghai Xinge Nonferrous Metals)
이차 알루미늄 합금, 아연합금, 폐금속
재생알루미늄 100만 톤, 아연합금 3만톤, 연간 매출 80억 위안(약 1.5조 원)
帅翼驰新材料集团(Shuai Yichi (Anhui) Machinery Equipment)
저탄소 알루미늄 합금 연구개발, 생산 및 유통
알루미늄 용탕 직송 시장 점유율 1위, 재생알루미늄 업계 점유율 Top 5
立中集团隆达铝业(Longda Aluminum)
주조 알루미늄 소재, 자동차 엔진 경량화 소재
중국 내 다수 생산기지 보유, 자동차 완성사 산업계 주력 공급업체
万泰铝业
(Wantai Aluminum Industry)
주조 알루미늄 잉곳(용탕)
연간 20만 톤 이상 생산능력 보유, 중국 최대 주조 알루미늄 잉곳·용탕 생산기업
怡球资源
(Yechiu Metal Recycling)
(总部:马来西亚)
재생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 자원 재생 분야 선도기업
重庆剑涛
(Jiantao Aluminum)
재생 알루미늄 합금
중국 알루미늄 업계 Top 100 기업, 연간 재생알루미늄 생산량 36만 톤
[자료: 각 기업 훔페이지, KOTRA 시안무역관 자체정리]
유통구조
<중국 알루미늄합금 산업체인>
[자료: 화경산업연구원]알루미늄 합금 산업 벨류체인은 아래와 같다.
다운스트림
주요 보크사이트 채굴, 산화알루미늄 생산 및 전해 알루미늄 정련을 포함하며, 알루미늄 합금 생산의 기초 원재료 생산 공정을 포괄한다. 이 과정을 통해 순도 높은 알루미늄이 생산되며, 이는 후속 알루미늄 합금 제조의 핵심 원료로 활용된다.미들스트림
알루미늄 잉곳의 합금화 및 후속 가공 처리를 포괄한다. 알루미늄 잉곳과 실리콘·마그네슘·구리·아연 등 금속 원소를 특정 비율로 용융하여 다양한 성능의 알루미늄 합금을 형성한다. 알루미늄 합금 생산 후에는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반제품 또는 완제품으로 가공되며, 이는 주조·압출·압연·단조·열처리 등 공정을 포함한다. 해당 가공 기술을 통해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경도·내식성 등 성능이 향상된다.업스트림
알루미늄 합금이 활용되는 각종 산업 분야를 포괄한다. 건축 면에서는 경량성·내식성·가공 용이성으로 창호·커튼월(幕墙)·지붕재·장식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교통 면에서는 자동차·항공·철도·선박 분야에서 차체·엔진 부품·휠·항공기 부품 등 제조를 포함한다. 전자제품 면에서는 경량화소재로 휴대폰 케이스·PC 방열판·가전 외장 등 활용한다. 포장 관련 우수한 차단성·재활용성으로 음료캔·식품 포장·의약품 용기 등 생산한다. 이외에도 산업기계·금형·조명기기 등 산업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있다.
