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UAE 면도기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혜수
- 2025-08-04
- 출처 : KOTRA
-
UAE 면도기 시장, 프리미엄 vs 가성비 전략, UAE 소비자 공략의 열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망 확보와 규제 준수를 기반으로 점진적 확대 권장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품목명
821210
면도기
시장동향
UAE 면도기 시장은 최근 수년간 안정적 성장세를 보였으며 이러한 확장 기조는 2028년까지 유지될 전망이다. 특히 여성용 면도기 부문의 약진이 두드러지는데, 시장조사기관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UAE의 여성용 일회용 면도기 시장 규모는 560만 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5.40% 성장했다. 코로나19로 성장률이 주춤했던 2020년(전년 대비 +1.58%)을 제외하면 비교적 견조한 성장흐름을 보였다.
남성용 면도기를 포함한 전체 면도기 시장도 연간 수천만 달러 규모(수입 기준 가치)로 추정되며, 중기적으로 완만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시장 데이터 및 산업 통계 전문 플랫인 Index Box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35년까지 중동 지역 전체의 면도기 시장 규모는 연 1.8% 수준으로 성장해 2035년 약 4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즉, UAE 면도기 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어 고성장 국면은 지났으나, 향후 수년간 연간 2~4% 내외의 완만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Index Box에 따르면, 2024년 기준 UAE의 면도기(비전기식) 수입 물량은 약 9300만 개로, 이는 중동 지역에서 튀르키예(1억 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인구 대비로 환산하면 국민 1인당 연간 약 8개의 면도기를 소비하는 셈으로, 이스라엘(17개)과 사우디아라비아(11개)에 이어 중동에서 3번째로 높은 1인당 소비량에 해당한다.
2024년 중동 소비량은 전년보다 2.5% 감소하며 2년간 이어진 증가세가 일단락됐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남성 수염 패션의 유행으로 면도 빈도가 줄어든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 결과 2024년 중동 면도기 시장 규모(판매액 기준)도 전년보다 약 2.9% 감소한 36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됐다. 다만 UAE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며, 향후 서서히 증가 추세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UAE 인구 증가 및 해외 노동인구 유입 등이 절대적인 수요 풀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이라크 등 일부 중동 국가를 제외하면, 중동 지역의 2017년 이후 면도기 수입량은 감소세였지만 수입액은 오히려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 고품질·고가 제품으로 교체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되며, UAE에서도 저가형 면도기보다는 품질이 좋은 면도기를 선호하는 움직임이 판매량보다는 판매액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판매량 지표는 다소 정체돼 보일 수 있으나,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매출 규모 성장은 유지되는 질적 성장이 진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수입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UAE 면도기(HS 코드821210) 시장은 약 6261만 달러 규모이며, 2023년 약 6286만 달러였던 데 비해 소폭 감소했다. 2024년 국가별 수입 현황 중 1위는 1596만 달러를 기록한 폴란드로, UAE 전체 수입액의 25.5%를 차지했다.
뒤이어 중국에서의 수입이 약 1039만 달러(약 16.6%), 베트남에서의 수입이 778만 달러(약 12.4%)를 기록했다. 이집트의 경우 2023년까지는 수입 규모가 크지 않았으나, 최근 큰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299.0% 증가했다.
한국 면도기 전문기업 도루코(DORCO)의 제품도 UAE로 활발히 수출되고 있지만, 대부분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돼 UAE로 수출되기 때문에 수입 통계상 ‘베트남산’으로 분류된다. 도루코(DORCO)의 베트남 하이퐁 공장은 글로벌 수출 전진기지로 운영되며, 중동 수출도 이 공장에서 이뤄진다.
<UAE 국가별 3개년 면도기(HS 821210)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022
2023
2024
23/24
전체
64,689
62,868
62,606
-0.42
1
폴란드
23,431
22,242
15,963
-28.23
2
중국
11,707
10,444
10,388
-0.54
3
베트남
8,606
8,218
7,783
-5.29
4
싱가포르
4,127
4,965
6,101
22.88
5
인도
6,126
3,545
5,737
61.83
6
이집트
1,629
1,221
4,872
299.02
7
튀르키예
4,438
4,779
4,863
1.76
8
벨기에
3
1,571
1,777
13.11
9
미국
447
1,148
1,025
-10.71
10
일본
792
554
977
76.3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
UAE의 수입 상위 5개국은 질레트(Gillette), 도루코(DORCO), 빅(BIC) 등의 글로벌 면도기 생산 거점이 위치한 곳으로, 예컨대 질레트는 인도에 대규모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도루코(DORCO)는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둔 점이 UAE의 수입원 구성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폴란드는 질레트(Gillette) 유럽 생산의 핵심기지이며, 중국은 쉬크(Schick) 일부 제품과 다양한 저가 면도기의 공급원이다. 이처럼 UAE의 면도기 수입은 글로벌 제조 허브에 집중되어 있으며, 베트남·싱가포르·인도 등 아시아 생산국의 비중이 높다.
