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건설 기계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진웅
  • 2025-06-25
  • 출처 : KOTRA

도시화·인프라 투자 확대가 이끄는 건설 기계 수요 증가

중국산 점유율 확대...한국 기업은 A/S, 부품 수급 등 질적 차별화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명(및 해설)

8429

품명: 자주식(自走式) 불도저(bulldozer)ㆍ앵글도저(angledozer)ㆍ그레이더(grader)ㆍ레벨러(leveller)ㆍ스크레이퍼(scraper)ㆍ메커니컬셔블(mechanical shovel)ㆍ엑스커베이터(excavator)ㆍ셔블로더(shovel loader)ㆍ탬핑머신(tamping machine)ㆍ로드롤러(road roller)

842952

360도 회전의 상부구조를 가진 기계

 

시장동향

 

시장 조사기관 Research and Markets에 따르면, 트남의 신규 건설 기계 시장은 2023년 기준 6127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연평균 4.35%의 성장률을 바탕으로 2029년까7909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 유형별로는 토공기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특히 굴착기의 수요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장 성장의 배경에는 도시화의 지속, 건설산업 회복, 인프라 투자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우선, 베트남의 도시화율은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과 도시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전국 도시화율은 44.3%에 달하며, 정부는 2025년까지 45%, 2030년까지는 50%를 넘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인프라 확충과 주택 건설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건설 기계 수요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건설산업은 2021년 이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10.63%에 머물렀던 건설산업 성장률은 20228.17%로 반등하였으며, 이후에도 2024년까지 7%를 상회하는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러한 회복세는 각종 인프라 및 민간 건설 프로젝트의 재개를 촉진하고 있으며, 건설 기계 도입 수요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산업 회복 흐름에 발맞춰, 베트남 국회는 2024270억 달러였던 공공투자 예산을 올해 360억 달러로 확대했으며, 이는 도로, 공항, 철도 등 인프라 분야에 중점적으로 집행될 예정이다. 특히 남북고속도로, 롱탄(Long Thành) 국제공항, 도시철도망 확충, 하노이호찌민 고속철도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의 기계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2019~2024년 베트남 건설산업 성장률>

(단위: %)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GSO)]


이와 함께, 중고 건설 기계의 수요 및 활용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Tochi Trading and Construction Investment사의 도(Do) 매니저는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건설 기계는 초기 투자 비용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중소규모 시공업체가 신품 구매보다는 중고 기계 도입이나 임대 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점차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베트남에서 운용 중인 건설 기계의 상당수는 해외에서 수입된 중고 기계로 구성되어 있다. HD현대건설기계 베트남지사(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Vietnam)의 부이 쑤언 롱(Bui Xuan Long) 영업이사에 따르면, 매년 기종 전반에 걸쳐 약 2만 대의 중고 건설 기계가 수입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는 30~40년 이상 사용된 기계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같은 중고 기계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국내 건설 기계 임대시장에서도 중고 기계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특히 유휴 기계를 보유한 건설사가 단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많으며, 임대 기간은 수일에서 수개월까지 다양하게 설정되는 등 유연한 운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는 건설 프로젝트의 일정과 예산에 따라 탄력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해, 향후에도 중고 기계 중심의 임대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상반기 주요 건설 기계 임대 가격표>

기계명

제조국/제조연도

임대료

월 임대료 (USD/, 유류비 제외)

시간당 임대료 (USD/시간, 유류비 포함)

Komatsu PC03-1

일본/1991

826.73

11.45

Kobelco SK200-1

일본/1991

1,521.34

14.41

Doosan 140

한국/2001

1,441.27

20.02

Hyundai 1300WM

한국/2002

1,401.23

14.41

Komatsu PC200-8

일본/2014

1,801.59

22.02

*: 미화 1달러 = 베트남 동 24,978(25.5.30., 베트남 중앙은행 고시 기준)

[자료: 베트남 건설부 건설경제연구원]

 

베트남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HS 코드 842952에 해당하는 품목의 수입액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약 23872만 달러로 정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 말부터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시작되면서 2023년 수입액은 약 15925만 달러로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2023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일본(50.46%), 한국(21.43%), 중국(20.82%)으로, 이 세 국가가 전체 수입 시장의 92.71%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산 기계의 수입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로, 한국과의 점유율 격차를 지속적으로 줄이고 있다.

