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가구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김성미
  • 2025-04-22
  • 출처 : KOTRA
Keyword #가구

주요 가구 수입 국가/지역은 중국, 베트남, 대만

일본 소비자, '홈센터' 등에서 직접 제품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을 선호... 다만 최근엔 온라인 구매도 증가

HS CODE 품목 분류

 

HS CODE

품목

9401.99

가구 (: 금속 가구, 목재 가구, 플라스틱 가구 )

 

시장 동향

 

일본 소비자는 미니멀하고 세련된 북유럽풍 또는 일본식 모던 디자인의 가구를 선호하며, 자연 소재와 따뜻한 색감에 대한 수요도 높다. 특히,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있는 콤팩트한 다기능 가구, 인체공학적 제품, 오피스용 가구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과 가상 쇼룸, AR 기술을 활용한 구매 방식이 확산하고 있으며, 가구 구독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친환경과 지속 가능성을 중시해 FSC 인증 목재, 재활용 소재, 중고·재생 가구에 대한 관심이 높고, 내구성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도 강하다. 또한 무선 충전, 조명 내장 스마트 기능과 IoT 기술이 접목된 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일본 가정용 가구 시장 분석 2025~2034 MarkWide Research(2025.01))

 

수입 동향

 

<2021~2024 일본의 가구 수입액 추이>

(단위: 천 엔, %)

연도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률

2021

660,968

-

2022

776,723

17.5

2023

759,455

-2.2

2024

808,912

6.5

* 주: 일본 전체 가구(가구완성품(목제, 금속제, 기타재료 포함)+부품) 수입액 기준

[자료일본가구산업진흥회에서 일본 통계청 무역통계 가공]


일본의 가구(가구완성품(목제, 금속제, 기타재료 포함)+부품) 수입액은 2021년에 약 6억6000만 을 기록한 이후, 2022년에 크게 증가했고, 2023~2024년에는 미세하게 증감을 반복했으나 2022년과 비슷하게 7억5000만~8억 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4 일본의 가구* 수입액 기준 주요 수입국 및 비중> 

(단위: 천 엔,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비중**

1

중국

344,767

64.3

2

베트남

70,171

13.1

3

대만

21,100

3.9

4

말레이시아

16,980

3.2

5

필리핀

15,160

2.8

6

인도네시아

14,359

2.7

7

이탈리아

14,020

2.6

8

8,638

1.6

9

독일

4,189

0.8

10

덴마크

4,123

0.8

11

미국

3,665

0.7

12

프랑스

3,387

0.6

13

3,021

0.6

* 주: 가구완성품(목제, 금속제, 기타재료 포함) 기준

** 주: 일본 전체 가구완성품 수입액 대비 국가/지역별 수입액 비중

[자료일본가구산업진흥회에서 일본 통계청 무역통계 가공]


2024년 일본의 가구 수입액 국가/지역별 순위를 보면, 압도적인 1위는 중국(3억4476만 엔)이며, 전   했을 땐 중국의  6 차지했다. 6위를 기록한 인도네시아(1435만 엔) 다음으로 이탈리아(1402만 엔)가 있다. 한편, 한국은 302만 엔으로 8위를 기록했다.

 

<일본 전체 가구완성품 수입액 대비 중국, 베트남, 대만, 한국 가구 수입액 비중 증감 추이>

 (단위: %)

국가/지역

2021

2022

2023

2024

중국

60.5

59.0

62.0

64.3

베트남

13.5

15.4

13.4

13.1

대만

6.3

5.2

4.5

3.9

한국

0.45

0.35

0.43

0.56

* 주: 주요 가구 수입 국가/지역 3개국 및 한국 점유율 발췌

[자료일본가구산업진흥회에서 일본 통계청 무역통계 가공]


일본의 주요 가구 수입 국가/지역인 중국, 베트남, 대만과 한국의 지난 4년간의 전체 수입액 대비 비중을 비교하면, 중국의 비중이 60%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며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베트남과 대만은 2022년 이후 그 비중이 꾸준히 감소했고, 한국은 2022년 이후 1% 이내의 미미한 비중이기는 하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경쟁 동향