현재 대다수 알루미늄 소재 제조기업은 수요 기업에게 직접 판매하는 직영점을 통한 판매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판매 기업들은 중국 주요 도시에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알루미늄 유통채널 분류표>
유통 채널
적용 제품
장점
단점
대표 기업/플랫폼
제조사 직영판매
대량 산업자재·고급 합금 판재
가격 경쟁력·품질 안정성·맞춤 생산
최소 주문량 높음 (≥5톤)·결제 기간 장기화
중알루미늄그룹(中铝集)난산알루미늄(南山铝业)중왕그룹(忠旺集团)
1급 대리점
일반 합금 (6063, 5052 등) 중소량 재고
지역 창고 보유·신속 배송
가격 인상 (8%~15%)·브랜드 한정
각지 금속재료 회사 (성/시급 대리점)
도매 시장
건축형재·일반 판재·폐알루미늄 거래
현금 거래·가격 비교 용이
품질 불균일·위조품 위험
상해유색금속시장(上海有色金属市场)·포산 르천강철시장(佛山乐从钢铁市场)
전자상거래 플랫폼
표준 합금 소량 구매 (<1톤)
가격 투명·온라인 거래·물류 지원
고급 합금 부재·기술 지원 미흡
알리바바 1688·알루미늄(找铝网)·톈샤진수(天下金属)
공급망 서비스 업체
중소 제조업체용 대리 구매/재고 관리
원스톱 공급·금융 결제 지원
서비스 수수료 (3%~8%)·자본력 의존
오예윈상(欧冶云商)
모베케미컬(摩贝化学)
대기업
맞춤형
영업
자동차/항공/태양광 업계 맞춤 부품
고수익·안정적 주문
인증 필수 (IATF/AS9100)·진입 장벽 높음
비야디(자동차, 比亚迪)·롱지(태양광, 隆基)
폐알루미늄 회수 채널
재생알루미늄 원료 (ADC12 등 주조 합금)
원생알루미늄 대비 20%~30% 비용 절감
성분 변동성·환경 규제 강화
거저우바환자(葛洲坝环)재생자원산업단지
[자료: ChinaIRN]
인증제도
알루미늄 합금 인증 기준 (GB/T 3190)
1. 인증 개요
GB/T 3190 《변형 알루미늄 및 합금 화학 성분》 표준은 재료의 화학 성분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기준으로, 이 인증을 통해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연신율 등 기계적 성능이 규격에 부합함을 보장한다. 해당 인증은 전통적인 '인증서' 형식이 아닌 검사 보고서 형태로 발급되며, 반드시 CNAS(중국합격평가국가인증위원회) 및 CMA(중국계량인증) 이중 인증을 취득한 검사 기관만이 공식적인 성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원자재의 품질 일관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필수 절차로 작용한다.
2. 핵심 규정
항목
세부 내용
적용 범위
200+ 합금 종류 (예: 6061, 5052, 7075 등)
성분 한계값
예시: 6061 합금 - Si ≤ 0.4% - Fe ≤ 0.7% - Cu ≤ 0.15%
위반시 영향
원료 배합 오류 → 강도·내식성·가공성 불합격
※ 중국 내 적용 필수성:
- 모든 알루미늄 압연·주조 제품은 GB/T 3190 기준 충족 시만 유통 허용
- 수출 시 현지 규격 추가 검증 필요 (예: KS D 6730, ASTM B209)
3. 인정 기관
기관 유형
대표 기관
특징
국가급 검사 센터
중국유색금속공업협회 품질검사센터 (북경)
국가유색금속품질검사검사센터 (광저우)
공신력 최상
검사 보고서 전국 통용
성급 품질검사원
각 성시 제품품질감독검사연구원
(상해·광둥·장쑤 등)
현지 서비스 신속
비용 상대적 저렴
제3자 검사실
SGS(통표)
TÜV 남독
화체검사(CTI)
포니검사(PONY)
국제 인정도 높음
수출 기업 적합
[자료: 중국유색금속산업협회]
사사점
최근 중국의 알루미늄 합금 수입에서 한국이 2024년 기준 1위 공급국으로 부상(수입액 62억 달러, 전년 대비 12.7%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중국의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및 전기차 경량화 수요 확대, 국내 폐알루미늄 공급 부족으로 인한 수입 의존도 심화가 기회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내 상위 5대 기업(충칭순보重庆顺博, 화진华劲 등)의 재생 알루미늄 생산 역량 강화와 GB/T 3190 인증 기준의 엄격한 적용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 한국 기업은 고순도·고강도 합금 분야의 기술 우위를 활용해 차별화된 제품 공급과 함께, 현지 유통 채널(직영 판매망 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협력) 다변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아울러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한 저탄소 알루미늄 합금 개발로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의 경쟁 우위를 모색할 필요도 있다.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한국무역협회, 각 기업 훔페이지, 화경산업연구원, ChinaIRN, 중국유색금속산업협회, KOTRA시안무역관 종합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알루미늄 합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시장동향
우크라이나 2025-07-23
-
2
‘쑤차오(苏超) 리그’의 선풍적 흥행으로 들여다 보는 중국 문화산업 진출 기회
중국 2025-07-23
-
3
태국 베이커리 시장동향
태국 2025-07-23
-
4
라오스 헤어케어 시장 동향
라오스 2025-07-23
-
5
스마트 농업의 진화, 미국 무토양(Soilless) 재배 시장 동향
미국 2025-07-23
-
6
쿠웨이트, 프리미엄 유아·아동용품 수요 확대
쿠웨이트 2025-07-23
-
1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2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3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4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5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6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