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중국 산둥성 경제 및 2025년 전망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05-03
  • 출처 : KOTRA

2024년 산둥성 GDP 규모 중국 내 3위, 경제성장률 5.7%로 중국 전체 경제성장률 상회

산둥성 정부, ‘대외무역 10대 행동계획’ 및 ‘경제 안정성장 34대 정책 리스트’ 마련해 안정적인 경제성장 도모

주요 경제지표로 본 2024년 산둥성 경제

 

2024년 산둥성의 GDP 규모는 9조8566억 위안으로 광둥성, 장쑤성에 이어 중국 내 세 번째로 크며, 전년 대비 5.7% 성장해 중국 전체 경제성장률인 5.0%를 상회한다. 또한 최근 5년(’20~24년) 산둥성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5.4%로 동기간 전 중국 평균 경제성장률인 4.7%보다 높은 편이다.

 

2024년 산둥성의 생산·소비·투자·무역이 모두 고르게 확대되어 안정적인 경제성장률을 이끌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차·2차·3차산업 모두 부가가치가 증가했으며, ▲소비가 2022년 -1.4% 대비 5%로 회복됐으며, ▲고정자산 투자 3.3% 증가, ▲무역수지가 전년 대비 13.2% 확대됐다.

 

<2024년 중국 지역별 GDP 규모>

순위

지역명

GDP(억 위안)

증가율(%)

1

광둥성

141,634.8

3.5

2

장쑤성

137,008.0

5.8

3

산둥성

98,566.0

5.7

4

저장성

90,100.0

5.5

5

쓰촨성

64,697.0

5.7

6

허난성

63,589.9

5.1

7

후베이성

60,012.9

5.8

8

푸젠성

57,761.0

5.5

9

상하이

53,926.7

5.0

10

후난

53,230.9

4.8

[자료: 각성별통계국, 칭다오무역관 정리]

 

<2020~2024년 산둥성 주요 경제지표>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GDP(억 위안)

72,798

82,875

87,577

92,069

98,566

경제성장률(%)

3.6

8.3

3.9

6.0

5.7

소비(%)

-18.2

15.3

-1.4

8.7

5.0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

3.6

6.0

5.4

6.2

3.3

교역액(US$억)

3,207

4,528

5,031

4,708

4,743

수출

규모(US$억)

1,902

2,737

3,098

2,842

2,923

증가율(%)

17.8

43.9

13.2

-8.3

2.9

수입

규모(US$억)

1,305

1,791

1,933

1,866

1,820

증가율(%)

-1.6

37.2

7.9

-3.5

-2.5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산둥성통계국, KITA, 칭다오무역관 정리]

 

2024년 산둥성 GDP를 산업별로 구분하면, 농·어업 등 1차산업의 부가가치는 6,61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으며, 제조, 건설 등 2차산업은 3조9,609억 위안으로 6.6% 성장했다. 도소매, 금융 등 3차산업은 5조2,340억 위안으로 5.4% 증가했으며, 산업별 GDP 비중은 각각 6.7%, 40.2%, 53.1%를 차지한다.

중국 전체 산업별 GDP 비중은 1차산업 6.8%, 2차산업 36.5%, 3차산업 56.7%로, 산둥성은 2차산업의 비중(40.2%)이 중국 전체에서 2차산업이 차지하는 비중(36.5%)보다 큰 편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둥성은 제조업 생산, 인프라 건설 등 방면에서 경제성장의 단단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2020~2024년 산둥성 GDP 산업별 비중>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산둥성통계국, 즈옌컨설팅(智研咨询)]

 

2024산둥성 대외교역 동향

 

2024년 산둥성 대외교역 규모는 4,743억 달러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다. 수출액은 2,923억 달러로 2.9% 성장했으며, 수입액은 1,820억 달러로 2.5% 감소해 무역 흑자가 더욱 확대됐다.

주요 교역국가는 미국, 말레이시아, 한국, 러시아, 일본, 브라질 등 순이며, 교역품목은 석유와 역청유, 철광, 전자집적회로, 구리광, 비디오 게임 등 원자재, 전자기기·부품 등이 주를 이룬다.

