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김지화
- 2025-05-21
- 출처 : KOTRA
-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농축산업 발전 및 다각화
국내 생산성 향상과 글로벌 수출 경쟁력 확보에 중점
이스라엘의 농축산업은 건조한 지리적 환경과 기후적 제약 속에서도 첨단 기술을 통해 발전해 왔다. 국토의 북부 지역인 골란고원, 갈릴리, 이스르엘(Jezreel Valley) 계곡 등의 비옥한 농경지와 적절한 강수량을 바탕으로 농업이 활성화돼 있다. 해안 평야 지대 또한 온화한 기후로 농업 활동에 유리하다. 그러나 국토의 65%를 차지하는 네게브 사막은 연 강수량이 200mm 이하에 불과한 반건조 지역으로 농업에 매우 불리해 이 지역에 대한 농업용지로의 활용은 정부의 도전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참고로, 이스라엘은 우리나라 국토 면적의 약 22%에 해당되며, 경상북도보다 약 16% 더 넓은 크기다.
이스라엘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와 아열대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에는 고온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고, 겨울철(11월~3월)에 강수량이 집중돼 있다. 이러한 자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스라엘은 혁신적인 수자원 관리 기술을 개발했다. 생활폐수를 100%에 가깝게 재활용해 농업용수로 활용하고 있으며, 담수화 기술과 스마트 관개 시스템을 적용해 농업용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농업용 기상 정보 시스템(AgriMeteo)은 최적의 물 사용과 기상 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 생산 면에서도 이스라엘은 다양한 작물 재배와 축산업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 2023년 기준으로 과일(감귤 제외)은 전체 농업 생산의 약 23.4%를 차지했으며, 가금류 23.2%, 소·양·염소 19.7%, 야채·감자·멜론 15.6% 등으로 집계됐다. 이스라엘의 농경지는 국토의 약 21.9%를 차지하며, 경작지가 17.5%, 과수원이 4.3%를 차지한다. 이는 이스라엘이 주로 점적 관개, 온실 농업, 가축 및 작물의 유전적 개량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한 덕분이다. 이스라엘은 건조한 기후와 제한된 토지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의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고부가가치 작물과 기술을 수출한다.
<2023년 이스라엘 농축 산업 분야별 생산 비중>
(단위: %)
[자료: 이스라엘 통계청, ‘25.4월]
이스라엘 농업부가 발표한 2023년 농업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농업 부문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총 농업 생산액은 약 377억 신 셰켈(약 102억 달러)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이는 농산물 가격이 전체적으로 8.5%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특히 작물 가격은 10.0%, 축산물 가격은 6.7% 상승했다. 농산물 수출액은 48억 신 셰켈(약 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2% 증가했다. 농업 순생산액은 155억 신 셰켈(약 42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3% 증가했으며, 농가 소득은 93억 신 셰켈(약 25억 달러)로 53.9%나 증가했다.
현재 이스라엘의 농업 부문은 전체 노동력의 약 1% 만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노동력 부족과 외국인 노동자 의존도가 높은 현실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첨단 농업 기술(Agritech)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농업 혁신 국가로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첨단기술 개발 노력이 결실을 맺어 기후적 한계를 넘어선 성공적인 농업 혁신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산업특성
1. 정책 및 규제
이스라엘의 농업 정책은 지속적인 혁신과 기술 도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정부는 농업 장비와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특히 농업용 소프트웨어, 스마트 관개 시스템, 혁신적인 수확 장비와 같은 기술에 대해 구매 가격의 최대 40%를 보조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금 정책은 농가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첨단기술의 보급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정부는 민간 및 학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농업 기술의 연구와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이 협력은 새로운 농업 기술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며, 국내 농업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1) R&D와 혁신: 이스라엘 정부는 농업 연구 및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해 전 세계적으로 수출되는 정밀 농업, 스마트 센서, AI 기반 농장 관리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을 창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2021년에는 약 2조 달러를 농업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 배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투자는 주로 농업연구기구(ARO, Volcani Institute)와 히브리대학교 농업대학 등의 주요 R&D 기관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2) 환경 농업 촉진: 농업부 지원 4000만 신 셰켈(약 1081만 달러), 환경 보호부 투자 약 4000만 신 셰켈로, 2022~2023년 이스라엘 정부는 총 8300만 신 셰켈(약 2262만 달러)을 투자했다. 환경 친화적 농업 관행을 구현하기 위해 폐기물 및 농업 부산물의 처리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를 위한 타깃 프로그램, 폐기물의 순환적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 장려, 환경 농업을 촉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지역 모델 구축이 포함된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해충 관리 방법과 유기 농업 이니셔티브를 구현하고 있다.
