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에너지 산업을 기반으로 한 성장 잠재력이 돋보이는 칭하이성 경제 동향
  • 경제·무역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5-07-24
  • 출처 : KOTRA

중국 서부내륙 칭하이성 경제동향

칭하이성은 중국 서부 칭짱(青藏) 고원의 동북부에 위치해 있다. 중국 최대의 내륙 염호인 칭하이후(청해호)로 유명하며, 칭하이성이라는 명칭도 호수 이름에서 유래됐다. 칭하이성의 면적은 72.23km2, 신장(新疆)티베트(西藏)∙내몽골자치구(蒙古)에 이어 중국 성시 중 4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한다. 또한 칭하이성의 5분의 4 이상 지역이 고원지역으로 평균 해발고도가 3000m 이상이다. 칭하이성의 2023 기준 상주인구는 595 명으로 인구가 적은 편이며, 약 절반 이상의 인구가 티베트족(장족) 후이족(회족, 무슬림족) 소수민족으로 구성돼 있다.


칭하이성은 중국의 중요한 청정에너지 기지로, 염호 자원광물 자원수자원 신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 최근 년간 칭하이성은 에너지 순환 산업, 청정에너지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그동안 칭하이성은 중국 내에서 다소 낙후되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한 제2·3 산업 성장세가 돋보이는 등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지역이다.

 

<칭하이성의 위치>

[자료: 중국자연자원부]

 

경제현황

 

칭하이성은 고원과 산지 위주의 불리한 지리조건과 노동력 부족으로 산업화와 도시화가 중국 내 다른 성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디게 이루어졌다. 전체 경제 발전 수준은 상대적으로 낙후된 편으로, 2024년 칭하이성 GDP 총액은3950.8억 위안을 기록해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나, 중국 31개 성·시 중 30위로 최하위인 티베트 자치구(西藏自治)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해 칭하이성 1인당 GDP 66,568위안으로 중국 1인당 GDP70% 수준을 기록했으며, 도시 상주인구 가처분 소득은 41,191위안(전년 대비 4.4% 증가)으로 중국 평균(54,188위안)대비 약 76% 소득 규모를 보였다.

 

<2020-2024년 칭하이성 GDP 및 증가율>

[자료: 칭하이성통계국]

 

<2020-2024년 산업구조별 GDP 비중>

[자료: 칭하이성통계국]

 

산업 구조로 분석해보면 칭하이성은 최근 몇 년 관광업, 운수업 등이 부진하며 화학공업 및 신에너지 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2024년 칭하이성 1·2·3차 산업 구조 비중(%) 2021년인 10.4:40.3:49.2에서 9.1:42.1:48.8로 조정됐으며, 서비스업 비중은 최근 몇 년간 하락세를 보이다 2024년 소폭 회복됐다. 2024 1·2·3차 산업 부가가치는 각각 359.1억 위안, 1662.4억 위안, 1929.3억 위안을 기록했고,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각각 3.4%, 2.9%, 2.3%였다.

1차 산업의 비중은 낮지만 칭하이성은 중국 제4위 목축지로 "세계 야크의 수도(世界牛之都), “중국 티베트양(藏羊)의 고장"이란 별칭을 갖고 있다. 최근 칭하이성 농업과 목축업이 고도화되며 중국 최대의 유기농 축산품, 유기농 구기자 생산 기지로 성장했고, 친환경 재배 및 목축업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고 고원 산지가 85%를 차지하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경작지가 분산돼 집약적 농업생산과 산업화가 제약을 받고 있다.

*2024년 곡물 재배 면적: 458.79만 무(≈30.6 ha), 경제작물(채소·구기자·사료 등) 재배 면적: 440.51만 무(≈29.4 ha)

 

산업구조 및 대표산업

 

칭하이성은 목축업(야크 및 티베트양 방목사육) 및 농업(유채 및 쌀보리 재배)이 전통적인 경쟁우위 산업이다. 성 정부 차원의 대표적인 육성 산업은 신에너지 및 광산업이며 최근에는 바이오∙항공우주 등 고부가가치 첨단 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4년 칭하이성의 전체 공업 부가가치는 1351.5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 했다.