 

<2024년 산둥성의 주요 교역국가 및 품목>

국가별

품목

순위

국가명

금액(US$억)

비중(%)

품목명

(HS코드)

금액(US$억)

비중(%)

1

미국

465

9.8

석유와 역청유

(2709.00)

511

10.8

2

말레이시아

447

9.4

철광

(2601.11)

146

3.1

3

한국

421

8.9

전자직접회로

(8542.31)

138

2.9

4

러시아

320

6.7

비디오게임기

(9504.50)

73

1.5

5

일본

239

5.0

구리광

(2630.00)

72

1.5

6

브라질

224

4.7

버스용 타이어

(4011.20)

62

1.3

7

호주

185

3.9

알루미늄광

(2606.00)

60

1.3

8

홍콩

124

2.6

기타 연료유

(2710.19)

57

1.2

9

베트남

117

2.5

자동차 타이어

(4011.10)

56

1.2

10

태국

105

2.2

대두

(1201.90)

56

1.2

[자료: KITA, 칭다오무역관 정리]

 

2024년 한-산둥성 교역 현황

 

2024년 한국과 산둥성의 교역 규모는 42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4% 확대되었으며, 한국의 對산둥성 수출액은 160억 달러로 29.7% 늘어났으며, 수입액은 261억 달러로 2.1% 증가했다. 한-산둥성의 교역 규모는 2020년 306억 달러에서 5년 사이 27.3% 확대됐다.

 

<2020~2024년 한국의 산둥성 교역동향>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교역액(US$억)

306

424

423

378

421

수출

규모(US$억)

112

148

141

123

160

증가율(%)

△2.6

32.4

△4.6

△12.8

29.7

수입

규모(US$억)

194

276

282

255

261

증가율(%)

15.9

42.4

2.2

△9.4

2.1

무역수지(US$억)

△81.1

△128

△141

△132

△101

[자료: KITA, 칭다오무역관 정리]

 

한국의 對산둥성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전기전자, 석유화학, 기계, 소비재(화장품) 등이며, 한국의 對산둥성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자동차부품, 전기전자, 철강, 소비재(의류, 완구) 등이다. 특이사항으로 200달러 미만의 해외직구로 수입되는 제품을 분류하는 ‘저부가가치 간이 통관품목’이 對산둥성 주요 수입품목 중 1위를 차지한다. 최근 한국에서 알리·테무·쉬인 등 플랫폼을 이용한 중국 직구 주문량이 많아져 수입금액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한국의 對산둥성 주요 수출입 품목>

한국 → 산둥성 (수출)

산둥성 → 한국 (수입)

순위

국가명

(HS코드)

금액(US$억)

비중(%)

품목명

(HS코드)

금액(US$억)

비중(%)

1

프로세서,컨트롤러(8542.31)

51.1

31.9

간이통관품목(9804.00)

23.7

9.1

2

경질유와조제품(2710.12)

10.2

6.4

와이어링하네스(8544.30)

11.0

4.2

3

메모리

(8542.32)

8.6

5.4

철강구조물(7308.90)

10.3

4

4

벤젠

(2902.20)

7.5

4.7

섬유·의류(6110.30)

6.2

2.4

5

에틸렌

(2901.21)

4.2

2.6

합성섬유(6204.63)

6

2.3

6

기타화장품(3304.99)

3.0

1.9

완구

(9503.00)

5.5

2.1

7

기어박스,부분품(8708.40)

2.4

1.5

화강암

(6802.93)

3.5

1.3

8

프로필렌

(2901.22)

2.3

1.4

담배

(2404.12)

3.2

1.2

9

석유역청

(2713.20)

2.1

1.3

채소

(2005.99)

2.2

0.8

10

전선

(8544.49)

2.0

1.3

화물선

(8901.90)

2.1

0.8

[자료: KITA, 중국해관, 칭다오무역관 정리]

 

2025년 산둥성 경제정책 및 시사점

 

산둥성 정부는 산둥성 대외무역 안정적 규모 유지 및 질적 제고를 위한 ‘10대 행동계획(山2025年外贸稳量提十大行)’ 및 ‘34개의 정책 목록(2025年促进经济稳健向好、中提政策清单)’을 발표했다.