3) 친환경 에너지 전환: 농업농촌개발부와 에너지부가 협력해 과수원, 농장, 온실재배 시설에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생산비용 절감과 토지의 효율적 사용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4) 수자원 관리 효율화: 물 부족 국가인 이스라엘은 'AgriMeteo' 웹사이트를 통해 농민들에게 구체적인 날씨 정보와 관수 지침을 제공해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을 돕고 있다.
5) 특정 지역 농가 지원 및 국가 지원 농부 대출: 지역 간 균형 발전과 국경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이스라엘 정부는 특정 지역 농가에 대한 지원 정책도 실시하고 있다. 그 예로 "변두리 지역"으로 지정된 북부 국경 인근 지역 농가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농업부는 이스라엘 중소기업청(ISMEA) 산하, 최대 10년 동안 최대 75만 신 셰켈(약 20만 달러)까지 대출이 가능한 특별 국가 지원 농부 대출 제도를 2019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6) 기술 도입 및 재해 보험 지원: 이스라엘 농업부는 농부들이 기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농업부는 오이와 토마토 같은 이스라엘 샐러드의 주요 재료를 재배하는 농민들이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온실을 업그레이드하고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농업 생산을 가능하게 해 이스라엘 국민들에게 지속적인 식량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농업부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6000만 신 셰켈(약 1621만 달러) 규모의 기술 업그레이드 지원금을 편성했다. 또한, 농업부는 농민들이 자연재해, 불가항력, 질병 및 해충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전례 없는 규모의 보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농업부는 2억4700만 신 셰켈(약 6680만 달러)의 지원금을 편성해 농민들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7) 이-하마스 사태 관련 지원: 이스라엘 정부는 이-하마스 분쟁의 여파로 인해 농업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자지구 접경 지역 농업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접경 지역 0~4km 구간에서는 겨울철 밀 파종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농업 및 농촌 개발부는 전국적으로 사일리지(silage) 및 건초 생산을 위한 밀 파종과 수확 지원 예산으로 약 900만 신 세켈(약 243만 달러)을 배정했다. 이 예산은 농업 생산 기반을 유지하고 축산업의 사료 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농업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근로자 및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재정적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2. 주요 이슈
1) 농업 개혁: 농업 개혁은 높기로 잘 알려진 이스라엘의 생활비를 낮추고 국내 농업을 촉진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고 2022년 7월 발효됐다. 개혁의 주요 요점은 과일과 채소의 수입을 완화하고, 관세를 철폐*하고, 엄격한 수입 규정을 변경 및 완화하는 데에 있다.
