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말레이시아 립스틱 시장 동향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
  • 2025-04-28
  • 출처 : KOTRA

K-뷰티, 프리미엄 시장까지 영향력 확대

할랄 화장품 수요 속 립스틱 수입 급증세 이어져

상품명


제품

립스틱

HS Code

3304.10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립스틱 시장은 색조화장품 부문 중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품목이다. 2025년 기준 립 제품 시장 규모는 약 9030만 달러로 전망되며, 특히 중저가(Mass)와 프리미엄 제품 모두에서 꾸준한 수요가 확인되고 있다.

2023년 기준 립스틱은 말레이시아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Guardian과 Watsons 등 대표 유통채널은 K-뷰티 제품을 포함한 독점 브랜드의 입점 및 마케팅에 적극적이다. 고급 백화점 입점 확대도 프리미엄 제품군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말레이시아는 무슬림 인구가 전체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로, 할랄 인증 화장품의 인기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윤리적 소비 트렌드와 신앙적 기준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현지 및 글로벌 브랜드 모두 할랄 인증을 앞다투어 확보하고 있으며, 이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도 주목받고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말레이시아 HS Code 3304.10 수출입 규모>

(단위: USD 백만)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출

3.5

1.9

1.5

2.1

1.2

2.0

수입

38.3

19.6

14.6

22.6

35.8

41.1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9.]

 

<말레이시아 HS Code 3304.10 국가별 수입>

(단위: USD 백만, %)

순위

국가

수입

시장점유율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1

프랑스

5.9

6.6

9.4

25.87

18.57

22.95

2

중국

4.6

6.8

6.6

20.24

19.07

15.97

3

싱가포르

0.1

4.3

5.8

0.59

12.01

14.07

4

대한민국

1.7

2.8

5.3

7.63

7.73

13.01

5

미국

2.6

3.1

2.8

11.65

8.70

6.87

6

태국

3.0

5.3

2.8

13.12

14.70

6.73

7

이탈리아

1.6

1.7

2.6

7.20

4.78

6.33

8

인도네시아

0.1

0.2

1.1

0.27

0.57

2.65

9

캐나다

0.6

1.0

0.9

2.51

2.67

2.29

10

일본

0.4

0.7

0.8

1.79

1.92

1.8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9]

 

말레이시아는 립스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수입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2024년 립스틱(HS Code 3304.10) 수입액은 약 USD 4,110만으로, 전년 대비 14.8% 증가하였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위축됐던 소비가 회복되고, 색조화장품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수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해 립스틱 수출액은 USD 200만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말레이시아가 색조화장품 소비국이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2024년 기준 주요 수입국으로는 프랑스(USD 940만, 22.95%), 중국(USD 660만, 15.97%), 싱가포르(USD 580만, 14.07%) 순이며, 한국은 USD 530만(13.01%)을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다.

프랑스는 여전히 프리미엄 브랜드의 영향력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점유율이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한국은 2022년 이후 수입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대비 92.8% 증가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말레이시아 HS Code 3304.10 한국 수입>

(단위 : USD 백만, %)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입

1.4

0.9

1.7

2.8

5.3


수입증가율

-51.00

-39.19

102.53

60.35

92.8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9.]


이 같은 대한 수입 확대는 SNS를 중심으로 한 K-뷰티 인지도 상승, 소비자의 가격 대비 품질 선호 변화, 그리고 무슬림 소비자를 겨냥한 비동물성, 무알코올 제품군 확대 등의 복합 요인에 기반한다. 특히 한국 제품은 발색력과 지속력 등 기능적 품질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동시에 세련된 디자인과 빠른 트렌드 반영이 소비자 선호를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는 인도네시아와 함께 할랄 뷰티 시장을 선도하고 있어, 한국 기업이 현지 할랄 인증을 확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경우 장기적인 수출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경쟁동향

 

<말레이시아 2023년 립스틱 시장 점유율 상위 제품>

회사명

대표 브랜드

국가

대표 제

Alliance Cosmetics Sdn Bhd

Silkygirl

말레이시아

Silkygirl

Moisture Rich Lipcolour

22.90 MYR(5.32USD)

L’oreal Malaysia Sdn Bhd

Maybelline,

L’oreal Paris,

YSL Beauty,

Lancome

프랑스

Maybelline

Colour Sensational Ultimatte

39.90 MYR (9.27USD)

Mary Kay (M) Sdn Bhd

Mary Kay

미국

Mary Kay

Gel Semi-Shine Lipstick

55.00 MYR(12.79 USD)

Estée Lauder Malaysia Sdn Bhd

MAC Cosmetics,

Estée Lauder,

 Bobbi Brown,

Clinique

미국

Mac

Macximal Sleek Satin Lipstick

180 MYR (41.86USD)

Revlon Inc

Revlon

미국

Revlon

Super Lustrous Lipstick

39.90 MYR(9.27 USD)

Chanel (Kuala Lumpur) Sdn Bhd

Chanel

프랑스

Chanel

Rouge Allure Velvet

220 MYR(51.16USD)

Shiseido Malaysia Sdn Bhd

Shiseido

일본

Shiseido

Modern Matte Powder Lipstick

 

