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먼지는 물론 중국 시장 기회까지 잡는 한국 산업용 집진설비
  • 트렌드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5-04-03
  • 출처 : KOTRA

환경오염 규제 강화로 중국 집진설비 시장 성장 가속화

한국산 반도체 등 첨단 산업용 수입 집진설비, 중국 총수입액의 1/5 차지

중국 정부가 환경 보호, 특히 대기 오염 배출과 관련한 규제 및 관리 강화를 추진하면서 산업용 집진설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집진설비의 사용 분야는 전력, 철강, 시멘트 등 전통 산업에서 신에너지 및 전자 등 첨단 제조업으로 확장됐으며, 특히 스마트 제어 및 고정밀 필터링 기능을 갖춘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 중인 일부 집진설비와 부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한국은 중국의 최대 집진설비 수입국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2024년 중국 시장에서 수요가 높았던 설비 및 부품과 2025년 이후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에 주목하며 관련 시장 동향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중국 산업용 집진설비 시장 동향: 정책 강화에 따른 시장 확대, 복합식 설비 수요 증가

 

2024년 들어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와 기업들의 구매 수요 증가로 산업용 집진설비 시장의 성장 속도가 한층 빨라졌다. 특히 202311, 중국 정부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공기질 지속 개선 행동 계획(空气质量持续改善行动计划)>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2013년 이후 중국 중앙정부가 발표한 세 번째 대기 오염 관리 계획으로, 2025년까지 철강, 시멘트, 석탄 발전 등 주요 산업의 초저(超低)배출 개조를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후 일부 지방 정부는 대기 배출 기준 및 오염 저감 설비 관련 규정을 강화하고 수시 검사를 확대했으며,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 보조금 지급 및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 강화로 2024년에는 기업들이 집진설비를 신규 설치하거나 기존 장비를 업그레이드하면서 관련 시장이 빠르게 확대됐다. 시장 조사 기관 관얜보고망(观研报告网)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산업용 집진설비 시장 규모는 약 44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0% 성장했으며, 증가 폭은 2023년의 두 배에 달했다.

 

<최근 3년 중국 집진설비 시장 규모 변화 추이>

(단위: 억 위안)

[자료관얜보고망(观研报告网)]

 

전기-백 필터 복합 집진설비: 필터링 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필두로 시장 주류로 부상

  

필터링 효율이 높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전기-백 필터 복합 집진설비가 기업들의 주요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집진설비는 백 필터(Bag Filter) 집진기, 전기식 집진기, 스크러버(습식) 집진기* 등으로 분류되며, 중국의 오염물질 배출 기준 강화에 따라 설비는 모두 스마트화 및 에너지 저소비 방향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추세다. 특히 전기-백 필터 복합 집진 기술은 높은 여과 효율과 경제성 덕분에 신규 집진설비의 주류 방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4년 시장 규모는 약 15% 증가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집진설비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편,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펄스 분사 기술(Pulse Jet Technology), 멤브레인 분리 기술(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등 필터링 효율을 개선하고 설비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구매 기업과 생산 기업 사이에서 자동 제어와 고장 예측이 가능한 서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백 필터 집진기: 폴리에스터, PTFE 등 직물로 제작된 필터 백을 통해 먼지를 수집

  ② 전기식 집진기: 전극과 집진판 사이에서 먼지를 전기적으로 충전해 흡착

  ③ 스크러버 집진기: 물 또는 화학액체를 분사해 먼지를 습식으로 포집

 

<2024년 종류별 집진설비 신규 도입 비중>

(단위: %)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신에너지(이차전지, 태양광 전지), 전자(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의약 등 청정 생산 환경이 요구되는 첨단 산업의 발전으로 집진설비, 특히 소형 집진기의 적용 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기존의 집진설비는 주로 화력발전소, 철강, 시멘트 등 고에너지 소비와 분진 오염이 심한 산업에서 사용됐으며, 2016년 기준 집진설비 사용 분야에서 전력, 시멘트, 철강이 각각 36%, 23%, 20%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2024년 들어 이들 3대 산업의 총 점유율은 70% 이하로 감소했으며, 신에너지, 전자, 제약 등 첨단 산업용 집진 설비가 빈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은 산업 구조 고도화에 따라 반도체, 의약품, 배터리 생산 등 분야에서 고성능 집진설비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발전소나 철강 공장용 대형 집진기와 달리, 1μm 미만의 미세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고정밀 소형 집진설비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철강, 화력 발전 등 산업용 대형 집진설비와 신에너지·전자 산업용 중소형 집진설비>