*농업 개혁으로 즉시 철폐된 관세 과일 및 채소: 마늘 정향, 마늘, 완두콩, 콩, 파울 콩,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버섯 및 트러플, 무화과, 파인애플, 아보카도, 구아바, 파파야, 모과, 라즈베리, 블루베리, 건포도, 크랜베리, 두리안, 리치, 모과, 망고, 망고스틴, 금귤, 라임, 골든베리, 이 외 비료와 살충제
2) 식량 안보 국가 계획 수립: 최근 몇 년 동안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사태, 그리고 지속적인 지정학적 갈등이 이스라엘의 식량 공급망에 영향을 미쳤다. 이스라엘은 주요 농산물 수입 상대국이 몇몇 국가에 집중돼 있다는 것은 위기 상황 시 국가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식량 공급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음을 체감하고 인식하게 됐다. 농업부에 따르면, 이스라엘에 공급되는 총 칼로리의 약 60%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나머지 40%는 국내에서 생산된다. 특히, 신선 식품 대부분은 국내에서 생산되지만, 이스라엘은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 도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농업부는 국가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2050년까지 목표를 설정하고, 2030년과 2040년 중간 목표 달성 계획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농업부는 국가안보부, 보건부, 경제산업성, 환경보호부, 주택건설부, 복지부 등 여러 부처와 협력해 이 계획을 추진해, 혁신적인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방법을 통해 지역 생산을 늘리고, 미래의 식량 안보를 확보하려는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
3) 아랍 지역사회의 농업 및 농업 인프라 강화: 농업 및 식량 안보부는 2024년, 전국 아랍 마을의 농업 및 농업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1000만 신 셰켈(약 270만 달러)의 투자금을 편성했다. 이는 아랍 사회와 일반 국민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이스라엘 정부 결의의 일환으로 아랍 사회에 농업 관련 투자 보조금과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농업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2026년까지 아랍 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촉진하기 위한 다년 계획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번영과 사회 통합을 촉진하고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이-하마스 사태로 인한 이스라엘 농업 분야 피해: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의 장기화와 전선 확대는 이스라엘 농업 부문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현재 이스라엘의 농업 부문 중 약 90%가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북부와 남부 지역의 피해가 두드러진다. 이들 지역은 주요 과일, 채소 생산지 및 낙농가가 밀집한 곳으로, 생산 감소와 공급 차질이 심각한 상황이다. 주요 피해 요인으로는 인력 부족, 생산 및 수입 감소, 국경 지역 접근 제한, 농업 인프라 손실 등이 꼽힌다. 특히 예비군 동원과 외국인 노동자의 귀국으로 인해 노동력 부족이 심화됐으며, 이는 필수 농산물의 공급난과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또한, 부족한 농산물을 보충하기 위한 수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4년 5월, 터키가 이스라엘과의 무역을 보이콧하면서 신선 야채를 포함한 주요 농산물의 기존 수입 경로가 차단됐고, 이에 따라 이스라엘 정부는 새로운 교역 상대국을 찾기 위해 긴급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이스라엘 농업은 외국인 및 팔레스타인 노동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21년 크네셋(이스라엘 의회) 연구에 따르면, 당시 농업 부문 종사자 중 49%가 이스라엘인이었으며, 32%는 외국인(대부분 태국인), 19%는 팔레스타인인이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노동력 부족은 이-하마스 사태로 인해 더욱 심화됐고, 이는 이스라엘 농업 부문의 회복에 큰 도전 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3. 최신 기술 동향
이스라엘은 농업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첨단 혁신을 활용해 물 부족, 노동력 부족, 기후 변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1) 종자 개량: 이스라엘의 종자 개량 기술은 농업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이스라엘의 주요 농업 연구 기관들과 민간 기업들은 다양한 기후 조건에 적응하고, 병충해에 높은 저항력을 가진 품종 육성, 수확량 증대와 품질 향상을 위한 유전적 개량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토마토 종자는 유럽 토마토 재배의 40%를 차지할 만큼 세계적으로 종자 개량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2) 관개 시스템으로 물과 토양 관리: 이스라엘은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세계적인 관개 기술을 개발해왔다. IoT 센서와 AI를 활용한 점적 관개와 스마트 관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작물과 토양 상태를 분석해 정확하게 물을 공급하며, 물 사용 효율은 95~100%에 달한다. 전체 폐수의 약 90%를 정화해 농업용수로 재활용하고, 이는 조경에도 활용된다. 또한, 펌프장, 저수지, 운하,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된 국가 수로망을 통해 북부에서 남부로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기술은 농업뿐 아니라 도시 조경에도 폭넓게 적용되며, 이스라엘은 이를 전 세계에 수출하며 글로벌 물 관리 모범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3) 수직 농업: 수직 농업은 모듈식 수직 농업 시스템으로, 제어된 환경에서 공간 사용을 극대화하고 외부 기후 조건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지속 가능한 도시 농업을 촉진시킬 수 있다.