UAE는 자국 소비를 충당하기 위해 대부분의 면도기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편, UAE에서 수입된 면도기 중 상당량은 주변국으로 다시 수출(재판매)되는 등 역내 재수출 허브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무역 허브 특성 때문에 UAE 수입 통계에는 국내 소비용과 재수출용 물량이 함께 포함돼 다소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경쟁 동향
UAE 면도기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지만 상위 소수 기업이 주도하는 구조다. 시장 조사기관 6W Research에 따르면, 수동 면도기 부문에서는 질레트(Gillette, 브랜드 소유주 P&G)가 시장을 이끌고 있다. 오랜 기간 형성된 브랜드 충성도와 광범위한 제품군으로 인해 질레트는 UAE 수동 면도기 판매의 과반 수준 점유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한다. 질레트(Gillette)는 정기적으로 신제품 출시와 적극적인 판촉 활동을 펼쳐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 다른 상위권 업체인 쉬크(Schick)는 여성용 면도기 등 틈새시장에서 성과를 거두며, 제품 디자인 혁신과 유통채널 확대를 통해 점유율을 지속 상승시켜 현재 중동 시장의 상당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면도기 전문기업인 도루코(DORCO) 또한 2024년 UAE 면도기 브랜드 시장점유율 상위권에 기록됐으며, 고품질 다중날(멀티블레이드) 면도기와 합리적 가격을 무기로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최근에는 도루코(DORCO) 중동 공식 인스타그램이 ‘셰이빙 투 퍼펙션(Shaving to Perfection)’ 캠페인을 전개하며 “This isn’t just any razor Habibi*. This is Korean excellent. Shave like a king!(하비비, 이건 단순한 면도기가 아니야. 대한민국 명품이지. 왕처럼 면도하라!)” 같은 현지 맞춤형 슬로건으로 소비자 공감을 유도하고 있다.
*중동 지역에서 서로를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
<도루코(DORCO) 중동 현지화 슬로건>
[자료: 도루코(DORCO) 미들이스트 공식 인스타그램]
또한 빅(BIC)은 일회용 저가 시장의 강자로서 질레트(Gillette)와 쉬크(Schick)가 다 담아내지 못하는 가격 민감형 소비자를 흡수해 중동 일회용 면도기 시장의 중요한 플레이어가 되고 있다.
전기 면도기는 상대적으로 경쟁사 다양성이 높지만, 매출액 기준으로 필립스(Philips)와 브라운(Braun)이 양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필립스와 브라운은 상시 신제품 시리즈 출시와 광고 캠페인(예: 축구 스타를 모델로 기용) 등을 통해 경쟁하고 있으며, 그 사이를 파나소닉과 바빌리스 등이 파고드는 형국이다.
신규 진입자들은 주로 온라인 채널에서 승부하며, 품질만 좋다면 브랜드를 덜 신경쓰고 가성비를 따지는 면도기 소비자 특성상 입소문 마케팅으로 성공하는 사례도 나올 수 있다. 예컨대 한 신생 브랜드가 SNS상에서 “면도가 잘 되면서도 반값”이라는 입소문을 탄다면 일정 수요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경계해 대형사들도 기존 제품 가격 인하 또는 보급형 신제품을 내놓는 대응을 보일 수 있다.
<UAE 주요 면도기 브랜드 및 제품>
(단위: AED)
기업명
주요 제품
가격
질레트
(Gillette)
Mach3+ Razor and Cartridges 2 Blades
24.79
쉬크
(Schick)
Quattro Titanium 4 Blades Razor Blue 3 Blades
19.99
도루코
(DORCO)
Dorco Pace 3 Razor Handle with 12 Cartridges
17.79
빅
(BIC)
Bic Hybrid Flex 3 Cartridges for Men 4 Blades
16.29
* 주: AED 1 = USD 0.27
[자료: 카르푸(carrefour) 공식 홈페이지]
유통구조
글로벌 브랜드들이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직접 진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외국 제조업체는 현지 유통사와의 계약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UAE의 면도기 및 쉐이빙 제품 유통은 여전히 오프라인 소매채널이 주도적이지만, 온라인 판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주요 유통 채널은 다음과 같다.
