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플라자 개최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충칭무역관
  • 2025-06-23
  • 출처 : KOTRA

한국 의료기업 13개 사와 충칭 바이어 약 26개 사 등 총 80여 명 참석

연구개발, 스마트‧원격의료,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모색

2025528일 주청두대한민국총영사관과 KOTRA 충칭무역관이 주최한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플라자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오전 포럼과 11 비즈니스 상담을 통해 의료기기, 치과 제품, 건강관리 서비스, 의료미용, 기능성 화장품 등 한중 기업 관계자 8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한중 의료보건 분야 교류 협력의 기회를 찾고 방향을 모색했다.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 플라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69pixel, 세로 759pixel

[자료: KOTRA 충칭무역관]

 

<행사 개요>

행사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 플라자

일 시

2025528() 09:00~18:00

장 소

충칭 메리어트호텔 2층 궈루이 연회장

주 최

주청두대한민국총영사관, KOTRA

협 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국지사, 충칭시헬스케어산업협회

후 원

충칭시 상무위원회, 충칭시 외사판공실

규 모

한국기업 13개사, 충칭기업 26개사 등 총 80여명

분 야

의료기기, 스마트 의료, 의료 미용, 기능성 화장품, 재활의료기기 등 의료바이오 산업 전반

내 용

포럼, 1:1 상담회 등을 통한 한-중 기업 간 네트워킹 및 비즈니스 협력 방안 모색

[자료: KOTRA 충칭무역]

 

포럼을 통해 한국-충칭 의료바이오 산업 동향 공유

 

오전에 개최된 포럼은 한국과 충칭의 의료바이오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제안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충칭시헬스케어산업협회 등 전문 기관의 담당자가 각각 주제 발표를 통해 업계 최신 정보와 시장 기회를 깊이 있게 분석했다.

 

<포럼 현장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64pixel, 세로 711pixel

[자료: KOTRA 충칭무역관]

 

주청두대한민국총영사관 엄원재 총영사는 축사를 통해 충칭은 의료자원이 풍부하고 중국 내 의료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지역으로 한국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중국은 의료바이오 분야에서 협력이 더욱 활발해지는 추세이고 협력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며, 행사를 통해 양국 기업이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 양국 의료바이오 협력을 더욱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충칭시 상무위원회 예리나(叶力娜) 부주임은 축사에서 충칭시 경제 현황에 대해 먼저 언급했다. 2024년 충칭시 GDP5.7% 증가해 32000억 위안에 달했으며, 1인당 GDP10만 위안을 돌파했다. 대외 교역액은 7000억 위안을 넘어서는 등 개방이 확대되고 경제가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추세다예 부주임은 한국이 충칭의 중요한 경제 및 무역 협력 파트너라고 밝혔다. 두 지역은 제조업 분야에서 좋은 협력 기반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플라자의 개최를 양 지역의 전통적 협력 기반을 토대로 새로운 교류 플랫폼을 연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은 의약 연구개발, 기술혁신, 시장 홍보 등 분야에서 선진적 경험과 기술을 보유하며, 충칭은 방대한 시장 수요와 풍부한 산업 자원 및 좋은 정책 환경을 보유한다. 양측이 각자의 장점을 발휘해 의료바이오 산업의 발전에 동력을 불어 넣고 두 지역의 산업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주청두대한민국총영사관 및 충칭시 상무위원회 축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7pixel, 세로 81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608pixel

[자료: KOTRA 충칭무역관 직접 촬영]

 

바이오의약,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등 분야 협력 기회 많아

 

축사에 이어 본격적인 주제 발표가 있었다. 먼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국지사 백승수 지사장은 "한국의 헬스케어 산업은 전염병, 고령화 등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헬스케어 분야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면서 예방 중심의 정밀 의료로 전환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국은 바이오의약,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등 분야를 아우르며 기술, 생산, 서비스에서 강점을 가진다. 한국의 고령화 문제는 의료 자원에 부담을 주지만, 동시에 의료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헬스케어 산업에서 중국과 한국의 협력 방향은 큰 잠재력을 가진다. 바이오의약 분야에서는 신약 R&D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R&D 자원과 기술성과를 공유할 수 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기술협력을 강화해 생산과 유통의 효율적 연계를 달성할 수 있다.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병원 운영 협력, 인재 교류 프로그램, 컨설팅 서비스 등으로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 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충칭시 헬스케어산업협회 량푸룽(梁福荣) 회장은 충칭이 중국 중서부 유일의 직할시로서 강력한 경제력과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어 보건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충칭시 정부는 바이오제약, 의료기기, 의료서비스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발표했으며, 2025년까지 산업 규모를 2300억 위안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량 회장은 과학기술 혁신, 디지털 전환, 산업 통합 및 지역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한국과 중국이 상호보완적인 새로운 상생의 장을 만들어 헬스케어 산업의 번영을 공동으로 촉진할 것을 촉구했다.