 

<베트남의 HS 코드 842952 수입 동향>

(단위: US$ , %)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총수입액

102,463

95,915

149,752

238,723

159,247

한국 베트남 수입액

42,767

38,465

50,507

57,635

34,131

한국베트남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률

23.92

-10.06

31.31

14.11

-40.78

총수입액 중 한국 비중

41.74

40.10

33.73

24.14

21.43

[자료: ITC Trade Map]

 

<주요 수입국 현황(HS 코드 842952 기준)>

(단위: US$ , %)

순위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점유율

전체

102,463

95,915

149,752

238,723

159,247

1

일본

42,756

44,968

58,512

101,087

80,360

50.46

2

한국

42,767

38,465

50,507

57,635

34,131

21.43

3

중국

5,171

2,333

13,965

52,210

33,153

20.82

4

인도네시아

1,489

1,278

8,264

3,417

4,752

2.98

5

태국

2,574

5,171

11,950

18,079

4,715

2.96

6

네덜란드

1,974

1,410

1,111

1,409

518

0.33

7

미국

1,111

592

3,187

2,339

501

0.31

8

영국

1,428

992

866

940

310

0.19

9

튀르키예

-

-

181

362

254

0.16

10

말레이시아

-

3

-

314

225

0.14

 

기타

3,193

703

1,209

931

328

0.21

[자료: ITC Trade Map]


경쟁동향

 

베트남의 건설 기계 산업은 기계 및 기술 전반에 걸쳐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로는 Komatsu(일본), Kobelco(일본), Hyundai(한국), Caterpillar(미국), Develon(한국, 두산) 등이 있으며, 이들은 폭넓은 제품군을 통해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의 다양한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정품 부품 공급과 체계적인 A/S를 통해 브랜드 신뢰성과 시장 내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Tochi Trading and Construction Investment의 인터뷰에서 도(Do) 매니저는, 건설 기계 구매 시 가격 외에도 유지보수의 용이성, 부품 수급 가능성 등 운용 효율성과 관련된 요소들이 주요한 구매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운용 효율성과 서비스 체계가 베트남 건설 기계 시장에서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베트남 시장 내 크롤러 굴착기>

(단위: kg, m³)

기업명

제품명

제품 사진

운전 중량

버킷 용량

Komatsu

PC70-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2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8pixel, 세로 409pixel

6,590

0.3~0.37

Komatsu

PC130F-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2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3pixel, 세로 345pixel

13,975

0.45~0.55

Kobelco

SK130-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fc192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4pixel, 세로 292pixel

13,200*

0.5~0.57

Hyundai

HX520L T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2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1pixel, 세로 409pixel

52,055

2.1~3.5

Hyundai

HX500L T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2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4pixel, 세로 392pixel

49,900

2.2~3.0

Caterpillar

323 G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f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9pixel, 세로 649pixel

21,100~21,700

1.19~1.2

Develon(두산)

DX360 LCA 7M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24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2pixel, 세로 220pixel

37,600

1.25

*: 슈폭(shoe width) 700mm 기준 운전 중량

[자료: Hoa An Phat, 각 사 홈페이지,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한편, 최근 몇 년간 XCMG, SANY, Liugong 등 중국 브랜드의 입지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가격 민감도가 높은 베트남 건설시장에서 비교적 저렴한 중국산 기계가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재정 여력이 부족한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는 중국산 산업용 기계에 대한 선호가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유통구조

 

