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타이어 시장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25-07-14
- 출처 : KOTRA
-
다양한 수요 구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러시아 타이어 시장
해외 자동차 브랜드 복귀에 따른 러시아 타이어 시장 구조 변화 가능성
상품명 및 HS 코드
승용자동차용(스테이션왜건 및 경주용 자동차 포함)/4011.10
시장 규모 및 동향
'코디안트(Cordiant)' 타이어 지주사에 따르면, 2024년 러시아의 승용차 타이어 판매량은 5640만 개로 전년 대비 23% 성장했다. 해당 업체 CEO '바딤 볼로딘(Vadim Volodin)'은 2025년 시장 상황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2024년 판매량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2024년 신차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지만 2025년 상반기에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그러나 애프터 마켓이 존재하기 때문에 판매량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년 러시아 내 타이어 종류별 점유 현황>
(단위: %)
[자료: Cordiant]
2024년 러시아의 타이어 생산량은 3450만 개로 2023년 대비 20% 증가했는데, 이는 러시아 울리야놉스크에 위치한 '기슬라베드' 타이어 공장이 생산을 늘렸기 때문이다.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러시아 자국 내 생산량은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러-우 사태로 철수한 해외 제조사들의 공장들 대부분은 새로운 운영자들에 의해 재가동되고 있고, 승용차용 타이어 생산은 모든 시즌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
조사기관인 'Avtostat'에 따르면 2024년 중국산 신차는 약 90만 대가 판매되었고 출시된 차량 종류는 100여 종에 이른다. 러시아 내 중국산 차량, 특히 SUV 판매 증가로 인해 중국 타이어 브랜드 판매량도 더불어 증가했다. 또한, 가솔린 및 디젤 엔진보다 자체가 크고 무거운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가 판매가 증가했는데 이것이 대형 타이어 생산에 영향을 끼쳤다. '피렐리', '굿이어', '콘테넨탈' 등의 제조사들이 대구경 타이어(18~23인치) 생산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구경 타이어와 함께, 소·중형 타이어 또한 여전히 높은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다.
'Avtostat'이 러시아 내 3000명의 자동차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요코하마' 타이어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한국타이어'와 '금호타이어'도 선호 타이어 10위권 안에 포함됐다.
<소비자들이 구매 희망하는 타이어 브랜드>
(단위: %)
[자료: Avtostat]
수입동향
<러시아 타이어 수입 통계>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 금액
점유율
증감률(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484.99
648.92
771.10
100
100
100
18.83
1
중국
268.54
455.59
531.97
55.37
70.21
68.99
16.77
2
대한민국
72.49
90.81
133.58
14.95
13.99
17.32
47.09
3
리투아니아
4.99
26.08
21.98
1.03
4.02
2.85
-15.74
4
카자흐스탄
0.70
4.12
21.46
0.14
0.64
2.78
420.41
5
일본
29.04
19.50
18.36
5.99
3.00
2.38
-5.84
6
인도네시아
1.18
9.05
13.79
0.24
1.39
1.79
52.33
7
태국
4.41
12.22
8.64
0.91
1.88
1.12
-29.31
8
필리핀
1.79
4.32
5.25
0.37
0.67
0.68
21.63
9
루마니아
7.62
3.49
4.75
1.57
0.54
0.62
36.35
10
이탈리아
6.01
3.21
4.23
1.24
0.49
0.55
31.86
[자료: GTA]
중국산 자동차 판매 증가에 힘입어 중국산 타이어는 최근 3년간 수입 점유율 50%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2024년 점유율은 약 70%에 달했으며 수출액은 5억 3200만 달러에 달했다. 한국 역시 최근 몇 년 간 2위 자리를 확고히 지켜왔으며 2024년에 수입량이 약 3% 증가했다. 카자흐스탄 같은 경우 2024년 '사란' 지역에 Tengri Tyres 공장이 가동되면서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
그러나 2025년 1분기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대러 타이어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8.5% 감소하였는데, 'Behind the Wheel' 잡지 편집장 '막심 카다코프'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 내 공장 가동률 증가와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한 타이어 시장이 주 원인이다. 현재 타이어 수요 대비 공급량이 훨씬 많아 굳이 수입을 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고 구매자들은 신제품을 생산하는 러시아 브랜드를 더욱 선호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러시아 타이어 타입별 수입 현황>
(단위: 천 개, %)
[자료: Kommersant]
대러 수출 동향
한국의 대 러시아 타이어 수출은 최근 5년 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대러 수출 통계>
(단위: US$ 백만, %)
수출국
수입액
증감률
(23/22)
2019
2020
2021
2022
2023
러시아 연방
2.73
1.7
1.51
2.75
7.56
174.91
[자료: Globusved]
유통 구조
러시아 내 유통 구조는 아래 형태와 같다.
이러한 다단계 유통 방식으로 인해 소비자들 구매하는 최종 가격은 높게 책정되며 특히, 수입산 타이어는 물류비용으로 인해 최종 가격이 높아지고 있다. CRPT에 따르면 2024년 승용차 타이어의 평균 가격은 12% 증가했고 스터드가 있는 겨울용 타이어 단일 품목으로 봤을 때 그 가격은 평균 12.2% 증가했다.
수입인증 및 관세
HS코드
품목
관세
부가세
401110
승용자동차용(스테이션왜건 및 경주용 자동차 포함)
10 %
20%
[자료: www.tks.ru]
해당 품목에 대한 우대 정책은 시행되고 있지 않다. ‘타이어를 사용하는 차량 안전에 관한 기술 규정(CU 018/2011)'에 따라 '의무 인증'과 '국가등록증명(SGR)'이 필요하다. 기술 규정 인증을 받으려면 제조업체에서 '적합성 인증서'를 통해 타이어 품질과 안정성을 확인해야 하며 '국가등록증명서' 취득이 선행 되어야 한다. 해당 증명서는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가입 국가에서도 유효하며 해당 제품이 생산되는 한 별도의 유효기간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2020년 11월부터 타이어가 러시아의 상품 라벨링 제도인 ‘체스늬 즈낙(Честный ЗНАК)’ 의무 표시 품목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관련 포탈에 제품이 등록되고 모든 제품에 관련 내용들이 표기되어야 한다.
시사점
앞서 언급했듯이 러시아 타이어 시장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주요 경쟁사인 중국산 타이어 제조사들의 향후 수입 동향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편이다. 일부는 지속적인 중국차 판매로 인해 점유율이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러시아 내 생산량 증가로 중국산 타이어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의 러시아 시장 복귀 가능성도 러시아 타이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러시아 차량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여러 세그먼트의 다양한 차량 모델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애프터 마켓을 고려하면 러시아 타이어 시장은 한국 업체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의 대구경 타이어 판매량 증가와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는 소·중구경 타이어로 인해 러시아 시장은 수요 구조 변화에 적응할 것으로 보이며, 결국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기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globusved, kommersant, TKS, Avtostat 등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타이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
아제르바이잔 2025-07-14
-
2
중국 핵심광물 재활용 시장동향
중국 2025-07-14
-
3
러시아 열 교환기 시장동향
러시아연방 2025-07-14
-
4
2025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스리랑카 비료 수입 시장
스리랑카 2025-07-14
-
5
방글라데시 CCTV 카메라 시장동향
방글라데시 2025-07-14
-
6
루마니아 음료 시장 동향
루마니아 2025-07-14
-
1
2025년 러시아 조선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5-08-11
-
2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3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4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5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6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