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의 협력 관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
- 경제·무역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이요섭
- 2025-04-25
- 출처 : KOTRA
-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의 공통 분모, 경제적인 역동성
천연가스 수출국(말레이시아)과 수입국(튀르키예)으로 방산,항공 분야 협력 증가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는 여러 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두 나라 모두 이슬람교를 주요 종교로 믿고 있으나, 이슬람교는 국교가 아니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다. 또한 두 나라는 모두 그 지역에서 종교적 변곡점을 이루고 있다. 튀르키예의 경우 서쪽의 유럽 국가에서는 기독교가 주를 이루고, 동쪽의 시리아, 이란 등에서는 이슬람교가 우세해진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북쪽에 위치한 태국 등에서는 불교가 주요 종교인 반면, 말레이시아를 거쳐 남쪽으로 내려와 만나게 되는 인도네시아에서는 이슬람교가 중심이 된다.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의 공통분모, 경제적인 역동성
경제적으로 두 나라는 역동적인 성장을 보여준다. IMF 통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22년 12,483달러, 2023년 12,090달러, 2024년 13,142달러로 집계된다. 튀르키예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22년 10,621달러, 2023년 13,235달러, 2024년 15,655달러로 나타난다. 또한 두 나라의 경제 성장률은 모두 긍정적인 성과를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2022년 8.9%, 2023년 3.6%, 2024년 4.8% 성장을 기록했으며. 튀르키예는 2022년 5.3%, 2023년 5.1%, 2024년 3.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 1인당 국민소득 및 경제성장률 비교>
(단위: USD, %)
2022년
2023년
2024년
1인당 국민소득
경제성장률
1인당 국민소득
경제 성장률
1인당 국민소득
경제성장률
튀르키예
10,621
5.3
13,235
5.1
15,655
3.0
말레이시아
12,483
8.9
12,090
3.6
13,142
4.8
[자료: IMF]
지리적으로도 두 나라는 중요한 교통 및 물류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다. 튀르키예는 흑해와 지중해를 연결하는 두 개의 중요한 해협을 품고 있다. 흑해에서 지중해로 나가기 위해서는 마르마라해를 지나야 하며, 이를 위해 보스포러스 해협을 통과해야 한다. 또한, 마르마라해와 지중해를 잇는 다르다넬스 해협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레이시아는 중동에서 동북아로 원유가 운송되는 가장 중요한 길목인 말라카 해협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말레이반도의 서쪽에 위치하여 국제 물류에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차지한다.
<튀르키예-말레이시아 지도 비교>
[자료: CIA Factbook]
말-반도체, 튀-자동차 산업에서 두각
두 나라는 특정 제조업에서도 강점을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이 산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말레이시아는 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시장에서 칩 패키징, 조립, 테스트 서비스 등에서 약 13%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는 말레이시아 수출의 약 40%를 차지하며, 2023년에는 미국의 반도체 수입 중 약 21%가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제품이었다. 말레이시아의 반도체 산업은 미국과 중국 간의 반도체 경쟁과 공급망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생산 거점을 찾으려는 글로벌 기업들의 유치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반면, 튀르키예는 자동차 산업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포드, 피아트, 르노, 토요타, 현대차 등 세계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현지에서 생산 거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지미트, 사카리아, 부르사 등을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다. 튀르키예 자동차 제조사 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튀르키예의 자동차 생산 대수는 141만 대였으며, 그 중 103만 대가 수출될 정도로 튀르키예의 주요 수출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의 현대차는 2024년 24만 5천 대를 생산하여, 그 중 20만 대를 수출하는 성과를 올리며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천연가스 수출국과 수입국으로 방산,항공 분야 협력 증가
한편 천연가스도 두 나라의 특징을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이다. 단순히 수출입만 보면 두 나라는 서로 다른 입장이다. 말레이시아는 천연가스 수출국인 반면, 튀르키예는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국가이다. 우리나라가 말레이시아로부터 수입한 천연가스는 2023년 40억 달러, 2024년 34억 달러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말레이시아 전체 수입의 26%와 24%를 차지하는 규모다. 이와 같은 수입 규모로 말레이시아는 2023년과 2024년 동안 우리나라의 4대 천연가스 수입국으로 자리잡았다. 한편, 튀르키예는 러시아, 아제르바이잔, 이란 등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많이 수입하는데, 러시아는 최대의 천연가스 수입 대상국이다. 2022년과 2023년에는 수입액이 가장 많은 국가로 러시아가 꼽혔으며, 2024년에는 중국에 이어 러시아가 2위를 차지했다. 참고로 튀르키예의 대러시아 수입액은 2022년 587억 달러, 2023년 456억 달러, 2024년 440억 달러 였다.