1. 대형마트 및 슈퍼마켓
까르푸(Carrefour), 루루(Lulu), 유니온쿱(Union Coop)과 같은 하이퍼마켓/슈퍼마켓 체인이 면도기 판매의 중심 채널이다. 이들 매장은 남성 그루밍 코너에 면도기, 면도날, 쉐이빙 젤 등을 폭넓게 구비하고 있으며, 패키지 할인판매나 1+1 행사 등 프로모션을 수시로 진행한다. 많은 소비자들이 장보는 김에 면도날을 함께 구입하는 패턴이 일반적이어서, 대형마트가 전체 매출의 상당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약국/드럭스토어(예: Boots, Watsons)도 중요한 채널인데, 고급 카트리지 면도날이나 면도 크림, 전기트리머 등이 약국에서 판매된다. 약국은 프리미엄 제품을 찾는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유통망으로, 면도기 제조사들도 신제품을 약국에 입점시키는 전략을 활용한다.
2. 편의점 및 기타 소형 매장
동네 그로서리나 주유소 내 편의점에서도 일회용 면도기 및 간단한 쉐이빙 용품을 판매한다. 이러한 소매점들은 즉흥적 구매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저가형 면도기를 주로 취급한다.
3. 온라인 (전자상거래)
이커머스는 UAE 면도기 시장에서 아직 비중은 작지만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채널이다. 아마존(Amazon.ae), 눈(Noon.com) 등의 종합 온라인몰에서 다양한 면도기를 판매하며, 종종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가격이나 번들 딜을 제공한다. 특히 면도날 리필의 경우 온라인 정기구독이나 세트 할인판매가 인기다. 남성 그루밍 전문 사이트나 패션/뷰티 온라인몰(Namshi 등)에서도 면도기나 트리머를 취급해 채널이 다변화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면도기 관세율은 5%다. 인증의 경우, 전자 면도기(충전식, 전기식 면도기)는 연방 차원의 산업첨단기술부(MOIAT) 적합성 인증인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 규제 품목인 바, 수입통관과 유통을 위한 ECAS 필수 인증 대상이다. ECAS는 UAE 내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제도다.
적용 표준 상세 내용은 UAE 산업·첨단기술부 웹사이트(https://moiat.gov.ae/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단 메뉴 E-Services → Standards Services → Selling Standards 항목의 Start Service → 열람을 희망하는 적용 표준의 번호 검색 → 해당 표준의 원문(아랍어) 또는 영문 버전 구입
시사점
우리 기업이 UAE 면도기 시장에 진출하려면 철저한 현지화와 차별화 전략이 필수다. 특히 여성용 면도기는 성장 가능성이 높아 남성용과 여성용 모두를 겨냥한 제품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 남성용 면도기의 경우에는 성능 중심, 여성용은 자극 최소화, 디자인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특성이 있어 각기 다른 니즈에 대응해야 한다. 질레트(Gillette) 등 기존 강자가 장악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기술 혁신형(예: 6중날, 유연 헤드) 또는 가성비 전략이 유효하며, 가격 책정 시 현지 유통가와 비교해 ‘저렴하지만 품질 좋은’ 인상을 주는 게 중요하다.
이와 함께 한-GCC CEPA를 활용한 관세 절감도 경쟁력으로 삼을 수 있으며,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유통망과 오프라인 입점을 확보해야 한다. 마케팅에선 다양한 국적을 고려한 모델 기용과 문화적 감수성이 필수인데, 특히 여성용 제품의 경우 과도한 노출 없이 효용성을 부각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SNS를 활용한 그루밍 팁, 사용 후기 콘텐츠는 젊은 소비자층 공략에 적합하며, K-뷰티 감성을 접목한 한류 마케팅도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채널도 중요하다. 초기에 아마존(Amazon) 등 마켓플레이스와 자사몰 중심의 D2C 판매로 저비용 시장 테스트와 소비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면도날 정기배송 같은 구독모델로 *락인(Lock-in Effect)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또한 UAE를 교두보 삼아 사우디, 이란, 이라크 등 인접시장으로 확장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제품 주기 관리와 피드백 반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장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락인 효과: 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생긴 학습 비용, 전환 비용, 데이터 이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소비자가 다른 대체재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
자료: Euromonitor, 관세법령정보포털, Global Trade Atlas, Market Research, Index Box, Carrefour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UAE 면도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벨기에, 에너지 전환 가속...해상풍력‧원자력‧그린 분자 및 수소 중심
벨기에 2025-08-07
-
2
체코 피부 미용기기 시장동향
체코 2025-08-04
-
3
물 안보를 위해 해수담수화에 진심인 알제리
알제리 2025-08-04
-
4
2025년 루마니아 디지털헬스 산업 정보
루마니아 2025-08-04
-
5
이집트의 전력시장 현대화, 전력 기자재 수요 주목
이집트 2025-08-04
-
6
러시아 면도날 시장 동향
러시아연방 2025-08-01
-
1
2024 UAE 우주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10-28
-
2
2024년 UAE 방산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9-25
-
3
2024년 UAE 건설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4
2024년 UAE 전력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5
2024년 UAE 청정에너지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4-29
-
6
2021년 UAE 건설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2-01-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