 

대외무역 10대 행동계획

 

산둥성 정부의 10대 행동계획 중 주요 계획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만개 기업의 해외진출(수출), 산둥성 무역의 전 세계화 (万企出海 鲁贸全球),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만개 이상 기업 대상 370회 이상의 해외전시회 및 상담회를 참여할 수 있도록 주요 전시회에 70%의 지원금을 제공하고, 신흥시장 전시회는 80%를 지원할 계획이다. 라틴 아메리카, 중동, 동유럽 등 지역을 포함한 신흥시장은 최근 빠른 경제 성장과 높은 시장 잠재력을 보이며, 상품 및 서비스 수요가 급증해 산둥성 무역 기업들이 사업 확장, 수출 증가, 파트너 발굴을 위한 핵심 전략 시장으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50회 이상의 정확한 수요-공급 매칭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하며, 산둥성이 구축한 성 내 우수기업 제품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국제무역 서비스 플랫폼인 '산둥 대외무역 우수상품 창고(山东外贸优品库)'를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와 해외창고 확대, ▲개방 플랫폼 강화, ▲국제물류 원활화를 위해 20개 특정 지역에 전자상거래 관련 기업·기관 및 인프라가 집중된 클러스터인 '크러스보더 전자상거래 산업대'를 육성하고, 100개의 공공 해외창고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가 서비스 무역 혁신 발전 시범구’ 건설을 추진하고, 해상·철도·항공 물류 체계 개선할 예정이다.

 

그리고 에너지 공급 확보 등을 중심으로 ▲수입규모 확대 및 질적 향상을 추진하며, 수출신용보험 확대를 통한 ▲금융 지원, 통관·인력·세무·물류 4 분야 효율화 등을 통해 ▲원활한 국제무역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외교역 규모 5% 성장 유지, 첨단기술 제품 수출 비중 30% 달성을 실현할 계획이다.

 

경제 안정성장 34대 정책 목록

 

34개의 정책 목록에는 생산·소비·투자 진작을 위한 ▲기업 융자지원, ▲9,700억 위안(약 1,362억 달러) 규모의 2,000여개 성급건설 프로젝트, ▲850개의 성급 서비스업 프로젝트 추진을 통한 소비 촉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혁신산업 육성을 위해 ▲인공지능 산업 펀드 조성, ▲20여개의 메타버스 혁신 응용 프로젝트를 선정해 프로젝트당 최대 100만 위안(약 14만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2025년에는 1,000개 이상의 ‘전문·정밀·특색·신기술(精特新)’ 기업과 150여개의 ‘전정특신 소거인(小巨人)’ 기업을 신규 육성할 예정이다.

 

20251분기 산둥성의 경제 성과

 

2025년 1분기 산둥성 정부는 상기 정책들을 통해 4400여개 기업의 전시회 참가를 지원하고, 10회의 정확한 수요-공급 매칭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했다. 또한 3,000여개 기업이 ‘산둥성 대외무역 우수상품 창고(山东外贸优品库)’ 플랫폼에 입주하고, 신규시장 개척을 지원해 ‘일대일로’ 국가 대상 수출 비중이 70% 이상을 기록했다.

이 기간 전체 교역액은 8조2034억 위안(1조1,522억 달러)로 작년동기대비 5.9% 증가했으며, 전체중국 평균 성장률보다 4.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수출액은 4조9,423억 위안(6,941억 달러)로 4.8% 증가하고, 수입액은 3조2,611억 위안(4,580억 달러)로 7.5% 증가했다.

 

시사점

 

우리기업은 산둥성의 경제·무역확대 정책 기회를 적극 활용해 중국 현지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상호 이익을 창출해야 한다. 산둥성 주도의 전시회 참여를 통해 중국 현지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장비, 신에너지 분야의 기술·투자 협력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고, 전자상거래와 자유무역구역 정책을 기반으로 판로개척과 비용 절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KOTRA 칭다오무역관은 산둥성 정부와 공동으로 양국의 교역 확대 및 한국기업과 중국 현지기업 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코자 이번 6월 19일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플라자’를 개최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무역투자24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신청도 가능하다.

링크: https://www.kotra.or.kr/subList/20000020753/subhome/bizAply/selectBizMntInfoDetail.do?dtlBizId=PUEMCN25042200000003&cpbizYn=N

 

 

자료: 중국국가통계국, 산둥성통계국, KITA, 각성별통계국, 즈옌컨설팅, 중국해관, 산둥성인민정부, 산둥성상무청, KOTRA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중국 산둥성 경제 및 2025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