125.00 MYR (29.06 USD)

Amway (M) Sdn Bhd

Artistry

미국

Artistry

Vibrant Matte Lipstick

108.00 MYR(25.11 USD)

Markwins Beauty Products Inc

Wet 'n' Wild

미국

Wet 'n' Wild

Megalast Lip Colour

26.90 MYR (6.25 USD)

Paragon Technology and Innovation PT

Wardah

인도네시아

Wardah

Colourfit Ultralight Matte Lipstick

 17.90 MYR(4.12USD)

Kanebo Cosmetics Inc

Kanebo

일본

 

Kanebo

Rouge Star Vibrant Lipstick

144.00(33.48 USD)

Cezanne Cosmetics Co Ltd

Cezanne

일본

Cezanne Lip Colour Shied

 

49.90 MYR (11.60USD)

Amorepacific Malaysia Sdn Bhd

Innisfree,

Laneige,

Hera

대한민국

Innisfree

Dewy Tint Lip Balm

62.00 MYR (14.41 USD)

[자료: Euromonitor, 각 브랜드 홈페이지 등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종합] 

 

말레이시아 립스틱 시장은 로컬 브랜드와 글로벌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로컬 브랜드인 Silkygirl은 USD 20대의 중저가 제품을 중심으로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프랑스계 L’Oréal, Chanel, 미국계 Revlon, Mary Kay, 일본계 Shiseido, Kanebo, 한국계 Innisfree, Laneige, Hera 등이 다양한 가격대와 콘셉트로 시장에 진입해 있다.

K-뷰티 브랜드 중에서는 Peripera, BBIA, 3CE, Sulwhasoo, Dear Dahlia 등이 말레이시아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으며, 제품군도 무전사(Transferproof) 립스틱, 틴트형 립밤, 매트 텍스처 등 트렌디한 포맷으로 구성돼 있다.


유통구조


말레이시아에서 립스틱 제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현지 법인(Cosmetic Notification Holder: CNH)를 통해 수입 및 NPRA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CNH와 NPRA 등록 관련 내용은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의 “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출의 첫걸음, NPTRA 규제 파헤치기” 해외시장뉴스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유통 구조는 CNH가 도매상 또는 브랜드 직영으로 판매, 이후 소매 유통망으로 이어진다. 주요 소매 채널로는 H&B스토어인 Watsons와 Guardian, 백화점인 Parkson이나 Seibu, 온라인 플랫폼으로 Shopee, Lazada, Sephora 등이 있다.

각 유통채널은 자사 입점 브랜드를 중심으로 독점 판매 또는 공동 프로모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K-뷰티 브랜드의 입점도 지속 확대되는 추세이다.


관세율


말레이시아는 HS Code 3304.10에 해당하는 립스틱 제품에 대해 수입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며(0%), 한국과의 ASEAN-Korea FTA 협정세율도 0%이다. 다만, 내국소비세 성격의 판매세(SST) 5%가 부과된다.


인증 요건


<NPRA 화장품 통지 절차>

[자료: NPRA 홈페이지,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종합] 


립스틱 제품은 말레이시아 국가의약품규제청(NPRA)에 의무적으로 제품 등록(통보)을 해야 하며, 이 절차는 현지 법인인 CNH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등록 절차는 먼저 NPRA의 온라인 시스템(QUEST3+)을 통해 제품 통보를 한 후, 성분, 라벨링, 용도 등의 기준 준수 여부 확인이 되고 해외 제조사의 위임장(LOA) 확보가 필요하다. 등록 완료 후에만 말레이시아 내 수입, 판매, 광고 등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연관 해외시장뉴스에서 확인 가능하다.


시사점


말레이시아 립스틱 시장은 K-뷰티 브랜드의 빠른 성장, 할랄 뷰티 수요의 증가,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다변화 등을 기반으로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 특히 한국산 립스틱은 2022~2024년 3년 연속 수입 증가, 2024년 기준 시장 점유율 13% 돌파, 폭발적인 성장률(92.8%) 등을 통해 명확한 진출 기반을 확보한 상태이다. 한국 기업들은 현지 시장에서 안정적인 유통채널과 CNH 확보, 할랄 인증 취득, 소비자 맞춤형 마케팅을 병행하여 장기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 더불어 K-콘텐츠와 연계한 뷰티 마케팅, SNS 활용, 컬래버레이션 상품 출시 등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Euro monitor, NPRA, Statista, 각 회사 홈페이지, Marketing Interactive Insights 등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립스틱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