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유지윤
  • 2025-04-24
  • 출처 : KOTRA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수입 1.4억 달러…한국산 수입 급증

클렌징제품, 고기능·저자극 중심으로 수요가 다변화하며 주요 품목으로 부상

상품명 및 HS Code

 

HS 코드

상품명

340130

클렌징제품 (피부세척용 유기계면 활성제품과 조제품)


 

시장 동향

 

이탈리아 화장품산업협회(Cosmetica Italia)에 따르면, 2024년도 이탈리아 화장품 산업은 매출액 기준 165.5억 유로에 달해 전년대비 9.1%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내수는 6.5%, 수출은 12% 증가해 내수와 수출 모두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리아 화장품산업협회는 2025년에도 이탈리아 화장품시장은 전년보다 성장폭이 둔화되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2024년 대비 5.4%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탈리아 화장품 산업 매출 동향>

(단위: 백만 유로,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이탈리아 국내 매출액

6,487

6,962

7,450

8,101

8,627

수출액

4,286

4,849

5,859

7,074

7,923

합계

10,747

11,810

13,309

15,175

16,550

[자료: 이탈리아 화장품산업협회(Cosmetica Italia)]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바디 위생제품으로 전체 화장품의 17.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기초화장품으로 16.6%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이탈리아 기초화장품 시장은 총 17억420만 유로 규모로, 전년 대비 5.7% 성장하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전체 기초화장품 제품의 세부 품목별 판매 동향을 살펴보면 특히 노화방지·주름개선 크림, 수분·영양 크림, 클렌징제품이 시장을 견인했다. 유통망별 특징을 살펴보면, 약국 채널은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 미백(12.1%), 피부 진정(10.4%), 클렌징(8.7%) 제품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인 반면 대형 유통망(GDO)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를 겨냥해 클렌징제품(10.2%)기초 보습(8.3%) 제품이 큰 성장을 보였다. 화장품 편집숍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이며, 다양한 브랜드 선택지가 장점이지만 상대적으로 성장폭은 제한적이다.

 

<2024년 초화장품 제품별/유통망별 판매 현황>

(단위: 백만 유로, %)

품목 

약국

화장품 편집숍

대형유통망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판매액

증감률

클렌징제품

69.0

8.7

47.5

1.8

89.4

10.2

얼굴 물티슈

3.9

4.6

7.9

3.5

36.4

-6.9

스킨, 로션

7.2

10.2

22.8

11.0

15.6

7.1

아이케어 크림

63.6

4.3

77.8

2.3

33.4

7.4

수분, 영양 크림

119.7

4.9

71.0

3.5

104.4

8.3

노화방지, 주름개선 크림

301.7

7.4

264.8

6.5

172.5

2.2

마스크팩

18.0

5.1

23.5

1.0

44.6

2.5

피부 진정 제품

66.1

10.4

9.2

2.2

3.1

40.4

미백 제품

26.4

12.1

1.3

1.5

2.3

-5.0

합계

675.7

7.2

525.8

4.8

502.7

4.7

['\'[자료: 이탈리아 화장품산업협회(Cosmetica Italia)]

 

2024년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시장 규모는 총 206백만 유로이며, 이는 전체 기초화장품 시장의 약 12.1%를 차지하는 핵심 카테고리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대형유통망을 통한 판매가 가장 큰데, 이는 이탈리아 소비자들이 데일리 클렌징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하는 성향과 연결된다. 반면 약국 채널은 고기능성 혹은 민감성 피부를 위한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전년 대비 8.7% 성장하며 클렌징 카테고리 내에서도 의미 있는 성장을 보였다. 또한, 편집숍은 상대적으로 성장폭이 낮았지만, 다양한 브랜드를 시험하려는 소비자의 니즈에 의해 일정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통채널별 소비자 성향과 제품 특징은 클렌징제품의 브랜드 구성에도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

 

수입동향

 

2024년 이탈리아의 클렌징제품(HS Code 340130) 수입 규모는 1억 3944만 달러로, 전년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품은 유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피부 세정용 제품으로, 액체 또는 크림 형태의 세안제로 구성돼 있다.

 

이탈리아의 수입시장은 유럽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상위 10개국 중 7개국이 유럽 국가이다. 프랑스는 4327만9000달러로 전체의 약 31%를 차지하며 1위를 유지했고, 독일과 폴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스페인은 2024년 수입액 기준으로 1216만4000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8% 증가해 4위로 올라섰다. 특히 네덜란드(79.6%), 오스트리아(41.7%), 체코(42.3%) 등 중·동유럽 국가들의 수입 증가세가 두드러지며, 비유럽권 국가인 중국과 한국도 각각 26.1%, 374.3%의 증가율을 기록해 주목을 끌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은 2022년 2000달러에 불과하던 수입액이 2024년에는 320만 달러로 급증해 이탈리아 시장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이탈리아의 클렌징제품(HS Code 34013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수입액

수입액

수입액

증감률('24/'23)

1

프랑스

32,744

42,691

43,279

1.4

2

독일

50,534

38,810

35,289

-9.1

3

폴란드

10,423

14,013

12,370

-11.7

4

스페인

8,806

10,687

12,164

14.8

5

네덜란드

3,677

4,143

7,442

79.6

6

오스트리아

3,443

3,418

4,842

41.7

7

체코

1,689

2,712

3,858

42.3

8

중국

2,582

2,589

3,265

26.1

9

한국

2

675

3,200

374.3

10

벨기에

2,814

3,070

2,882

-6.1

합계

133,957

132,962

139,445

4.9

[자료: Global Trade Atlas(’25.4.16.)]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2020~2022년까지 이탈리아의 한국산 클렌징제품 수입액은 연간 3000달러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수입액이 약 67만 달러로 증가하며 처음으로 수입 순위 20위권 내에 진입했다. 2024년에는 수입액이 320만 달러로 급증했으며, 전년 대비 374.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수입 대상국 중 9위를 차지했고, 시장 점유율도 2.29%로 확대됐다.