 

<칭하이성 주요 산업>

전통 산업

전략적 신흥산업

미래 산업

우위 산업

전해 알루미늄

납과 아연

강철

신에너지 자동차

스마트카

신에너지 발전

수소에너지

바이오제조

항공우주 (민항기)

저공경제

야크

티베트 양

유채

쌀보리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칭하이성 구역별 대표산업>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KOTRA 시안무역관 자체정리]

 

칭하이성에는 4대 산업단지가 위치하는데, 차이다무() 순환경제 시험구, 하이난저우(海南州) 녹색산업단지, 시닝(西宁) 경제기술개발구, 하이둥() 산업단지이다. 4대 산업단지 공업 총생산액은 칭하이성() 76% 이상(2023년 기준을 차지하며, GDP 연평균 성장률을 2% 포인트 이상 끌어올렸다. 또한 이 4개 산업단지에서 2024년 약 42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그 중 하이난저우 태양광 산업이 기존 농목축업 종사자 10만 명 이상을 고용하는 등 첨단산업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칭하이성 4대 산업단지>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KOTRA 시안무역관 자체정리]

 

칭하이성 주요 기업

 

칭하이()는 풍부한 청정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내 중요한 청정에너지 중점지역이다. 수력 에너지를 살펴보면, 황허() 상류가 칭하이를 관통하며, 수력 자원의 이론상 발전량은 2187kW에 달한다. 룽양샤(), 라시와(拉西瓦) 등 대형 수력발전소가 건설되어있다. 태양광 에너지도 연간 평균 일조 시간이 3000시간을 초과하며, 태양광 기술 가용 발전량은 30kW를 넘는다. 풍력 에너지 가용 발전량은 7500kW를 초과한다. 차이다무() 분지에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사막·초원·황무지(沙戈荒) 풍력 및 태양광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 또한 염호() 에는 칼륨, 리튬, 마그네슘 등 매장량이 중국 1위를 차지하며 이들 자원은 배터리 소재의 주 공급원이 된다. 이러한 우수한 자원을 기반으로  국가전력투자그룹  황허상류수력개발(投集团黄河上游水电开发), 칭하이 옌후공업주식(湖工), 국가에너지그룹  칭하이전력(家能源集团青), 칭하이 리하오반도체(豪半) 등 다양한 기업이 칭하이에 입주해있다.

 

<칭하이성 주요 기업 명단>

기업명칭

산업분야

기업규모

소재지

西部矿业

(WESTERN MINING)

광산 제련, 염호 화공, 문화·관광 사업, 건설·부동산, 금융 무역, 과학기술 정보

비철금속 및 귀금속 자원 매장량 1128 1800, 철강류 금속 매장량 2 9500만톤, 염호 자원 매장량 11 6900만톤

칭하이성 시닝시

湖工

(Qinghai Yanhu Industry)

칼륨비료 공업 생산

칼륨비료 연간 생산 능력 500만톤 (글로벌 4)

칭하이성 거얼무시(格尔木)

团黄河上游水电开发

(State Power Investment Group Upper Yellow River Hydropower Development)

발전소 개발 건설 생산 운영 관리; 실리콘 제품·태양광 발전 설비 생산 판매; 전해 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알루미늄 압출재 생산 판매

칭하이·간쑤 등지 태양광 계통연계 발전소·풍력발전단지 개발, 신에너지 발전 용량 580kW

칭하이성 시닝시

家能源集团青

(National Energy Group Qinghai Electric Power)

전력 에너지 개발·투자·건설·운영 (청정에너지 발전, 전력망·송배전, 통합 에너지 서비스, 생태보호형 에너지 개발)

발전 설비 용량 782kW
칭하이성 2 발전 기업

칭하이성 시닝시

豪半体材料有限公司

(LIHAO CLEAN ENERGY)

태양광 등급 고순도 단결정 실리콘, 전자 등급 다결정 실리콘

생산 능력 15만톤(’24)

생산액 50 위안 달성, N 실리콘 원료 수출 실현(’23)

칭하이성 시닝시

[자료: 칭하이성기업연합회]

 

시사점

 

칭하이성은 청정에너지와 광물 자원의 중심지로, 31kW 이상의 청정에너지(태양광, 풍력, 수력 등) 발전 잠재력과 전 세계 리튬 매장량의 60%를 보유한 차이더무 염호를 가지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580kW 신에너지 설비를 운영하는 국가전력투자그룹, 글로벌 4위 칼륨 비료 생산기업인 칭하이 옌후공업 등이 있다. 이처럼 칭하이성은 풍부한 에너지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과 청정에너지 및 배터리 분야 소재·장비 협력과 고순도 실리콘 수입 등의 상호 협력을 모색할 수 있다.

 


자료: 중국자연자원부, 칭하이성통계국, 중상산업연구원, 칭하이성기업연합회 등 KOTRA시안무역관 종합 취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에너지 산업을 기반으로 한 성장 잠재력이 돋보이는 칭하이성 경제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