[자료: 알리바바(alibaba.com)]

 

중국 집진설비 산업 수입 동향: 첨단 설비 및 부품 수입 의존, 한국이 1위 수입국

 

중국 시장에서는 일부 고성능 집진설비와 부품을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집진설비는 작동 환경의 온·습도 범위, 여과 가스의 산·알칼리성, 처리 가능한 입자 크기 등에 따라 성능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 분야별로 적합한 설비가 다르다. 전력, 시멘트, 철강 등 기존 산업 분야에서는 중국 현지 기업(일부 외국계 진출기업 포함)이 생산한 집진설비가 이미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반면, 반도체나 제약 분야에서 사용하는 초미세 입자(0.1μm 미만) 필터링 시스템이나 고도 지능형 제어 집진설비는 여전히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설비뿐만 아니라 PTFE 코팅 필터 백, 나노섬유 필터 카트리지 등 고내열성·내식성 필터 소재와 지능형 집진설비에 사용되는 센서 및 PLC 제어 시스템도 일부는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PTFE 코팅 필터 백, 나노섬유 필터 카트리지>

[자료: 알리바바(alibaba.com)]

 

2024년 중국의 수입 집진설비 중 복합식 집진기의 수입액이 가장 많으며, 한국은 중국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 해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집진설비 수입액은 총 11480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이 중 복합식 집진기 등 기타 집진설비의 수입액은 95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특히 한국산 복합식 집진기의 수입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2024년 중국의 복합식 집진기 수입액 가운데 한국은 2800만 달러로 1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무려 30% 증가한 수치다. 결과적으로 2024년 중국이 수입한 전체 집진설비(11억 달러) 중 한국산 복합식 집진기가 약 5분의 1을 차지한 셈이다.

 

<2023~2024년 중국 집진설비 수입액 변화 추이>

(단위: US$ 백만, %)

순위

품목 HS코드

품목명

2023

2024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1,137

5.0

1,148

1.0

1

842139.90

기타 집진기(복합식 등)

918

2.1

955

4.0

2

842139.50

연기 탈질소 장치

19

44.7

23

21.8

3

842139.29

기타 산업 분진 수집기

34

29.6

21

39.2

4

842139.22

백 필터 집진기

12

22.8

13

4.9

5

842139.21

전기식 집진기

8

1.1

7

13.6

6

842139.23

사이클론 집진기

8

6

4

41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3~2024년 중국 기타 집진기(복합식 집진기 등, HSCODE: 842139.90) 수입액 변화 추이>

(단위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23

2024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918

2.1

955

4.0

1

한국

160

12.3

208

30.0

2

미국

152

4.6

174

14.2

3

독일

89

19.9

105

17.3

4

일본

103

17.7

87

15.5

5

영국

107

5.7

61

42.9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4년 한국의 대()중국 수출 집진설비는 대부분 반도체 및 전자 산업용 제품이 주를 이뤘다. 한국 세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대중국 수출 집진설비의 절반이 반도체 공정용 집진기로, 수출액은 2023년 대비 9.7% 증가한 13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반도체 공정용 집진설비는 0.1μm 크기의 초미세 입자를 여과할 수 있어 반도체 외에도 인쇄회로기판(PCB),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전자 및 전기 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동일 설비라도 한국에서 수출하고 중국에서 수입할 때 서로 다른 통관 신고 코드(HS CODE)를 사용할 수 있어, HS CODE 6~8자리까지는 일치하지만 한국의 수출액과 중국의 수입액간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023~2024년 한국(관세청 ) 집진설비 분류별 수출액 순위>

(단위US$ 백만, %)

순번

코드

품목명

2023

2024

총계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218

31.9

276

26.8

1

842139.9029

반도체 제조공정용 

집진기

119

5.9

131

9.7

2

842139.9019

유해성 배기가스 처리용 집진기

47

388.0

38

19.2

3

842139.9099

기타 집진기

31

15.9

21

33.1

[자료: 한국무역협회]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발굴: 설비 판매 타깃 지역 및 수출 유망 부품 확인 필요

 

KOTRA 톈진무역관은 대기 오염 처리 장비 등 친환경 설비를 취급하는 현지 기업 TIANJIN PULIN의 담당자 씨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한국 설비의 중국 진출 기회에 대해 아래와 같은 질문을 던졌다.