4) 스마트 낙농 기술: 이스라엘의 스마트 낙농 기술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이스라엘 낙농장에서는 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소의 발정 주기, 체중, 우유 성분 등을 정밀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유 생산량과 품질을 최적화하고 있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 운영하는 "축군 기록부(herd book)"라는 데이터베이스는 각 소의 이력과 생산성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효율적인 축산 관리와 인공 수정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첨단 기술과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통해 이스라엘은 소 한 마리당 우유 생산량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했으며, 영양학적으로 향상된 우유 제품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스라엘의 낙농 기술은 전 세계 1만5000개 이상의 농장에서 채택돼 사용되고 있으며, 글로벌 낙농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5) AI, 로봇 통합 작물 관리 기술과 농업용 태양광 발전(A²PV): AI와 로봇 통합 작물 관리 기술은 AI 기반 시스템을 사용해 작물에 대한 위협을 조기 감지한다. 또한 에너지 생산과 농업을 결합한 이중 용도 시스템 기술은 태양열 자율 로봇과 통합돼 재생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자동화를 통해 노동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물 수확량을 개선함에 따라 효율적인 작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6) 드론과 빅데이터: 정밀 살포, 매핑 및 작물 모니터링을 위해 드론을 사용하는 농업 기술이다. 이러한 드론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해 농부가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고 실시간으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스라엘 주요 농업기술 기업>
기업
기술 분야
웹사이트
N-Drip
기존 홍수 관개 인프라를 활용해 효율적인 점적 관개를 제공하는 중력 미세 관개 시스템
https://ndrip.com/
Viridix
시비 관개(fertigation)에서 중요한 표준인 식물 뿌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분 잠재력을 측정하는 토양 수분 센서
https://www.viridix.com/
BetterSeeds
CRISPR를 개선하는 유전자 편집 기술과 작물을 기후 변화에 회복력 있게 만드는 새로운 유전학
https://betterseeds.com/
afimilk
집약적 낙농장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모듈형 시스템
https://www.afimilk.com/
Farm Manager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로 농업 활동 관리 웹 기반
소프트 웨어https://app.manager.farm/
Fermata
인공 지능과 기성형 디지털 카메라 기술을 결합한 컴퓨터 비전 솔루션
https://www.fermata.tech/
BioBee
천적 곤충을 활용한 병충해 방제 솔루션
https://www.biobee.com/
Evogene
계산 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생물학적 작물 보호 솔루션
https://evogene.com/
SupPlant
성장 기반 관개 시스템을 바탕으로 실시간 최적의 관개 솔루션 제공
https://supplant.me/
Phytech
현장 관개 모니터링 및 제어를 결합한 세계 최초의 원스톱 디지털 농업 플랫폼
https://www.phytech.com/
* 이스라엘 농업 부문 정보 사이트, IsraelAgri(Israeli Agriculture International Portal): https://israelagri.com/
[자료: KOTRA 텔아비브무역관 종합, ‘25년 4월]
4. 산업 수급 현황
2023년 이스라엘 농축산업의 생산 규모는 전년 대비 8.5% 증가한 약 102억 달러(376억 신 셰켈)로 집계됐다. 작물과 축산 생산액은 전년 대비 각 10.0%, 6.7% 증가했다. 농업생산 총투자 규모는 약 59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이스라엘 농축 산업 생산 수급 현황>
(단위: US$ 백만,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2/2023
증감률
농축산업 총생산액(output)
8,780
9,407
10,183
8.5
작물생산
5,037
5,194
5,592
10.0
밭작물
496
620
616
3.1
채소, 감자, 멜론
1,563
1,493
1,589
10.1
감귤류
357
393
455
13.5
과일류(감귤류 제외)
2,161
2,227
2,385
14.0
꽃과 정원식물
142
167
203
-
기타
294
294
344
-
축산생산
3,743
4,213
4,591
6.7
가금류
1,831
2,134
2,362
4.9
소
1,338
1,516
1,668
10.1
양, 염소
328
362
340
3.0
생선
96
96
111
4.4
기타
107
105
109
-
농축업생산 총투입액(input)
5,991
6,060
5,991
-1.13
[자료: 이스라엘 통계청, ’25년 4월]
5. 수출입 동향
2022년 이스라엘 통계청 식량 수지표(food balance sheet)의 12개 농축산식품 품목 기준, 전년 대비 수입은 2.4%, 수출 3.1%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주요 수입 품목은 밀, 쌀, 시리얼류, 설탕 품목이며, 과일과 같은 토지 집약적 작물과 생선 등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편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감귤류와 감귤류 외 과일들이며, 관상용 꽃 또한 이스라엘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 알려져 있다.