<일본 주요 브랜드 제품>

브랜드명

본사 위치

주요 제품 특징

대표제품 이미지

카리모쿠 가구

Karimoku Furniture

아이치현

지타군

- 일본 최대의 국내 가구 제조업체
- 전국 25 쇼룸 운영
- 편안함과 내구성이 뛰어난 소파 목재 가구 제작
- 대표 제품: 'The First' 리클라이닝 체어

파모우나

Pamouna

아이치현

- 식기장 수납 가구 전문
- 현대적이고 실용적인 디자인
- 슬라이딩 도어와 내장 콘센트 기능성이 우수한 제품
- 대표 제품: 'QF 시리즈' 식기장

가시와 목공

Kashiwa Mokko

기후현

- 전통 기술과 현대적 디자인의 조화
- 내추럴한 소재 감성과 고급 마감이 특징
- 다이닝 테이블, 의자, 소파 다양한 제품 제공
- 대표 제품: 'CIVIL' 소파

히다산업

Hida Sangyo

기후현

다카야마시

- 100 전통의 장인 기술
- 히다 지역 목재 활용
- '키츠츠키' 마크로 유명
- 전통적이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의 의자, 테이블 제작
- 대표 제품: 'Seoto ex' 세미 암체어

하마모토 공예

Hamamoto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소재와 기술에 대한 고집
- 국내 생산 중심
-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 있는 가정용 가구 제작
- 대표 제품: 'No.28' 책상

나가노 인테리어

Nagano Interior

후쿠오카현 아사쿠라시

- 간결하고 모던한 디자인
-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사이즈, 소재, 마감 선택 가능)
- 다양한 공간에 어울리는 다이닝 세트 수납 가구 제작
- 대표 제품: 'DC352' 의자

[자료: Furniture Guide Japan,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유통구조

 

일본 주요 가구 유통 채널은 크게 전통적인 소매점, 대형 마트와 백화점, 온라인 플랫폼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일본 소비자들은 직접 제품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여전히 전통적인 가구 소매점이 한국에 비해 많이 유지되고 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소비자들이 여전히 많이 이용하며, 특히 일본에선 '홈센터'라고 불리는 주로 주거 관련 제품을 모아둔 대형 체인점들이 인기가 있다. 이러한 대형 마트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을 한곳에 모아 소비자들이 한눈에 여러 제품을 살펴볼 수 있어 편리하다.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전자상거래의 발전으로 온라인 가구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많은 가구 브랜드에서 온라인으로 가구를 구매할 때 AR을 활용해 가상으로 가구를 배치해 볼 수 있는 기능 등 소비자들이 직접 가구를 눈으로 보고 구매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구축하고 있으며, 가구를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대여해서 원하는 기간만큼 사용하는 가구 구독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다.


관세율 인증

 

<HS CODE 9401.99 관세율>

(단위: %)

HS CODE

구분

관세율(%)

9401.99

기본

3.8

WTO 협정

3.8

특혜

관세 없음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일본 가구 제품과 관련된 주요 인증으로는 FSC 인증을 들 수 있다. FSC 인증은 지속 가능한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사용했음을 증명하는 국제 인증으로일본에 가구를 수출할  필수적인 법적 요건은 아니다그러나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일본 시장에서는 바이어와 소비자 모두 FSC 인증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특히 대형 유통사나 공공기관에 납품할 경우, FSC 인증 여부가 구매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있다.


시사점

 

일본 소비자들은 미니멀한 디자인, 공간 활용이 뛰어난 다기능 가구, 친환경 제품, 스마트 기능이 접목된 가구에 높은 관심을 보인. 특히 원격 근무의 일상화로 홈오피스 가구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 가구 구독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면서 유통 채널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일본은 유통 구조가 복잡하고 소비자 성향이 보수적이기 때문에, 현지 유통사와의 협업이 시장 진입의 핵심 열쇠가 된다. 온라인 유통 채널(아마존재팬, 라쿠텐 )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공동 마케팅과 홍보 활동을 통해 브랜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유통망을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 MarkWide Research, 일본가구산업진흥회, Furniture Guide Japan 계, KOTRA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가구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