튀르키예는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나라는 아니지만, 천연가스 흐름의 중요한 지역 중심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지도를 보면, 튀르키예는 천연가스를 대량 생산하지 않지만, 동쪽, 남쪽, 북쪽에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국가들이 위치하고, 서쪽에는 천연가스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EU가 있다. 또한, 튀르키예에는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중요한 파이프라인인 투르크 스트림이 있다. 투르크 스트림은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흑해 해저를 경유해 튀르키예와 유럽에 공급하는, 총 길이 930km의 두 개 라인으로 구성된 가스관이다. 이러한 튀르키예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2023년에는 러시아와 튀르키예 간에 튀르키예에 천연가스 허브를 구축하는 논의가 있었다. 2022년에는 EU가 아제르바이잔으로부터 천연가스 수입을 확대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EU와 아제르바이잔 사이에 위치한 튀르키예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됐다.
이 같은 공통점을 바탕으로 양국은 통상 및 외교 분야에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1997년 이스탄불에서 창설된 D-8 회원국으로, 여기에는 튀르키예, 이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이집트, 나이지리아 등이 함께 속해 있다. 또한,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는 2014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으며, 이는 튀르키예가 ASEAN 회원국과 맺은 최초의 FTA였다. 2025년 2월에는 튀르키예 대통령은 말레이시아를 방문해 말레이시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튀르키예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총리에게 튀르키예 최초의 국산 전기차 ‘Togg’를 선물하기도 했다.
<튀르키예-말레이시아 정상회담 기간 TOGG 증정 행사>
[자료: Anadolu Ajansı]
최근 말레이시아는 방위 산업 및 항공우주 분야에서 튀르키예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튀르키예의 주요 방산 기업인 튀르키예항공우주산업(TAI)은 말레이시아에 사무소를 운영하며 100명 이상의 현지 엔지니어를 고용하고 있다. 또한, 2024년 튀르키예 방산 기업 STM은 말레이시아 해군과 전투함 3척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전투함은 길이 약 100m, 배수량 2500톤, 최고 속도 26노트로, 헬리콥터 착륙 플랫폼을 갖추고 있으며, 100명 이상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다.
시사점
말레이시아와 튀르키예는 경제, 산업, 종교, 지정학적 요인 등 여러 공통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왔으며, 최근에는 방산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강점을 보유한 산업을 중심으로 튀르키예와 협력을 강화하고, 제3국 진출의 허브로서의 튀르키예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한다면 양국 간 경제 협력은 한 단계 더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문 기술 및 인적 교류에 기반한 파트너십을 구축 방안도 중장기적으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Daily Sabah, CIA Factbook, IMF, 튀르키예 국영방송 Anadolu Ajansı, KOTRA 이스탄불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튀르키예와 말레이시아의 협력 관계,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도미니카공화국, 2025년 최저임금 20% 인상
도미니카공화국 2025-04-25
-
2
광업 분야 ‘탄소중립 행사’로 인증…칠레 광업박람회 '엑스포민 2025' 참관기
칠레 2025-04-25
-
3
일본 반려동물용품 전시회 '2025 도쿄 인터펫' 참관기
일본 2025-04-24
-
4
트럼프 미국 대통령, 구리 수입 영향 조사 지시…관세 부과로 이어지나
미국 2025-04-22
-
5
튀르키예 헤어케어 시장, 자연 친화적 제품의 인기와 전자상거래의 확대
튀르키예 2025-04-17
-
6
미국 '해양항공우주 전시회(SAS 2025)' 참관기
미국 2025-04-24
-
1
2024 튀르키예 백색 가전 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4-07-26
-
2
2024년 튀르키예 자동차 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4-06-03
-
3
2021 터키 플라스틱 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2-01-26
-
4
2021년 터키 철강 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2-01-24
-
5
2021 터키 자동차 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2-01-21
-
6
2021년 터키 방위산업 정보
튀르키예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