<2022년 주요 농축산식품 품목별 수출입 및 국내생산 동향>
(단위: 톤)
품목
수입
수출
국내 생산
밀, 쌀, 시리얼류 등
2,358,475
47,357
216,131
감자 및 전분
109,526
165,748
540,300
설탕, 설탕가공품, 꿀
452,746
121,961
8,860
콩류
53,563
150
21,585
기름용 곡물 및 견과류
109,591
8,707
25,925
채소 및 멜론류
243,785
148,611
1,187,119
감귤류 과일
339,683
165,097
540,384
감귤류 외 과일
225,415
234,692
1,092,745
육류
122,858
17,608
595,855
식란
7,710
0
147,073
생선
88,753
2,916
88,753
우유 및 유제품
132,229
48,572
1,695,189
기름 및 지방류
220,051
3,836
47,104
[자료: 이스라엘 통계청, ‘25년 4월]
2024년 HS Code 01~20 기준, 이스라엘의 농축산물 수출 규모는 23억4853만 달러로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17.73%), 프랑스(14.53%), 네덜란드(12.38%), 러시아(6.85%) 순이며, 수출 상위 10개 국의 비중이 약 77.5%를 차지하고 있다. 對한국 수출 규모는 약 3995만 달러로 1.7%를 차지하며 이스라엘의 14위 수출 상대국이다.
<2022년~2024년 이스라엘 농축산 제품 주요 수출 상대국>
(단위:US$ 백만, %)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수출 비중
1
미국
365
402
416
17.73
2
프랑스
246
321
341
14.53
3
네덜란드
274
294
291
12.38
4
러시아
233
188
161
6.85
5
영국
119
147
164
6.96
6
슬로베니아
56
99
132
5.64
7
일본
59
90
95
4.03
8
스페인
67
83
84
3.60
9
독일
62
64
71
3.03
10
이탈리아
55
64
64
2.74
*HS Code 01~20 기준
[자료: GTA, ’25년 5월]
2024년 이스라엘 농축산물 수입 규모는 76억8945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스라엘의 주요 수입 상대국은 러시아(6.84%), 브라질(6.59%), 아르헨티나(5.96%), 아르헨티나(5.96%), 우크라이나(5.19%), 미국(4.88%) 순이며, 수입 상위 10개국의 비중이 51.2%를 차지한다. 對한국 수입 규모는 약 876만 달러로 0.11%의 매우 미미한 비중을 나타내며 64위를 기록했다.
<2022년~2024년 이스라엘 농축산 제품 주요 수입 상대국>
(단위:US$ 백만, %)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수입 비중
1
러시아
400
670
497
6.84
2
브라질
714
377
419
6.59
3
아르헨티나
472
416
476
5.96
4
우크라이나
356
378
454
5.19
5
미국
444
354
321
4.88
6
이탈리아
330
370
393
4.77
7
폴란드
395
359
337
4.76
8
중국
322
272
395
4.32
9
터키
353
359
215
4.05
10
네덜란드
277
277
329
3.86
*HS Code 01~20 기준
[자료: GTA, ’25년 5월]
6. 對한국 농축산품 교역 동향
HS Code 01~20 농축산물 기준, 이스라엘은 한국과의 교역에서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對한국 주요 수입 품목은 곡물, 밀가루, 전분 또는 우유 조제품, 채소, 과일, 견과류 또는 식물의 다른 부분의 조제품 등이다. 2024년 이스라엘의 對한국 수출은 전년 대비 약 27.5% 증가했으나 증가 폭은 감소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야채, 과일, 견과류 또는 기타 식물의 조제품, 식용 과일 및 견과류, 감귤류 또는 멜론 껍질, 시리얼, 밀가루, 전분 또는 우유 조제품 등이다.