 

<포럼 주제 발표 현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69pixel, 세로 97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608pixel

[자료: KOTRA 충칭무역관 직접 촬영]

 

상담회에서 기업 간 비즈니스 협력 논의, 현장 MOU도 체결

 

포럼 종료 후 한중 기업 비즈니스 상담회가 개최됐다. 의료바이오 분야의 우수한 한국기업 대표들이 의료기기, 치과장비, 건강관리 솔루션, 의료미용, 기능성 화장품 등 제품과 기술을 가지고 참가했으며, 충칭에서도 충칭의약(重庆医药), 충칭화방제약(重庆华邦制药), 충칭신퉁췌성형외과(重庆新铜雀整形外科医院) 등 충칭을 대표하는 의료바이오 분야 기업들이 참가했다. 상담을 통해 양측은 제품 에이전트 판매, 구매 협력, 기술도입 및 이전, 공동 연구개발 등의 주제로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협의를 진행했다. 협력 의향이 높은 상담도 다수 진행돼 향후 심도 있는 후속 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1:1 상담회 현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2pixel, 세로 47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2.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4pixel, 세로 45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3.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4pixel, 세로 51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4.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5pixel, 세로 494pixel

[자료:KOTRA 충칭무역관 직접 촬영]


현장에서 한국 참가기업 N 사와 충칭 Y 사는 2시간 동안의 상담을 진행한 끝에 한국 측이 중국 측에 기술 제공 형태로 중국 내 건강관리 프로젝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MOU를 체결했다. Y 사 양대표는 KOTRA 충칭무역관과의 면담에서 "우리 회사는 건강관리 분야에 주력하는 과학기술 혁신 기업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건강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헬스클럽에서 운동하는 것 외에도 홈 피트니스가 큰 추세가 됐다"라, "한국기업의 우수한 건강관리 솔루션과 중국 OEM 제품의 결합은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거대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협력 가능성이 있다"라고 언급했다.

 

실버 시장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중국기업 D 사는 한국 F 사가 개발한 스마트 대소변 처리기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 D사의 룽 대표는 우리 기업은 주로 노인 전용 목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사업 아이디어는 나의 연로한 아버지를 돌봐야겠다는 개인적인 필요성에서 시작됐다. 요즘 중국 사회의 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며,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바쁜 생활 속에서 부모님을 제대로 돌볼 여유가 부족하다. 이와 같은 사회적 배경에서 F 사의 스마트 대소변 처리기는 많은 고령자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실용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두 기업 간 첫 미팅 이후 현재 샘플에 대한 구체적인 품질 및 기능 면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추후 병원 환자와 간호사들의 실제 사용 소감을 바탕으로 협력을 추가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행사 현장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0pixel, 세로 608pixel

[자료: KOTRA 충칭무역관 직접 촬영]

  

의료바이오 협력 방향 및 시사점

 

충칭시 보건 산업 발전을 위한 '145개년 계획(2021~2025)'에 따르면 2025년까지 충칭시 대건강(헬스케어) 산업의 부가가치는 2300억 위안을 돌파하고, GDP7% 규모를 차지할 전망이다. 특히 바이오제약 산업의 생산량은 13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바이오제약 산업 클러스터와 여러 특성화 산업단지를 건설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3년 충칭시 헬스케어 산업은 양호한 발전을 보였으며, 충칭시 헬스케어 산업 매출은 약 7900억 위안, 부가가치는 2000억 위안을 넘어서 지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6.7%에 달했다. 이렇듯 충칭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이번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플라자'에서도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양국 기업 간의 협력 논의가 뜨거웠다.

 

한중 의료바이오 협력은 크게 3가지 분야에서 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바이오제약 및 의료기기 연구개발과 제조 협력 분야다. 한국은 바이오의약품, 의료 재료, 체외 진단 등 분야와 디지털 치과 장비, 암 진단 장비, 지능형 재활 장비 등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 선도국이다. 충칭은 넓은 시장과 풍부한 임상 자원, 탄탄한 산업 지원 기반을 갖췄다. 상호보완성을 활용해 연구개발 협력 및 중국 내 제조를 통한 시장진출 등을 모색할 수 있다.

 

스마트 의료 및 원격 진단치료 분야도 협력이 유망하다. 한중 스마트 의료 협력은 단순한 기술 도입에서 공동 혁신으로 발전하는 추세다. 예를 들어 충칭의 한 종합병원은 20255, 한국의 스마트 의료 기업과 협업해 '국제 원격 진단 및 치료 센터'를 개소했다. 이 센터는 여러 자원을 상호 연결해 원격 상담, 학술 교류 및 기타 활동을 수행하며 충칭의 의료 기술 수준을 향상시켰다. 양측의 기술 및 산업적 장점을 결합해 중국 시장에 적합한 스마트 의료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 것이며, 이는 다양한 의료 서비스 디지털화 협력의 참고 사례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리 제품 및 서비스 분야다. 한국의 기술적 우위와 충칭의 생태 자원이 결합해 새로운 고급 의료 상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국은 기능성 식품화장품 분야에서 큰 협력 잠재력을 가진다. 충칭의 풍부한 약초 자원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과 협력해 건강 제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제품의 기술 콘텐츠와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한국기업의 건강관리 플랫폼과 운영 경험을 활용해 충칭 의료기관과 협력해 전 생애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향후 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충칭시정부, 연사 발표자료, KOTRA 충칭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한중 의료바이오 미래협력플라자 개최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