 

2020년 대비 2024년 수입액 증가율은 약 1000배에 달하며, 수입 순위 또한 43위에서 9위로 상승했다. 특히, 2023년과 2024년 두 해 동안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해 점유율과 순위가 모두 크게 상승했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 클렌징제품의 이탈리아 시장 내 진입 및 확산이 최근 2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이뤄졌음을 보여주며, 단순한 수입 증가를 넘어 한국이 클렌징제품 부문에선 이탈리아 시장에서 실질적인 공급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탈리아의 대 한국 클렌징제품(HS Code 340130) 수입 동향>

(단위: US$, %, 위)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입액

3,186

2,490

1,776

674,740

3,200,072

전년대비 증감률

-93.4

-21.9

-28.7

37,892

374.3

점유율

0.0

0.0

0.0

0.51

2.29

수입 순위

43

41

38

16

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6.)]

 

경쟁동향 및 유통구조

 

이탈리아의 클렌징제품 또한 유통채널별로 브랜드 포지셔닝이 형성돼 있으며, 각 채널의 특성에 따라 제품군 구성과 소비자 선호도가 차별화되고 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형유통망에서는 L'Oréal, P&G, Unilever 등 글로벌 브랜드의 젤·폼 타입 대용량 클렌징 제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다. 해당 채널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실용성 중심의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메이크업 리무버 및 클렌징 워터도 함께 유통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기능성보다는 범용성이 강조되는 구조이다. 약국 채널은 최근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Bioderma, Vichy, Lierac 등의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해당 유통망에서는 민감성 피부와 기능성에 특화된 제품군이 강세를 보이며, 피부과 처방이나 전문가 추천 제품에 대한 신뢰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화장품 편집숍은 브랜드 다양성과 트렌드 감각을 앞세워 프리미엄 클렌징 오일이나 밤(balm), 듀얼 클렌징 등 보다 기능적이고 감성적인 요소가 강조된 제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온라인 채널에서는 중소 브랜드 및 니치(niche) 제품군을 중심으로 유통이 활발하고 SNS 기반의 마케팅을 통해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탈리아 유통 채널별 인기 판매 제품>

유통 채널

제품 이미지

대형유통망

약국

화장품 편집숍

온라인

[자료: 각 제품 홈페이지, Esselunga, Amazon Italia, Sephora, Benufarma]

 

관세율 및 인증

 

한-EU FTA 체결로 이탈리아 기초화장품 제품 수입 관세율은 0%의 적용을 받는다.

* (EU 관세율 조회) http://ec.europa.eu/taxation_customs/dds2/taric/taric_consultation.jsp

 

EU에서 특정 상품을 화장품으로 유통하고 판매하기 위해선 *CPNP(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에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이는 이탈리아 시장에도 적용되는 바, 수입품이 CPNP 등록을 거쳐야 화장품으로 수입하고 판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필수인증이라고 할 수 있다. CPNP 등록 항목으로는 제품명, 책임자의 이름과 주소, 원산지, 제품유형, 성분, 라벨링 등이 있으며 상세 정보는 CPNP 등록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CPNP 등록 홈페이지: https://webgate.ec.europa.eu/cpnp/

 

그 외 친환경, 천연화장품 인증으로는 ICEA 친환경 인증이 있으며, 이는 임의 인증이므로 선택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인증 명칭

ICEA 친환경 인증

마크/로고

내용

유기농 친환경 화장품(식물성 추출원료의 함유량 95% 이상)인증

적용 대상 품목

헤어 제품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화장품

인증기관

ICEA

유의사항

검사를 위해 알레르기 테스트 및 방부제 테스트 결과물 제출 필요

홈페이지

https://icea.bio/

 

시사점

 

이탈리아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기초화장품 중 클렌징제품의 매출 또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는 등 주목할 만한 확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소비자들의 피부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 웰빙 지향 소비행태는 클렌징 제품 수요 증가의 주요 배경이다.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시장은 지속가능성과 성분 중심 소비 트렌드에 따라 저자극·기능성 제품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산 클렌징 제품의 특성과 맞물려 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고, 피부 타입에 따라 제품을 세심하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 현지 맞춤형 라인업 구성, 성분 인증 기반 마케팅 전략이 중요하다.

 

아울러, COSMOPROF Bologna와 같은 현지 박람회는 브랜드를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으로, 한국 기업들은 유통 파트너 발굴과 동시에 이탈리아 소비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행사명

2026 볼로냐 코스모프로프(COSMOPROF)

개최일자 및 장소

2026년 3월 20일 ~ 22일

전시품목

화장품, 미용용품 등

홈페이지

www.cosmoprof.com

특징

세계 최대의 미용용품 박람회로 패키징 전문 전시회인 코스모팩(COSMOPACK)와 동일한 시기에 개최됨.

1967년부터 개최됐으며, 2025년 약 65개국 3,128여개 사 참가

 

 

자료: ISTAT, Global Trade Atlas, Cosmetica Italia, KOTRA 밀라노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클렌징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