Q1. 중국의 집진기 수입상과 유통기업은 주로 어디에 분포돼 있습니까?

A1. 집진기 수입기업과 해외 브랜드의 현지 사무소는 주로 베이징과 상하이에 집중돼 있습니다. 벤더사와 대리상은 장쑤성, 저장성, 광둥성 등 관련 수요 산업이 밀집한 지역에 주로 분포합니다. 산업용 집진설비는 주로 정부의 환경 보호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만큼, 정책 변화가 기업의 설비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2022년부터 베이징-톈진-허베이성 및 인근 지역에서는 정부가 철강, 시멘트 등 고오염 업종에 대해 초저(超低)배출 개조를 요구하면서 관련 기업들의 집진설비 구매 및 업그레이드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한국산 집진설비의 중국 시장 진출은 우선 규제가 강화된 지역과 해당 지역의 바이어를 타깃으로 삼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2024~20252월 중국 성(, 직할시 포함)별 집진설비 수입액 순위>

(단위US$ 천, %)

순위

()

2023

2024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

총계

1,136,863

5.0

1,148,150

1.0

1

상하이시(上海市)

304,158

1.6

334,309

9.9

2

장쑤성(江苏省)

167,002

1.0

193,787

16.0

3

저장성(浙江省)

120,474

19.5

116,038

3.7

4

베이징시(北京市)

116,650

69.8

90,518

22.4

5

광둥성(广东省)

80,774

11.0

83,910

3.9

6

안휘성(安徽省)

43,171

28.8

80,439

86.3

7

톈진시(天津市)

98,709

39.2

61,253

37.9

8

산둥성(山東省)

63,758

3.0

47,203

26

9

후베이성(湖北省)

22,863

3.6

32,289

41.2

10

랴오닝성(辽宁省)

34,666

36.3

30,914

10.8

[자료: 한국무역협회]

 

Q2.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집진설비 브랜드는 어떤 산업 동향을 주목해야 하나요?

A2. 한국산 집진설비는 반도체 및 전자 산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의 투자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설비 투자는 감소했지만 반도체 공정 설비 투자는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공정용 집진설비의 시장 규모도 함께 확대됐습니다. 유사한 산업 동향은 바이두와 같은 검색 엔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집진설비용 부품을 제조하는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주목할 만한 기회는 무엇인가요?

A3. 중국의 집진설비 산업이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핵심 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PTFE 코팅 필터 등 여과 소재, 집진설비 제어용 PLC, 합금 코팅 정전 집진 극판, 분진 처리 설비의 방폭 모터 등에 대한 수입 수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한국 기업은 관련 시장에 관심을 갖고, 집진설비를 생산하는 중국 업체에 제품을 적극적으로 소개할 수 있습니다. 저장성, 허난성, 장쑤성 등에서 집진기 생산 기업을 발굴할 기회도 존재합니다.

 

시사점

 

정책 강화와 첨단 산업의 성장, 그리고 기업의 설비 도입 수요 증가에 따라 중국의 집진설비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조사기관 중옌왕(中研网)에 따르면, 중국 집진설비 시장 규모는 202565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이차전지, 반도체, 태양광 전지 등 현재 중국에서 빠르게 발전 중인 산업 분야에서의 수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의 집진설비 국산화 과정에서 스마트 집진기 제어 장치, 고내열성 여과 소재 등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한국 기업은 중국 시장 내 판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 기업은 중국 기업과 협력해 제품을 중국 주변 국가에 수출할 기회도 고려할 수 있다. TIANJIN PULIN사 담당자 H 씨는 KOTRA 톈진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정책은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지에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예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남아프리카의 시멘트 프로젝트, 카자흐스탄의 철강 프로젝트 등에서 대규모 집진설비 수요가 예상되는데, 한국 기업도 중국 대리상이나 프로젝트 수주업체를 통해 이러한 국가에서의 판매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관얀바오가오왕(观研报告网), 중얀왕(中研网),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금융계(金融界), 한국무역협회,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먼지는 물론 중국 시장 기회까지 잡는 한국 산업용 집진설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