Komatsu, Hyundai, Kobelco 등 주요 건설 기계 브랜드들은 특정 유통업체에만 독점적으로 기계 수입 및 유통 권한을 부여하는 단독 유통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중국 제조업체를 포함한 기타 브랜드들은 공식 대리점 유통 모델을 선택해, 베트남 전역에 복수의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신규 건설 기계 시장은 브랜드별 유통 전략에 따라 유통 구조가 뚜렷하게 차별화되고 있는 반면, 중고 건설 기계 시장은 현지 및 외국계 무역업체들이 기계의 수입, 조달, 재판매를 중심으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베트남 중고 건설 기계 시장 내 대표적인 무역업체로는 한국 기업인 RCE가 있으며, 이 회사는 한국·일본·중국산 중고 기계 거래를 중개하는 전문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RCEHD현대건설기계와 협약을 맺고 베트남 시장에서 중고 건설 기계를 홍보하는 한편, BIDV-SuMi TRUST, Chailease 등 금융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기계를 담보로 한 금융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관세율 및 수입통관절차

 

HS 코드 842952에 해당하는 건설 기계는 베트남에서 MFN 및 다양한 FTA를 통해 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일반 수입관세는 5%이지만, 이는 MFN FTA 미체결국에만 해당한다. 베트남은 한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와 MFN FTA 체결국 관계를 맺고 있어, 대부분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건설 기계는 실질적으로 무관세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베트남의 HS 코드 품목 관세율표>

(단위: %)

HS 코드

품목명

일반 수입관세

MFN

AKFTA

VKFTA

RCEP

8429

자주식(自走式) 불도저(bulldozer)ㆍ앵글도저(angledozer)ㆍ그레이더(grader)ㆍ레벨러(leveller)ㆍ스크레이퍼(scraper)ㆍ메커니컬셔블(mechanical shovel)ㆍ엑스커베이터(excavator)ㆍ셔블로더(shovel loader)ㆍ탬핑머신(tamping machine)ㆍ로드롤러(road roller)

842952

360도 회전의 상부구조를 가진 기계

5

0

0

0

0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인증 정보

 

QCVN 13:2024/BGTVT는 건설 기계의 안전 및 환경 보호에 관한 의무 기술기준으로, HS 코드 842952에 해당하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이 기준은 신품과 중고 기계 모두를 대상으로 하며, 기계 운행 시 준수해야 할 안전 요건과 환경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해당 기준은 건설 기계의 사용 연한에 대한 제한은 명시하고 있지 않아, 기계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연식과 관계없이 운행이 가능하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은 도시화와 인프라 개발 확대에 따라 건설 기계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프로젝트(남북고속도로, 롱탄 신공항 등)의 본격화로 수입·임대 시장도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중소형 시공업체가 많은 구조상, 신품보다 중고 기계에 대한 수요가 높고, 초기 비용 절감을 위한 임대 수요도 확산 중이다.

 

한국 기업은 중고 기계 수출과 함께 부품 공급, 유지보수, 기술지원 등 통합 서비스 모델을 통해 시장 진출장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현지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리스, 할부 등 맞춤형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면 중소업체 대상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중국산 기계가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나, 내구성 부족, 기술지원 미흡, 부품 수급 어려움 등 품질에 대한 우려도 여전해, 한국산 기계는 기술 신뢰성, 연비, A/S 등 품질 기반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 기업은 제품 판매를 넘어 운용 및 사후관리 전반을 아우르는 전략과 함께, 유통, 금융, 인증 등 현지 협업 체계 구축을 통해 시장 대응력을 높여야 하며, 정책 변화와 수요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시장 진출 정보를 얻기 위해 한국의 건설 기계 기업이 참가할 수 있는 전시회는 아래와 같다.

 

<Contech Vietnam 정보>

Contech Vietnam 국제 건설·광업·교통산업 전시회

주최기관

Hanoi Advertising & International Fair Joint Stock Company (HADIFA)

개최 시기

매년 4

2025년 개최 장소

National Exhibition Construction Center

1 Do Duc Duc Street, Nam Tu Liem District, Hanoi

2025년 전시 규모

15개국 200개사 참가

공식 홈페이지

https://contechvietnam.com/

[자료: Contech Vietnam 홈페이지]

 

 

자료: ITC Trade Map, Research and Markets, 베트남 건설부, 관세총국, 산업지원센터, 통계총국, 각 사 홈페이지, 현지 언론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건설 기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