<2022~2024년 對한국 수출입 동향>
(단위: US$ 천)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
6,599
5,555
8,766
수출
17,720
26,725
34,068
[자료: GTA, ‘25년 4월]
진출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첨단 농업 기술 발달
-효율적 물 관리
-연구 개발과 교육 인프라
-수출 지향적
-제한된 경작지
-물 부족
-높은 생산 비용
-식량 자급자족의 한계
-노동력 부족
Opportunities
Threats
-농업 기술 수출 확대
-지속 가능한 농업
-스마트 농업 솔루션 개발
-대체 식품 및 가공 산업
-국제 협력 강화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
-지정학적 리스크
-국제 경쟁 심화
-수자원 고갈
-수출 규제와 무역 장벽
유망 분야
이스라엘 농축산업의 유망 분야는 혁신 기술과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농업, 대체 단백질, 물 관리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요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큰 핵심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드론, 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및 정밀 농업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를 통해 농작물 관리, 수확량 예측, 병해충 방제 등 농업 생산성 향상과 효율적 자원 활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담수화, 폐수 재활용, 점적 관개 등 혁신적인 물 관리 기술을 개발해 물 부족 국가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다.
대체 단백질 및 식품 기술 분야에서는 식물성 단백질, 배양육, 곤충 단백질, 발효 기반 식품 등 지속 가능한 식품 생산 솔루션으로 이스라엘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도시화와 농지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 및 수경재배, 수직 농업 등도 성장하고 있다. 폐쇄된 환경에서 최소한의 물과 토지로 고효율 생산이 가능한 이 분야는 미래 도시 농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축산 분야에서는 가축 건강 모니터링, 유전자 개량, 사료 효율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환경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농업용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유전자 편집, 병충해 저항성 작물 개발, 품종 개량 등으로 기후 변화에 강한 작물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은 아보카도, 석류, 대추야자 등 고부가가치 농산물의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 대한 수출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유망 분야들은 이스라엘 농축산업이 글로벌 식량안보와 지속 가능한 미래 농업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스라엘은 내수시장이 협소해 기업 설립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따라서 현지의 우수한 농업·농축산 기업과 기술 협력, 공동 연구개발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농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동시에 제3국 시장까지 진출하는 전략이 유망해 보인다. 이스라엘 농축산업으로의 진출은 현지 혁신 생태계와의 협력, 글로벌 기준 충족, 정부·기관 지원 활용, 그리고 전시회 등 네트워킹 플랫폼의 적극적 활용이 핵심적이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은 이스라엘의 기술력과 시너지를 창출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자료: 이스라엘 농업부, 이스라엘 경제 산업부, 유엔 식량 농업 기구, 이스라엘 통계청, GTA, IsraelAgri, 현지 언론 종합 및 KOTRA 텔아비브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3년 이스라엘 방위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3-07-06
-
2
2021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09-08
-
3
Anuga 식품전시회로 보는 중국의 스낵 마케팅 전략
중국 2025-05-21
-
4
인도 컴프레서 시장동향
인도 2025-05-20
-
5
‘저당’은 선택 아닌 필수, 변화하는 중국 식품 트렌드
중국 2025-05-21
-
6
일본 도요타 우븐시티, 모빌리티에서 도시까지... 기술로 직조한 공존의 미래
일본 2025-05-21
-
1
2024년 이스라엘 산업 개관
이스라엘 2024-03-07
-
2
2023년 이스라엘 방위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3-07-06
-
3
2021년 이스라엘 e-Commerce 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12-29
-
4
2021년 이스라엘 IT 산업
이스라엘 2021-12-28
-
5
2021년 이스라엘 의약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11-19
-
6
2021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